暗記メーカー
ログイン
약리학 8장 심혈관계
  • 곽가람

  • 問題数 23 • 6/5/2024

    記憶度

    完璧

    3

    覚えた

    10

    うろ覚え

    0

    苦手

    0

    未解答

    0

    アカウント登録して、解答結果を保存しよう

    問題一覧

  • 1

    심부전은 심장 판막증, 심장 기형 및 고혈압 등에 의해 유발된다. 이러한 질환은 심장에 심한 부하를 주고 심장이 이 부하를 회복하지 못하는 과정이 심부전증인 것이다. 심부전은 좌심 부전증과 우심 부전증으로 나뉘는데 좌심 부전증은 ㅡㅡㅡㅡㅡ가 우심 부전증은 ㅡㅡㅡㅡㅡ가 나타난다.

    좌심 부전증- 폐 부종, 호흡곤란 우심 부전증-말초 부종, 간 종대, 복수

  • 2

    심부전 치료약에는 강심약,-------가 있다 강심약에는 -----,------,-------가 해당한다.

    혈관 확장약 digitalis류 B-adrenaline 수용체 효능약 phosphodiesterase 억제약

  • 3

    강심약 중 -------는 심근 세포막에 있는------를 억제하여 Na+의 세포 밖 유출을 감소시키면, 세포 내 Na+농도가 증가하여----를 억제함으로써, --의 세포 밖 유출을 차단하여 심근세포 내의 --이온을 증가시켜 심근의 수축력을 강화시킨다.

    Digitalis류 Na+/K+-ATPase Na+/Ca2+ exchange Ca2+

  • 4

    ----는 임상응용 시 울혈성 심부전 및 심방세동 및 심방조동에 사용한다. 또한 부작용은 -----이다. 여기에 해당하는 대표적 약물로 -----이 있으며 이는 좌심실 수축 부전 환자에 사용한다.

    Digitalis류 약물의 안전역이 좁다 Digoxin

  • 5

    B-adrenaline 수용체 효능약은 ------로 쓰일 수 있고 --------,--------- 이 여기에 해당한다. 또 B1-adrenaline 선택적 효능약에는 -------가 있고 이 약 또한 마찬가지로-----로 쓰일 수 있다.

    강심약 dopamine norepinephrine dobutamine 강심약

  • 6

    임상에서 응급 심부전증에 정맥주사하는 용도로 쓰이는 강심약은-------이고 이 약물의 부작용은 오심,두통,심계항진,빈맥,부정맥이다.

    B-adrenaline 수용체 효능약

  • 7

    PDE 억제약에는 -------,-------가 있고 그 작용기전은 다음과 같다. B-adrenaline효능약이 adenylyl cyclase를 활성화해 --------를 증가시켜 심근 수축력을 증가시키는 반면 PDE억제약은 PDE를 억제하여 -------를 증가시켜 심근 수축력을 증가시킨다.

    amrinone,milrinone cAMP의 농도

  • 8

    심부전 치료약에는 강심약과 혈관 확장약이 있다. 이 중 혈관 확장약은 -------억제약과 ------확장약이 있다

    ACE 직접 혈관

  • 9

    ACE억제약은 -------이 ---------로 전환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angiotensin2에 의해 생성되는 부정맥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심부전 치료에 많이 사용하고 있다.

    angiotensin1 angiotensin2

  • 10

    직접 혈관 확장약에는 동맥 확장약인-------- 과 정맥 및 동맥 확장약인-------- 가 있다.

    hydralazine nitroprusside

  • 11

    다음은 고혈압에 관한 내용이다. 괄호를 채우시오. 혈압은 (♤)과 (♧)에 비례한다. 혈압=(♤×♧) 고혈압은 심혈관계 질환으로써, 연령별(-----)보다 환자의 혈압이 상승되어 있는 질병이다. (-------)이 (--------) 이상이거나 (------)이 (------)이상인 경우를 고혈압이라고 한다

    심박출량 말초 혈관 저항 정상혈압 수축기 혈압 140mmHg 확장기 혈압 90mmHg

  • 12

    고혈압 치료약에는 --------- , ----------, ------------,------------, ----------,------------, ------------이 있다. 고혈압 환자들은 보통 약물을 병용투여하기 때문에, (---------)이 나타날 수 있다.

