暗記メーカー
ログイン
통신사
  • 박시원

  • 問題数 98 • 10/3/2024

    記憶度

    完璧

    14

    覚えた

    37

    うろ覚え

    0

    苦手

    0

    未解答

    0

    アカウント登録して、解答結果を保存しよう

    問題一覧

  • 1

    1.EPIRB에서 발사하는 백색 섬광등의 용도는?

    EPIRB TEST MODE시 15초간 홍색점멸 후 백색 섬광등이 발하면 TEST 완료를 표시

  • 2

    2.VHF 무선설비의 출력종류와 최대출력시 유효거리에 대해 설명하시오

    출력의 종류는 25w와 1w가 있고, 최대출력시 유효거리는 약 30해리이다.

  • 3

    3.VHF 무선설비의 스켈치란?

    수심감도를 조정하여 잡음을 제거할때 사용하는 것이다

  • 4

    4. GMDSS 무선업무일지 (RADIO LOG)에 필수적으로 기록해야 하는 내용을 설명하시오

    발생시간과 함께 다음 사항을 기록한다 1. 조난, 긴급, 안전 무선통신의 개요 2. 무선업무와 관련된 중대한 사건 3. 적정한 경우 적어도 하루에 한번 선위 4. 전원을 포함하여 무선설비의 상태요약

  • 5

    5. VHF 무선설비에서 스켈치 최대로 설정하면 일어나는 현상을 설명하시오

    수신감도가 커져 주변잡음이 커지고, 미약한 신호를 수신할수 있게 된다

  • 6

    6. 선박의 종류와 톤수에 따라 GMDSS 선박에서 2 WAY VHF무선설비의 탑재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ㆍ국제항해 종사하는 여객선 및 총톤수 500톤 이상의 화물선은 3대 이상, 국제항해에 종사하는 총톤수 300 톤 이상 500톤 미만의 화물선은 2대 이상 탑재해야 함

  • 7

    7. 2way VHF와 일반 트랜시버의 차이점을 주파수와 색상을 포함하여 설명하시오

    2 way VHF는 황색/주황색이 나타나야 하며, 주파수는 CH.16및 선박통신채널 중 하나 이상을 갖추어야 한다

  • 8

    8. 2 way VHF의 작동시간 및 주 배터리와 보조배터리의 차이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배터리의 용량은 송신1, 수신1, 대기8의 비율로 8 시간 이상 사용가능해야 한다. 주 배터리는 2차전지로 충전이 가능하지만 예비 배터리는 1차전지로 충전이 불가능하며 유효기간은 2년 이상이어야 한다

  • 9

    9. GMDSS선박의 DSC 청취의무 주파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MF : 2187.5 KHZ HF : 8414 KHZ or 4207.5 ㆍ6312ㆍ12577ㆍ16804.5 kHz 중 양호 주파수 한개 이상 VHF : 156.525 MHZ (CH.70)

  • 10

    10. DSC란 무엇이고, DSC로 할 수있는 호출의 종류를 설명하시오

    DSC란 MF,HF,VHF 대의 무선설비에 부가되어 디지털 신호로 처리된 MMSI를 사용하여 각종 호출 및 응답을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호출의 종류에는 개별호출, 그룹호출, 일괄호출, 전화호출, 조난ㆍ긴급ㆍ안전 호출이 있다.

  • 11

    11.위성 EPIRB의 방수조건과 해수면상 투하조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전기적 부분이 수심 10m 에서 5분이상 방수되여야 하며, 20m 높이에서 해상에 떨어트렸을 경우에도 손상을 입지 않을 것

  • 12

    12. 위성 EPIRB의 통상적인 설치 위치와 EPIRB가 자동으로 부양할 수 있는 조건을 설명하시오

    윙 브릿지ㆍ탑 브릿지의 개방된 장소에 설치하고, 조난ㆍ침몰 시 수심 4m 이내에서 수압에 의하여 자동 부상하여 조난 경보를 송신해야 한다

  • 13

    13. 위성 EPRIB에서 사용하고 있는 항공기 호밍신호가 무엇인지 호밍주파수를 포함하여 설명

    호밍신호는 121.5mhz로, 보내는 위치측정신호로 수색기에서 이 정보를 통해 생존정의 위치로 접근할 수 있다.

