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031. 곤충의 배자 발생 과정에서 중배엽성 세포가 분화된 기관으로 옳지 않은 것은?
말피기관
2
029. 소나무재선충병을 예방하기 위한 나무주사제로 적합한 약제는?
밀베멕틴 유제
3
047. 곤충 체벽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표피층은 바깥쪽에서부터 왁스층, 시멘트층, 외원표피, 내원표피 순으로 구성된다.
4
045. 곤충의 외부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입틀은 기본적으로 윗입술, 아랫입술, 한쌍의 큰턱, 1개의 작은턱으로 구성되어 있다.
5
033. 곤충의 진화 계통상 같은 계열로 연결되지 않은 것은?
집게벌레목 - 딱정벌레목
6
037. 곤충의 탈피와 변태 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번데기 중 다리나 큰턱을 따로 움직일 수 없는 형태를 나용이라고 한다.
7
040. 매미나방의 밀도억제 과정으로 옳지 않은 것은?
월동하는 번데기를 찾아서 제거한다.
8
036. 벌목(Hymenoptera)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성충의 날개는 1쌍이며 막질이다.
9
042. 수목해충 예찰조사의 시기와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복숭아유리나방: 6월에 벚나무 잎 200개에서 유충 섭식 피해도 조사
10
028. 수목 해충의 날개 발생과 가해 방식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외줄면충 - 내시류 - 충영형성
11
035. 수목을 가해하는 해충의 발생세대수, 목명, 학명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미국선녀벌레 - 1회, Lepidoptera, Metcalfa pruninosa
12
038. 수목해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외줄면충의 여름 기주는 대나무류이다.
13
039. 식식성 곤충의 먹이 범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식물 4개 과(family) 이상의 식물을 먹이로 하는 광식성 해충은 황다리독나방이다.
14
049. 식엽성 해충의 방제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좀검정잎벌: 볏짚 등을 이용하여 유인한 후 제거한다.
15
050. 어떤 곤충의 온도(x)에 따른 발육률(y)은 아래와 같이 추정되었다. 아래 그래프를 보고 유효적산온도(온 일도)를 계산하시오.
50
16
043. 종합적 해충관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경제적 피해허용수준에 도달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경제적 피해(가해)수준에서 방제한다.
17
027. 해충과 천적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솔나방 - 어비진디벌
18
048. 해충의 생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철쭉띠띤애매미충은 잎 앞면을 흡즙하며 검은 배설물을 많이 남긴다.
19
041. 해충의 화학적 방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솔껍질깍지벌레는 후약충기인 7월에 나무에 살포한다.
20
032. 해충이 어떤 식물을 섭식하였을 때 유독물질이나 성장저해물질로 인하여 죽거나 발육이 지연되는 내충성 기작은?
항생성
21
030. 곤충 중앙신경계의 뇌는 3개신경절이 연합되어 있다. 이 중 후대뇌가 관장하는 부위는?
윗입술, 전위
22
026. 곤충의 면역기능과 해독, 혈당 조절 등을 담당하는 것은?
지방체
23
034. 성충으로 월동하는 곤충으로 바르게 나열된 것은?
느티나무벼룩바구미, 오리나무잎벌레
24
044. 해충의 발생 밀도 조사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유아등 조사 : 주지성을 지닌 해충 조사
25
046. 해충과 피해 특성의 연결로 옳지 않은 것은?
잎벌레류, 노린재류 : 잎을 갉아 먹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