問題一覧
1
가정의 설명으로 맞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가정에 적합한 것, 아름다운 것에 대한 개념이 집에서 사용되는 사물의 디자인을 결정지었다. 이 둘 사이의 관계는 늘 순방향으로 작용한다.
2
"다양성의 이론"에서 다양한 디자인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으로 적절한 설명이 아닌 것을 고르시오.
지그프리트 기디온은 디자인의 다양성을 소비자의 필요와 디자이너의 창의성 발현으로 보았다.
3
다음은 ‘자본주의’ 와 ‘디자인’의 설명 중 틀린 것을 고르시오.
디자인은 자본주의의 번성을 약속하였다.
4
다양성에서 가구 산업 사례의 설명이다.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을 고르시오.
기계화된 생산체계로 여러 디자인 생산이 가능해져 다양성이 활발해지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5
디자인의 다양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을 고르시오.
신분의 차이를 만들기 위해서
6
빅토리아식 주택의 복도에 관한 설명이다. 맞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복도 의자는 방문객 모두가 앉아야 했음으로 푹신하고 편했다.
7
19세기 가정부와 하인의 설명으로 틀린 것을 고르시오.
가정부는 주인집에서 먹고 자고 주인의 식구처럼 대했다.
8
가정에 관한 모든 ‘나쁜’ 감정들을 인위적으로 배제한 이러한 상태는 심한 '이것' 증상을 동반했다.'이것'은 1890년대 지그문트 프로이드 Sigmund Freud 와 조제프 브로이어Josef Breuer가 관찰했던 19세기 부르주아 여성들의 가장 흔한 병증 중 하나인 히스테리의 유행과 관련이 있다.
지적나태
9
“집 꾸미기 : 개성 표출”에서 19세기 여성과 집 꾸미기에 관한 설명입니다. 이중 사실과 다른 것을 고르시오.
실내 장식 전문가들 대부분이, 모든 집은 집주인의 개성을 분명하게 표현해야 하는 장식의 규칙을 만들었다.
10
19세기 중산층의 집에 대한 설명입니다. 맞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20세기까지도, 가정에는 딱딱한 재질에 실용적인 색을 칠한 금욕적인 느낌의 가구를 두었다.
11
다음은 고용인과 피고용인의 직장과 가정의 분리 이유를 설명하였다. 이중 틀린 것을 고르시오.
고용주들은 더 이상 가정에서도 도덕성, 선의, 정직함 같은 것을 경험하고 표현할 수 없게 되었다.
12
가정용 재봉틀 제조업자에게 가장 어려운 난관은 무엇이었습니까?
거부감을 없애는 방법
13
[디자인의 생산 과정]에 관한 설명입니다. 설명이 틀린 것을 고르시오.
모든 산업에서 디자인이 충족시켜야 할 첫 번째 조건이 바로 제작 시 미려한 물건을 얻어야 한다는 것이다.
14
자본론을 쓴 그는 스코틀랜드 철학자 아담 퍼거슨Adam Ferguson(1725~1826)의 말을 인용해 성공적인 이것을 위해 무지의 유익함을 역설하였다. 여기서 ‘이것’은 무엇인가?
제조업
15
"이것"은 제조업자의 눈으로 본 사회의 구분 체계가 표현된 것으로 제품의 범주는 그 사회를 대변한다. 이것은 나이, 성별, 계층, 지위에 있어 각 범주의 사람들이 서로 다르다는 전제 하고 있다. 여기서 "이것"은 무엇인가?
디자인의 차이
16
19세기 말 대량 생산되기 시작한, 중산층의 아이들을 위한 그릇과 가구는 파스텔 톤의 색상이거나 동물 그림 혹은 유아풍 그림으로 장식되었다. 이 설명에 맞는 것을 고르시오.
아이는 어른과 다르다는 어른들의 소망과 깊은 관계가 있다.
17
디자인을 자세히 살피면 사회 구분 체계가 존재하고 있음을 확신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각 범주간의 차이가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지 않은 차이는?
신분계층간의 차이
18
제조업자에게 디자인의 차이라고 볼수 없는 것은 무엇입니까?
제조업자가 임의대로 나이, 성별, 계층, 지위에 있어 각 범주의 사람들이 서로 다르다고 전제하였다는 것
19
19세기 중엽 디자인 개혁운동에 관여했던 예술가, 건축가 그리고 지식인들이 급진적인 비평을 할 수가 없었던 이유가 아닌 것은?
산업사회의 과정에 부정적이었지만, 결과에는 긍정적이었기 때문
20
재봉틀의 등장 후 의류 산업에 관한 설명입니다. 맞는 것을 고르시오?