  • 14

    14. 위성 EPRIB의 배터리 사용시간과 교환주기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사용시간은 48 시간 이상이며, 교환주기는 5년이다.

  • 15

    15. 위성 EPRIB에 의한 조난신호의 장단점을 설명하시오

    EPRIB는 서비스 범위가 매우 넓지만 조난신호가 RCC에만 전달되고 주변선박에 직접적으로 신호를 전파하지 못한다. EPRIB에는 LEO EPIRB와 MEO EPIRB가 있는데, LEO는 전세계를 서비스범위로 하나 경보신호를 수신하기까지 지연이 발생하지만, MEO는 고도가 높고 서비스가 연속적이기 때문에 LEO의 단점이 해소된다.

  • 16

    16. Cospas SARSAT 시스템 구성요소 중 LUT가 무엇이며 LUT에서 수행하는 가장 중요한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LUT는 local user terminal의 약자로, 위성에서 수신되는 전파의 도플러현상 또는 EPRIB로 부터 GPS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조난선박의 위치를 찾아내고 MMSI를 분석하여 선명을 확인한 후, 이를 MCC에 송신한다. (MCCᆢMISSION CONT. CENTER)

  • 17

    17. 위성 EPRIB에서 사용하는 주파수와 용도를 설명하시오

    ㆍ위성향 406mHz :Cospas SARSAT위성에 선박국적및 ID번호와 MMSI등을 발사하여 RCC에 조난사실을 알린다. ㆍSAR 항공기 호밍용 121.5mHz : sar 항공기에서 호밍신호를 추적하여 방위를 결정함으로서 생존정의 위치로 접근한다.

  • 18

    18. 위성 EPRIB에서 조난신호가 자동으로 발신되기 위한 조건 2가지를 설명하시오

    고정장치에서 이탈되어 자석스위치가 작동하고 해수에 접촉되어 해수접점스위치가 작동해야 한다.

  • 19

    19. Cospas SARSAT과 INMARSAT 위성궤도의 차이점을 설명하시오.

    CPS 위성은 전세계를 서비스범위로 하며, 도플러 효과를 이용해 조난위치계산이 가능하나 서비스 영역이 연속적이지 못하여 조난정보를 수신하기 까지 지연이 발생한다 INM 위성은 남북위 70도 이내에서는 서비스 영역이 연속적이므로 조난정보를 수신하는데 지연이 발생하지 않으나 도플러 효과를 이용하지 못하므로 조난위치계산이 불가능하다.

  • 20

    20. 위성 EPRIB에서 조난 신호가 발신될 경우 발신되는 조난신호의 내용이 어떤 것인지 설명하시오

    ㆍ15자리의 16진수를 사용한 EPIRB ID ㆍ국가정보 ㆍMMSI정보 ㆍGPS 경위도

  • 21

    ★21. 위성 EPRIB에서 조난신호가 발신될 경우 그 조난신호의 전달 경로 설명

    EPIRBㅡCospas SARSATㅡLUTㅡMCC ㅡRCC

  • 22

    22. VHF 무선설비에 사용되는 안테나와 INMARSAT 타입 F 선박지구국설비에 사용되는 안테나의 종류와 지향성에 대해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VHF 무선설비안테나는 무지향성 폴디드 다이플, 휩안테나가 있고 지향성 야기 안테나가 있다 INM F77은 지향성 파라볼릭안테나를 사용하며 선박지구국 안테나가 통신위성안테나를 잘 볼수 있도록 하기 위한 tracking 장치가 필요하다

  • 23

    23. INMARSAT 선박지구국 설비의 type F 와 type C의 통신방식 및 서비스 종류, 안테나, 해사안전정보가능여부 등을 설명하시오

    type F ㆍ디지털전송방식을 이용해 전화/팩스/텔렉스/이메일 서비스를 제공하며 지향성 파라볼릭 안테나를 이용하여 tracking 장치가 필요하다 type C ㆍ축적 전송방식을 이용해 텔렉스 및 이메일 서비스를 제공하며 EGC 수신기능이 탑재되어 있고, 무지향성의 소형안테나를 사용한다

