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리스타 경영사 2급 - 3
  • KI Ki

  • 問題数 50 • 11/11/2023

    問題一覧

  • 1

    로스팅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분쇄한 후 추출을 통해서는 로스팅의 정도를 알 수 없다.

  • 2

    다음 설명은 어떠한 로스팅 방법을 나타내는 것인가? [가정에서 쉽게 볶아서 신선한 커피 맛과 향을 즐길 수 있는 방식으로 커피 매니아 사이에 호평받는 기구이다. 여러번 반복해서 연습하면 균일한 원두의 색깔을 얻을 수 있고 조직을 잘 벌어지게 할 수 있다.]

    수망 로스터

  • 3

    다음 설명은 어떠한 로스팅 방법을 나타내는 것인가? [드럼 표면에 직접 열량을 공급함과 동시에 드럼 후면에 있는 미세한 구멍을 통해 뜨거운 열풍도 같이 전달한다. 안정적인 커피맛과 향을 표현할 수 있으며, 균일한 원두의 색을 만들 수 있다. 그러나 화력, 시간의 밸런스에 따라 맛이 상당히 변하게 되므로 강한 개성이 감소한다는 특징이 있다.]

    가스 반열풍식 로스터

  • 4

    다음 설명은 어떠한 로스팅 방법을 나타내는 것인가? [순수한 열풍만을 이용함으로써 균일한 로스팅을 할 수 있으며 대량 생산 공정에 주로 사용된다. 단, 개성적인 커피맛을 표현하기는 조금 어렵다는 단점이 있으나 균일한 맛을 표현하기에 용이하다.]

    열풍식 로스터

  • 5

    로스팅되는 원두에서 발생되는 현상으로 틀린 것은?

    부피가 늘어나고 무게가 무거워진다.

  • 6

    커피 배전시 일어나는 물리적 현상으로 옳지 않은 것은?

    원두의 크기에 변화가 없다.

  • 7

    단종 블랜딩 (blending after roasting) 특성은?

    생두의 특성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다.

  • 8

    로스팅 된 정도에 따른 맛의 기준이다. 다음은 어떤 맛에 대한 설명인가? [쓴맛의 질이 강하고 자극적이며 혀에 남는다. 탄것 같은 향미가 있고 그을린 듯 한 맛도 느껴진다. 로스트의 상향으로써 이 이상 볶으면 향미를 잃는다. 생콩 그 자체의 향미가 아니고, 로스트에 의한 향미가 나와 버린다.]

    이탈리안

  • 9

    로스트 된 정도가 얕고 맛이 깊지 않으며 1차 진행이 된 정도의 원두 상태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시나몬

  • 10

    로스팅 할 때 주의 사항으로 바르지 못한 것은?

    1kg의 로스팅 머신을 기준으로 최대 생두 투입량은 800g 최소 투입량은 300g이다.

  • 11

    로스팅 시 컬러의 변화로 올바른 것은 무엇인가?

    Green-Yellow-Cinnamon-Light Brown-Medium-Brown-Dark Brown -Dark

  • 12

    로스팅 시 향의 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생두향-단향-단향과 신향-신향-신향과 커피고유의 향-커피고유의 향-향의 감소-향의 소멸

  • 13

    조밀도가 강하면서 수분함량이 많은 생두의 경우 로스팅 되는 모양의 변화에 대해 바르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원두 조직을 벌리는데 어려움이 적어 비교적 쉽게 로스팅 할 수 있다.

  • 14

    블랜딩 커피의 장점으로 맞는 것은?

    개인의 취향에 따라 원두의 종류와 혼합비율을 달리 할 수 있다.

  • 15

    로스팅 과정 중 Yellow단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발열반응 중 마지막 단계로 강한 커피향이 느껴진다.

  • 16

    1츠 크랙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못한 것은 무엇인가?

    로스팅 시 처음으로 티딕티딕 소리가 나는데 이때가 발열반응의 마지막 단계이다.

  • 17

    2차 크랙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못한 것은 무엇인가?

    로스팅 공부를 하다보면 자신의 의지와 무관하게 이 단계에 이루는 실수를 저지를 때가 있다.