    이뇨약 중추성 교감신경 억제약 말초성 교감신경 억제약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약 angiotensin2 수용체 차단약 칼슘 통로 차단약 혈관 확장약 기립성 저혈압

  • 13

    이뇨약에는 thiazide계 , loop계, K+보존성 이뇨약이 있다. 이중 (H-------)는 (----)계,(F----)는 (-----)계 이뇨약으로 임상에서 자주 쓰인다.

    Hydrochlorothiazide thiazide계 Furosemide loop계

  • 14

    (------)는 임상적으로 본태성 및 신성 고혈압, 울혈성 심부전 등에 의한 부종 등에 응용된다

    이뇨약

  • 15

    혈압은 혈액 속의 염분(특히 Na+이온)농도에 따라 달라지므로, 염분 농도가 낮아지면 혈압도 저하된다. 이뇨제는 체내의 (-----------)을 (---)시킴으로써 (-------)을( ---)시켜, (--------)을 (----)시켜 혈압을 저하시킨다.

    NA+이온 또는 전해질의 배설, 증가, 수분배설, 증가, 혈장량과 혈관 수축력, 감소

  • 16

    이뇨약은 부작용이 적어 비교적 안전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장기간 복용해야 하는 고혈압 환자에게 (----------)으로 사용되고 있다.

    1차적인 선택약

  • 17

    협심증은 ------의 -----장애로 심장근육에 -------이 부족하여 발생하는 ------심장질환이다.

    관상동맥, 순환, 산소공급, 허혈성

  • 18

    협심증 치료약에는 (---------)과 (--------)이 있다.

    관상혈관 확장약 심장 억제약

  • 19

    관상혈관 확장약에는 (------)과 (-----)이 있다 (N_____n)는 (------)에 해당하고, (n_____e)는 (-----)에 해당한다.

    아질산염과 질산염 칼슘 통로 차단약 Nitroglycerin 아질산염과 질산염 nifedipine 칼슘 통로 차단약

  • 20

    심장 억제약에는 B-adrenaline 효능 차단약과 (♡)이 있다. (♡)에 해당하는 대표적 약물로 (v-------)와 (d-----)이 있다.

    심장 선택성 칼슘 통로 차단약 verapamil diltiazem

  • 21

    혈관 확장약 중 직접 혈관 확장약은 고혈압 치료제로도 쓰이지만 심부전 치료제로 쓰이기도 한다. 고혈압과 심부전 둘 다에 자주 쓰이는 약물로는 (h___)과 (n____)가 있다. 그리고 위의 두 가지와 함께 (d____)가 고혈압 치료에 자주 쓰인다.

    hydrarazine nitroprusside diazoxide

  • 22

    칼슘 통로 차단약은 고혈압 치료와 협심증 치료 둘 다에 쓰이는 약물이다. 또 그 하위 분류로 심장 선택성 칼슘 통로 차단약이 있다. 칼슘 통로 차단약에는 (a_____),(b____),(n_____), (c_____),(v_____)가 있으며 이 중 (v____)는 diltiazem과 함께 심장 선택성 칼슘 통로 차단약으로 분류된다. +협심증 치료에서 칼슘 통로 차단약은 관상혈관 확장약으로 심장 선택성 칼슘 통로 차단약은 심장 억제약으로 쓰인다.

    amlodipine benidipine nifedipine cilnidipine verapamil

  • 23

    말초성 교감신경 억제약에는 a1-adrenaline 수용체 차단약과 B-adrenaline 수용체 차단약이 있다. B-adrenaline 수용체 차단약은 다시 비선택성(B1과 B2 모두에 작용)과 선택성(B1에만 작용)으로 나뉘어 지는데 선택성 차단약은 천식에도 이용된다. 비선택성 B-adrenaline 차단약에는 (p____)가 선택성 B1-adrenaline 수용체 차단약에는 (m______),(b_____),(c_____)가 있다.

    propranolol metoprolol bisoprolol celiprol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