  • 24

    24. INMARSAT 선박지구국 설비를 사용하여 일반 텔렉스 전문을 육상으로 전송할 경우 어떻게 수신자에게 전송되는지 설명하시오

    축적전송방식을 이용해 메세지를 저장한뒤 전송순서에 따라 전송하므로 지연시간이 발생한다. SES 선박지구국ㅡINMCㅡCES 해안지구국

  • 25

    25. INMARSAT 선박지구국 설비를 사용하여 조난신호를 전송할 경우 조난신호를 전송할 경우 조난 신호의 전달경로를 설명하시오.

    SES ㅡ INM CㅡCES ㅡRCC구조조정본부

  • 26

    26. 선박국MMSI와 해안국 MMSI의 중요한 차이점을 설명하시오

    특정선박국 MMSI는 MID 세자리와 선박국 식별번호 6자리 그룹선박국 MMSI는 0을 앞에 두고 MID세자리와 선박국식별번호 5자리 특정ㆍ그룹 해안국 MMSI는 00을 앞에두고 MID 세자리와 해안국 식별번호 4자리 로 이루어진다

  • 27

    27. MMSI와 MID가 무엇인지 원어와 의미를 설명하시오.

    MMSI ㆍmari. mobile service identity ㆍ해상이동업무식별부호로 ㆍ선박국, 선박지구국, 해안국,해안지구국의 호출을 식별할 수 있는 9자리 숫자부호이다 MID ㆍMari. identification Digit ㆍ해상식별숫자로 ㆍ3자리로 이루어진 특정선박국 및 해안국의 국가별 코드를 의미한다 ㆍ한국은 440 ,441

  • 28

    28. MMSI가 사용되고 있는 GMDSS 무선설비의 종류에 대하여 설명

    VHF, MF, HF의 DSCㆍEPIRBㆍSARTㆍAIS등이 있다

  • 29

    29. Navtex 시스템에서 사용하고 있는 주파수의 종류와 용도를 설명하시오

    518kHz는 국제용으로 영어를 사용하고 490kHz는 국내용으로 자국어를 사용한다.

  • 30

    30. Navtex 메세지중 수신을 거부할수 없는 메세지 종류를 설명하시오

    Aㆍ항행경보 Bㆍ기상경보 Dㆍ수색정보및 해적활동 경보 Lㆍ항행경보 부가 메세지

  • 31

    31. Navtex 메세지의 시작부호와 종료부호에 대해 설명하고 기술코드가 WA01일때 각각의 자리가 의미하는 내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시작부호는 ZCZC 종료부호는 NNNN 기술코드 첫번째 자리는 송신국 식별코드 두번째 자리는 메세지의 종류 세번째와 네번째자리는 메시지 번호로, WA01은 송신국, 항행경보, 메시지 번호 01번을 의미한다

  • 32

    32. 한국 Navtex 방송국의 코드와 방송시간 주기를 설명하시오

    한국의 Navtex 방송국 중 죽변의 방송국 코드는 영문 v, 국문 j 변산의 방송국 코드는 영문 w, 국문 k 이며 매일 국문ㆍ영문 각 4시간 간격으로 6회 방송하여 회당 10분간 방송한다. 죽변은 영문 0030, 국문 0230 부터 변산은 영문 0040, 국문 0240 부터 시작한다

  • 33

    33. MSI와 국제Navtex업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MSI ㆍMARI. SAFTY INFO. ㆍ항행경보, 기상경보, 수색구조, 해적정보등 해사안전정보를 의미하며 국제Navtex업무는 518kHz 주파수를 이용하여 연근해에서 해사안전정보를 수신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 34

    32. GMDSS 설비중 해사안전정보의 수신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는 설비의 종류와 차이점을 설명하시오

    NAVTEX 와 EGC가 있으며, Navtex는 중파를 이용해 연근해에서 해사안전정보를 수신하고 EGC는 INM 위성을 이용하여 대양과 NAVTEX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 해역에서 해사안전정보를 수신한다

  • 35

    35. RADAR SART의 기능에 대해 설명하고 거리에 따른 표시를 설명하시오

    RADAR SART의 기능은 조난 시에 9GHz의 x band Radar 전파를 수신시 9200-9500MHz의 주파수로 송신하여 상대선의 x band radar 상에 sart 방향과 거리를 알려주는 점선이 나타난다 레이더로 부터 2nm이상 떨어진 경우 12개의 점으로 구성된 점선이 나타나고 1nm이상 떨어진경우 호 모양의 점선이 나타나고 0.2마일 이내 접근 시 원형의 점선이 나타난다

