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2차 갑오개혁시기 (?)의 반포로 (?)가 설립되었다.
교육입국조서, 소학교
2
1896년 고종이 러시아 공사관으로 피신한 사건을 (?)이라 한다.
아관파천
3
흥선대원군은(?)를 실시하여 양반에게도 군포를 징수했다.
호포제
4
(?)은 1896년 (?)을 발행하였다.
서재필, 독립신문
5
임오군란의 결과 일본과 (?)을 체결하였다
제물포 조약
6
개화 정책 추진을 위하여 정부는 일본에 (??) 을 파견하였다.
수신사, 조사시찰단
7
1871년 신미양요 때에는 (?) 장군이 (?)에서 항전했다.
어재연, 광성보
8
흥선대원군은 (?)를 실시하여 환곡제를 개편하였다
사창제
9
동학농민운동의 구호는 (?)이었다.
보국안민
10
광무개혁으로 서울에 (?), 지방에 (?)가 설치되었다.
시위대, 진위대
11
1866년 프랑스가 강화도를 공격해 오는 (?)가 발생했다
병인양요
12
(?)는 조선을 스위스를 모델로 하는 영세 중립국가로 만들자고 주장하였다.
부들러
13
1875년 (?)의 결과 일본과 (?)이 체결되었다.
운요호 사건, 강화도 조약
14
1860년대 위정척사운동은 (?)으로 전개되었다.
통상반대운동
15
1880년대 정부는 개화정책을 추진하기 위하여 (?)을 설치하였다.
통리기무아문
16
1882년 구식군인들은 신식군대와의 차별대우에 반발하여 (?)을 일으켰다.
임오군란
17
흥선대원군은 경북궁을 중건하지 위해 (?)을 빌행했다.
당백전
18
러시아의 남하를 견제하기위해 영국은 1885년 (?)을 일으켰다.
거문도 사건
19
조미수호통성조약의 경과 미국에 (?)가 파견되었다.
보빙사
20
1904년 1차 한일협약으로 외교 고문 (?)이 파견되었다.
스티븐슨
21
독립협회는 (?)에서 (?)를 결의하였다.
관민공동회, 헌의 6조
22
1907년 (?)이 발생하였다.
정미의병
23
1904년 일본이 군사 거점 이용 등을 위하여 대한제국에 (?) 체결을 강요하였다.
한일의정서
24
을사늑약이 선포돠자 장지연은 (?)에 논설(시일야방성대곡)을 실어 자항하였다.
황성신문
25
흥선대원군은(?)이라는 법전을 편찬하였다.
대전회통
26
조선은 청나라의 속국임을 명시한 장정은?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
27
갑신정변의 결과 일본과 (?)을 체결하였다.
한성조약
28
(?)의 주도로 1차 갑오개혁이 실시 되었다.
군국기무처
29
동학 농민군의 2차 봉기는 (?) 전투의 패배로 실패하였다.
공주 우금치
30
(?)의 유포로 미국과 조미수호 통상조약을 체결하였다.
조선책략
31
1894년 5월 정부와 동학농민군은 (?)을 체결하였다.
전주화약
32
1882년 조선은 미국과 (?)을 체결하였다.
조미수호통상조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