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고객과 기업간의 가까운 관계 구축을 핵심목표로 제품이 고객에게 이르는 고정에서 중간매체가 개입하지 않는 것을 중시하는 마케팅 전략
D2C마케팅
2
정보와 의견을 교환하고 사회적 관계를 맺는 온라인상의 커뮤니티
온라인사회적네트워킹
3
일반인이지만 특정 주제에 대해 지식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다수의 소셜 미디어 청중과 신뢰관계를 구축한 사람 팔로어는 물론이고 대중들의 의사결정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함
인플루언서
4
소셜 미디어 플랫폼상에서 다수의 팔로어를 보유하고 있는 영향력 있는 개인인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마케팅
인플루언서마케팅
5
집단 구성원들 간 제품에 관한 정보를 교환하는 과정을 다룸
다단계흐름커뮤니케이션
6
사람들이 자신의 생각과 의견, 경험, 관점 등을 서로 공유하기 위해 사용하는 온라인툴과 플랫폼
소셜미디어
7
소셜미디어 플랫폼 상에서 다수의 팔로어를 보유하고 있는 영향력 있는 개인인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마켙이
인플루언서마케팅
8
정보전달과 영향력이 의견 선도자와 추종자간에 쌍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반영
다단계흐름커뮤니케이션
9
구전커뮤니케이션 과정에 가장 적극적으로참여함
사회적으로통합된소비자
10
집단 구성원들에게 정보를 제공하지만 다른 사람들로부터 정보를 추구하지 않음
사회적으로독립된소비자
11
전통적의미에서의 추종자
사회적으로의존적인소비자
12
내향적이고 비사교적인 사람
사회적으로고립된소비자
13
구전커뮤니케이션을 통해 다른사람의 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침
의견선도자
14
신제품 도입 초기에 제품을 수용하는 소비자 신제품 수용에 수반되는 위험을 기꺼이 감수
혁신소비자
15
소속커뮤니티에서 의견선도자, 새로운 아이디어 수용하나 신중함
조기수용자
16
신중하나, 보통 사람들보다는 빨리 새로운 아이디어 수용
조기다수자
17
의심이 많아 대다수가 수용한 후에야 새로운 것을 수용
후기다수자
18
전통에 묶여있어, 변화를 의심하고 혁신이 전통이 된 후에야 수용
최후수용자
19
개인 소비자의 행동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준거집단
가족
20
혈연, 결혼, 입양 등의 개인적 관계와는 상관없이 한 가옥 혹은 아파트에서 함께 숙식을 하는 사람들의 집합
가구
21
정보를 획득하고 평가함에 있어서 전문지식을 가지고 있으며 정보의 여러 원천을 가장 잘 아는 구성원
정보수집자
22
여러 상표 대안이 평가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사람, 브랜드 비교 평가를 위한 기준을 제시
영향력행사자
23
구매할 대안을 결정하는 사람
의사결정자
24
제품구매를 담당하는 사람; 점포 결정에 대한 재량권을 가질수도 있고, 가지지 않을수도 있음
구매담당자
25
가족전체일 수도 있고, 개별구성원일 수도 있음
소비자
26
두사람 이상이 의사결정에 참여하는 경우 대안에 대한 태도 및 선택과 관련하여 갈등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음
갈등해소
27
개인행동에 직접적 혹은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개인이나 집단