재봉틀의 등장으로 당시 의류 산업이 근본적으로 바뀐 것은 없었다
21
자본론을 쓴 이는 산업발달의 변화과정에서 기계도입으로 노동력에 대해 2가지 큰 변화를 일으켰다고 한다. 이 2가지에 해당하는 것 하나를 고르시오.
노동력의 사용 방법
22
자본주의 산업발달 3단계 과정과 저서 자본론을 쓴 저자는 누구입니까?
칼 마르크스
23
기계화가 디자인의 질을 저하시켰다고 믿었던 사람과 그들의 생각입니다. 맞게 연결이 된 것을 고르시오.
헨리 콜 : 대영박람회를 통해 인도와 동양에서 온 수공 제품과 함께 기계 생산 제품을 진열해서 수공품이 가진 간결함과 우수성을 모두에게 보여주고자 했다.
24
다음 보기에서 (a),(b)에 들어가는 단어로 맞는 것을 작성하시오 (보기)웨지우드의 모델러들이 거둔 성과는 (a)과 (b) 양쪽 모두의 요구 사항을 만족스럽게 융합 시켜서 그것을 형태로 탄생시킨데 있다. 이 점에 있어서 당시의 모델러들은 그 후 모든 디자인들과 정확히 일치하는 임무를 수행했던 것이다. (모두 선택해야 정답입니다. 일부 정답 허용안함) (ex: (a),(b)
생산,소비
25
웨지우드가 벤틀리에게 보낸 글에서 “실수하지 않는 인간 기계를 만들 준비를 하고 있다”라고 쓴 것은 어떤걸 준비한 것인가?
작업과정의 세분화
26
웨지우드의 <선주문 후제작 방식>의 특성을 설명하였다. 이중 틀린 것을 고르시오.
견본이나 카탈로그를 통해 판매하는 방식은 양적으로 제품을 정확한 수량을 생산이 요구되는 일이었다.
27
다음은 신고전주의 시대의 설명입니다. 틀린 것은?
1800년대 취향의 모순성이 신고전주의 예술품에 드러난다.
28
변화를 거부하던 서구인들로 하여금 새로운 물건을 받아 들이도록 만든 것은 무엇인가?
디자인
29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을 고르시오.
진보를 적극 수용하려하는 것은 사고의 변화없이 개선과 편안함 때문이다.
30
‘이것의 성공은 제품을 혁신해서 새 제품으로 팔 수 있다는 가능성에 의존해 왔다.‘ 에서 이것은 무엇인가?
자본주의
31
다음은 자본주의 와 디자인의 설명 중 틀린 것은?
자본주의는 디자인 분야의 번성을 약속한 분야이다.
32
1979년에 영국 미술협회가 기획하고 런던의 헤이워드 갤러리에서 열린「30년대 Thirties」 라는 제목의 대규모 전시에서는 1930년대 영국의 미술, 건축, 디자인의 실례들이 전시 되었다. 여기에 작품 설명표에는 디자인, 제조사, 디자인된 날짜, 현 소유주 등이 있었다. 이를 통해 관람객이 내릴 수 있는 결론으로 맞는 것은?
제품을 디자인한 사람
33
다음 보기는 디자인 행위가 디자이너의 정신과 디자인된 사물의 형태 사이에서만 존재하는 것으로 다뤄지는 연구 경향에 대한 설명이다. 맞지 않은 것은?
디자이너가 자신이 행하는 디자인 행위에 전적인 지배력을 가지고 있어 전지전능한 힘이 있는 동시에 이데올로기의 대리인 역할을 하고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34
프랑스 디자인너 레이몬드 로위의 “담배 럭키스트라이크 포장지” 디자인의 성공사례에 대한 설명이다. 적합하지 않은 것은?
디자인에 의해 강조된 청결함과 미국적이라는 관념이 모든 미국인들의 마음속에 존재하고 있었다는 사실은 디자이너의 창조물이라고 말할 수 있다.
35
지그프리트 기디온은 이것을 “in the air(대기속에)”존재한다고 하였으며, 이것은 인간의 의식과 따로 떨어져 존재할 수 있고, 이는 마치 거대한 구름 같아 밑에 있는 모든 것에 그림자를 드리우는 무엇이라고 하였다. 여기서 이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관념
36
다음은 자본주의와 디자인의 설명 중 틀린 것은?
자본주의는 디자인 분야의 번성을 약속한 분야이다.