  • 18

    Baked Bean의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투입량에 비해 너무 낮은 온도로 로스팅한 경우

  • 19

    로스팅 후 Raw Nut의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발열반응 시점에서 투입된 열량이 부족한 경우

  • 20

    로스팅되는 원두에서 발생되는 현상으로 틀린 것은?

    부피가 늘어나고 무게가 무거워진다.

  • 21

    블렌딩 (Blending)을 하는 이유로 바르지 않은 것은?

    원두의 유통기간을 늘리기 위하여

  • 22

    블랜딩 (Blending)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 원산지가 달라 그 맛과 향의 특성이 크게 차이가 나는 경우로 새로운 맛을 창조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

  • 23

    블랜딩 (Blending)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커피의 개성이 약해 다른 생두들과 섞었을 때 잘 어울릴 수 있는 특성을 가진 커피를 선택하는데 대표적인 것이 과테말라 커피이다.

  • 24

    최초의 블랜딩 커피는 무엇인가?

    Mocha-Java

  • 25

    커피 배합 비율을 결정하는 방법으로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커핑

  • 26

    원산지 명칭을 딴 블랜딩 시 그 지역의 커피를 적어도 몇% 이상 블랜딩 하는 것이 좋은가?

    30%이상

  • 27

    블랜딩(Blending)시 주의할 사항으로 옳은 것은?

    블랜딩에 사용되는 커피의 수는 제한이 없다.

  • 28

    로스팅 시 열 전달 방식으로 틀린 것은 무엇인가?

    전달

  • 29

    로스팅 후 원두의 변화 중 바르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무게가 무거워진다.

  • 30

    블랜딩 시 신맛과 과일향을 얻기 위하여 첨가되어야 하는 커피는 무엇인가?

    에티오피아 시다모

  • 31

    로스팅이 끝났을 때 변화하는 성분은 무엇인가?

    질소

  • 32

    로스팅 된 커피의 산화현상을 억제하기 위하여 차단해야 할 요소가 아닌것은 무엇인가?

    질수

  • 33

    로스팅의 과정 중 바르지 않은 단계는 무엇인가?

    세척 단계

  • 34

    블랜딩 (Blending)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블랜딩은 로스팅 전에만 가능하다.

  • 35

    로스팅 과정중 건조단계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수분이 소실되고 드럼의 온도가 상승된다.

  • 36

    커피 로스팅 정도를 나타나낸 용어로 바르지 않는 것은?

    Heavy City

  • 37

    로스팅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로스팅의 단계는 9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 38

    로스팅 단계 중 건조 단계에서 나오는 향이 아닌 것?

    초콜렛향

  • 39

    한가지 생두만을 사용하여 동일하게 로스팅한 커피는?

    스트레이트 커피

  • 40

    댐퍼의 기능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흡열과 발열반응을 조절하는 기능

  • 41

    커피 로스팅 과정에서 2차 크랙이 나타나는 시기의 온도?

    200-210도

  • 42

    생두의 탄수화물(Carbonydrates)은 로스팅에 의해서 어떻게 변화하는가?

    Polysaccharides

  • 43

    로스팅에 의해서 생두는 갈변현상을 보이는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지방

  • 44

    로스팅 되면 생두의 지방은 얼마나 증가하는가?

    약 4%

  • 45

    로스팅 되는 원두에서 발생되는 현상으로 틀린 것은?

    부피가 늘어나고 무게가 무거워진다.

  • 46

    커피 그라인더 선택 시 우선적으로 고려할 사항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커피 분쇄 임도 조절의 조작 버튼 확인

  • 47

    로스팅 한 후 블랜딩 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커피 특성에 차이가 적은 경우 적합한 방식이다.

  • 48

    블랜딩 후 로스팅 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최초의 적정한 블랜딩 비율을 결정 할 때 사용하는 방법이다.

  • 49

    커피를 블랜딩 할 때 기본으로 바르지 못한 것은 무엇인가?

    커피의 품질이 한종류 이상은 뛰어나야 한다.

  • 50

    다음 블랜딩은 어떤 맛의 커피를 이용할 때 가장 적절한 것인가? [브라질 Natural(40%) + 에티오피아 Yirgacheffee(15%) + 과테말라 안티구아 + 콜롬비아 Huila (25%)]

    신맛과 부드러운 뒷맛을 느낌, 아메리카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