준거집단
28
타인의 행동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사람
준거인
29
공포 물리적 위협에 의존하는 힘
강제적힘
30
상대방에게 가치있는 것을 제공할 수 있는 능력으로부터 나오는 힘
보상적힘
31
전문적 기술이나 지식에서 오는 영향력
전문적힘
32
지위나 역할로부터 오는 공식적인 권한에 기초한 힘
합법적힘
33
개인에 대한 존경, 그 개인의 태도나 행동을 본받고 싶어하는 열망
준거적힘
34
서로 친밀해 구성원끼리 자주 접촉하기 때문에 개인의 행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구성원들간의 신념이나 행동 측면에서 유사성이 많아 응집력이 크다
1차집단
35
구성원들간의 만남이 가끔 이루어지는 집단
2차집단
36
구성원의 자격요건이 명확히 정의되어 있고 구성원의 명단과 조직구조가 문서화됨
공식집단
37
집단의 규범에 대한 수용정도와 순응정도에 따라 영향력이 달라지는 집단
공식집단
38
조직의 구조가 명확하지 않으며, 상호간의 친목에 근거를 둠
비공식집단
39
규범이 엄격할 수 있으나 문서화되는 경우는 적은 집단
비공식집단
40
장래 소속이 가능하며 개인과 집단 사이에 직접적 접촉이 이루어짐
기대열망집단
41
개인이 소속되기 어려운 집단이며 집단의 신념과 태도가 개인에게 수용된다
상징적열망집단
42
개인이 집단 구성원들의 가치나 행동을 회피하고자 하는 집단
회피집단
43
준거집단 구성원의 의견을 신뢰성 잇는 정보원천으로 받아들임
정보적영향
44
정보적 영향의 이론적 근거
사회적비교이론
45
소비자가 보상을 기대하거나 차별을 피하기 위해 다른 사람들의 기대에 순응하고자 할 때 발생
규범적영향
46
사람들이 특정 집단에 소속되거나 소속된 것을 나타내고 싶어 집단의 규범,가치, 행동을 따를 때 발생
가치표현적영향
47
일반소비자를 광고에 등장시켜 제품/브래드에 대해 증언
증언광고
48
특정 주제에 대해 개인들 간의 커뮤니케이션
구전커뮤니케이션
49
한동안 유지되어 온 균형상태가 깨지면서 걷잡을 수 없이 큰 변화가 일어나는 순간으로 구전의 중요성 중 하나다
티핑포인트
50
구전의 중요성으로 다른 사람들로부터 그들의 경험이 직접 전달됨
정보의생생함
51
신제품 구매 시 더욱 큰영향을 끼치는 구전
부정적구전
52
인터넷을 통해 현재나 과거의 고객 또는 잠재고객 사이에 언어적, 시각적으로 전달되는 개인간 커뮤니케이션
온라인구전
53
고객들로 하여금 인터넷을 통해 자발적으로 지인들에게 제품을 홍보하도록 유도함
바이럴마케팅
54
구찌화된다
Guccification
55
한 사회 내에서 거의 동일한 지위에 있으며 비슷한 관심사와 행동을 공유하는 사람들로 구성된 집단
사회계층
56
사회계층은 해당구성원들의 ㅇㅇㅇㅇ을 나타내
사회적지위
57
사회계층에서 동일 게층 구성원끼리 서로 유대관계를 가짐
행동에대한구속력
58
같은 사회계층 내의 구성원들은 태도,활동,관심 등에서 유사
사회계층의동질성
59
상위계층이나 하위계층으로의 이동이 가능
사회계층의동태성
60
문화는 ㅇㅇㅇㅇ이 되며 ㅇㅇ을 제공한다
욕구충족규범
61
사회구성원에 의해 공유된 이상적인 행동패턴이나 느낌
규범
62
성인이나 연장자가 어린가족 구성원들에게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를 가르침
공식적학습
63
가족 구성원이나 친구, tv, 주인공 등 타인들의 행동을 모방함으로써 이루어짐
비공식적학습
64
교육 환경 내에서 어린이들에게 무엇을 해야하며, 어떻게 해야하며 왜 해야하는지를 진술
기술적학습
65
자기문화에 대한 학습으로 지배적인 문화적 가치를 시간의 경과에 따라 사횢구성원들 자신의 개인적 가치로 내부화시키는 가정