37
디자인 역사가들이 디자인의 다양화 현상을 설명할 때 예외 없이 두 가지 이론 중에 하나에 의지한다.
디자이너가 자신의 독창력과 예술성을 표현하려는 욕망
38
메리필드 부인은 『Dress as a Fine Art(1854)』에서 옷의 기능을 설명한 것 중 아닌 것은?
직업
39
가정의 설명으로 맞는 것은 ?
산업혁명으로 인해 일터와 가정이 분리되었다.
40
계층적 차이가 디자인에서 분명히 들어나는 경우가 아닌 것은?
남자와 여자
41
19세기 가정부와 하인의 설명으로 맞지 않은 것은?
가정부는 주인집에서 먹고 자고 주인의 식구처럼 대했다.
42
안주인을 하녀로 혹은 하녀를 안주인으로 착각할까봐 걱정하는 주인증세는 19세기 중반 풍자만화나 만담의 인기 있는 소재거리였다. 이러한 이유로 주인과 하인의 차이를 둔 사례로 맞지 않은 것은?
하인의 외출은 제한되어 방문객 출입은 관대하였다.
43
빅토리아식 주택의 복도에 관한 설명이다 맞지 않은 것은?
복도 의자는 하인의 의자보다 푹신하고 편했다.
44
이것을 통해 하인의 낮은 지위를 인식하도록 만들었고, 주인은 하인이 진짜 열등하다고 믿게 만든 이것은 무엇인가?
디자인 차이
45
디자인의 다양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신분의 차이를 만들기 위해서
46
다양성의 설명으로 맞지 않은 것은?
태생적으로 유일성을 가진 산업 제품은 귀족들의 희귀한 예술품으로 인정되었다.
47
다양성에서 가구 산업 사례의 설명이다.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기계화된 생산체계로 여러 디자인을 생산이 가능해져 다양성이 활발해 지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48
19세기 날염업자의 디자인의 다양성에 대한 설명이다. 맞지 않은 것은?
유행을 촉진하기 위해
49
다음은 자본주의 와 디자인의 설명 중 틀린 것은?
자본주의는 디자인 분야의 번성을 약속한 분야이다.
50
디자인 역사가들이 디자인의 다양화 현상을 설명할 때 예외 없이 두 가지 이론 중에 하나에 의지한다. 다음 보가 중에서 두 가지 이론 중 하나인 것은 무엇입니까?
디자이너가 자신의 독창력과 예술성을 표현하려는 욕망
51
“다양성의 이론”에서 다양한 디자인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으로 적절한 설명이 아닌 것은?
지그프리트 기디온은 디자인의 다양성을 소비자의 필요와 디자이너의 창의성 발현으로 보았다.
52
1979년에 영국 미술협회 Arts Council of Great Britain 가 기획하고 런던의 헤이워드 갤러리 Hayward Gallery에서 열린「30년대 Thirties」 라는 제목의 대규모 전시에서는 1930년대 영국의 미술, 건축, 디자인의 실례들이 전시 되었다. 여기에 작품 설명표에는 디자인, 제조사, 디자인된 날짜, 현 소유주 등이 있었다. 이를 통해 관람객이 내릴 수 있는 결론으로 맞는 것은?
제품을 디자인 한 사람
53
지그프리트 기디온은 이것을 “in the air(대기속에)”존재한다고 하였으며, 이것은 인간의 의식과 따로 떨어져 존재할 수 있고, 이는 마치 거대한 구름 같아 밑에 있는 모든 것에 그림자를 드리우는 무엇이라고 하였다. 여기서 이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관념
54
다음은 “디자인 연구”에 있어서 디자이너에 초점을 맞춘 연구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지는 이유로 맞지 않은 것은?
기디온의 “디자인과 사회의 연관관계를 조사한다”는 의도로 디자이너 중심 연구가 적극적으로 되었다.
55
다음 보기는 디자인 행위가 디자이너의 정신과 디자인된 사물의 형태 사이에서만 존재하는 것으로 다뤄지는 연구경향에 대한 설명이다. 맞지 않은 것은?
디자이너가 자신이 행하는 디자인 행위에 전적인 지배력을 가지고 있어 전지전능한 힘이 있는 동시에 이데올로기의 대리인 역할을 하고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56
프랑스 디자인너 레이몬드 로위의 “담배 럭키스트라이크 포장지” 디자인의 성공사례에 대한 설명이다. 적합하지 않은 것은?
디자인에 의해 강조된 청결함과 미국적이라는 관념이 모든 미국인들의 마음속에 존재하고 있었다는 사실은 디자이너의 창조물이라고 말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