문화화
66
외국문화/ 새문화에 대한 학습
문화이식
67
사회구성원들간에 가치나 경험,관습의 공유를 가능케 하는 중요한 문화구성요소
언어
68
문화공유역할을 담당하는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기간
가족
69
문화 전파의 기능 중 상당한 부분을 수해 경제개념이나 윤리개념을 통해 상당한 부분을 수행
학교와교회
70
제품이나 서비스의 수요에 대한 영향, 기존의 문화적 가치를 강화하거나 새로운 가치나 습관의 전파
대중매체
71
소비는 ㅇㅇㅇ 동시에 ㅇㅇㅇ
지속적동태적
72
정해진 순서에 따라 진행되며 정기적으로 반복되어 발생하는 상징적 행동들의 집합
의례
73
생일 선물이나 크리스마스 선물과 같이 특정 문화에 의해 규정되 경우
구조적요인
74
직장상사에게 개인적인 이유로 선물하는 경우와 같은 증정행위
상황적요인
75
바람직한 사고와 행동에 대해 사회구성원들이 공유하고 잇는 신념
문화적가치
76
선택행동이나 의사결정 시 주로 나에게 집중하도록 배우고 다ㄹ른 사라들의 목표보다 자신의 ㅗㄱ표를 우선시함
개인주의문화
77
선택행동을 함에 있어 우리에게 우선순위룯. 집단의 관점에서 자신의 보도록 학습. 순응과 조화
집단주의문화
78
대상을 맥락이나 배경에서 분리 용이, 독립적 자아관₩
저맥락문화
79
맥락이나 배경의 영향 강함, 상호의존적 자아관
고맥락문화
80
개인이 정보처리를 위해 노력을 기울이는 것을 즐기는 정도 즉 생각하기를 즐기는 경향
인지욕구
81
목표와 관련하여 긍정적결과의 추구와 부정적 결과의 회피 중 어느 것에 더 초점을 두는가?
조절초점
82
목표와 관련된 긍정적 결과 추구에 더 초점
향상초점
83
목표와 관련된 부정적 결과 회피 초점을 더 둔다
예방초점
84
불확실한 상황에서 이익이나 즐거움을 얻기 위해 위험을 감수하려는 정도
위험에대한태도
85
남과 다른 나만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이를 알리고자 하는 성향
독특성욕구
86
타인과의 차별성을 추구하여 남과 다른 자아이미지, 사회적 이미지를 개발하고 고양하려는 성향
독특성욕구
87
타인과는 다르지만 동시에 타인들도 좋아할만한 선택을 하려고 노력하는 성향
독창적선택
88
자신만의 개성을 확립하기 위해 집단 내 구성원들의 반감을 감수하고 규범에서 어긋나는 제품이나 브랜드를 선택, 사용하고자 하는 성향
비대중적선택
89
자신이 소유한 제품이나 브랜드가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범용품이 되었을때 해당 제품을 버리거나 사용을 중단하는 성향
유사성회피
90
개인의 행동이 상황의 영향을 받는 정도
자기감시성
91
지위나 부를 보여줄 수 있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는 성향
신분과시욕구
92
인생에서 궁극적으로 달성하고자 추구하는 것, 근본적으로 중요시하는 것
가치
93
개인이 인생에서 도달하려고 노력하는 최종 존재 상태
최종가치
94
최종가치에 도달하기 위해 개인이 선호하는 행동양식
수단적가치
95
개인의 가치 중 사회구성원들이 공통으로 보유하는 가치, 사회구성원들에 의해 광범위하게 수용되고 있는 핵심가치
문화적가치
96
소비자들은 속성자체보다 ㅇㅇㅇㅇ을 구매함
제품편익
97
제품 속성,편익,가치를 연결하는 소비자의 인지작용
수단-목적연쇄
98
개인의 독특한 삶의 양식
라이프스타일
99
라이프스타일의 조작적 측정도구로서 널리 사용되는 기법
싸이코그래픽스
100
개인이 시간을 어떻게 소비하는가
행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