  • 36

    36. GMDSS 선박에서 SART의 통상적인 설치위치와 탑재기준에 대해 설명하시오

    일반적으로 브릿지에 위치하며, 구명정으로 퇴선시 1대를 지참하여 구명정의 높은 곳에 설치한다. 국제항해에 종사하는 여객선 및 총톤수 500톤 이상의 국제화물선은 2대, 국제항해에 종사하는 총톤수 300 이상 500미만의 화물선은 1대를 탑재해야 한다

  • 37

    37. RADAR SART의 작동절차와 배터리 사용시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안전핀을 뽑고 본체 가운데의 switch를 on 시키면 beep음이 울리고 lamp가 점멸하며 자동작동한다 작동 후 수면에서 1m이상이 되게 구명정 설치대의 최대한 높은 곳에 설치한다. 구조선박이 10nm 내로 접근하면 x band radar 화면에서 sart의 응답신호를 확인가능하다 배터리는 수신대기상태로 96시간, 응답신호 발사 상태로 8시간이상 사용가능해야 한다

  • 38

    38. 본선에서 RADAR SART를 테스트하는 절차와 테스트신호가 어디에 어떻게 나타나는지 설명하시오

    먼저 x band radar 작동을 확인하고 sart 보관위치에서 탈착하여 스위치를 테스트모드에 두고 sart의 녹색 점멸을 확인한다. x band 레이더에서 삐소리와 함께 본선 주위로 원형의 점선이 나타나는것을 확인한 후 스위치를 off 상태로 전환한다

  • 39

    39. GMDSS용 MF/HF 무선설비가 갖추어야 하는 기능 3가지를 설명하시오

    SSB 무선전화 기능 NBDP 기능 (Narrow band direct printing) DSC 기능 (digital selective calling)

  • 40

    40. GMDSS 선박에서 VHF 무선설비의 청취 의무 채널 및 주파수, 그리고 각각의 용도 설명

    CH 70 ㆍ156.525 MHz ㆍDSC 조난경보 발신에 사용되는 조난안전 호출 주파수 CH 16 ㆍ156.80MHz ㆍ조난호출 및 통보, 조난현장통신과 일반통신에 사용하는 주파수

  • 41

    41. VHF 무선설비에서 SIMPLEX 채널과 DUPLEX 채널의 정의와 중요한 차이점을 설명하시오

    simplex는 단신채널로 송신과 수신주파수가 서로 동일해서 송신중 상대신호 청취가 불가능하므로 송수신을 번갈아 해야한다. duplex는 복신채널로 송신과 수신주파수가 서로 달라서 송신중에도 상대의 신호 청취가 가능하다.

  • 42

    42. DSC 기능을 가지고 있는 GMDSS 무선설비의 종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ㆍVHF,무선설비 ㆍ MF무선설비 ㆍMF, HF 무선설비와 ㆍVHF EPIRB 가 있다

  • 43

    43. GMDSS 제도에서 규정하고 있는 해역의 구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A1 해역은 육상의 VHF 해안국의 통신범위내의 20-30해리정도의 구역이고 A2 해역은 A1 해역을 제외하고 육상의 MF 해안국의 통신범위 내의 100해리 정도의 구역이며 A3 해역은 A1,A2 해역을 제외하고 정지해사위성의 유효범위내의 남북위 70도 내의 구역이며 A4 해역은 A1.A2.A3 해역 이외의 구역이다.

  • 44

    44. GMDSS 일반 무선 통신설비 중 통신거리가 짧은 것부터 순서대로 설명하시오

    VHF무선설비ㅡMF 무선설비ㅡMFHF 무선설비ㅡINM 선박지구국 설비 순이다.

  • 45

    45.GMDSS 무선설비 중 A4해역에서 사용 불가능한 설비와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

    EGC 수신기, INM 선박지구국 설비 등 INM 관련설비는 남북위 70도 내에서만 이용가능한 정지궤도 위성을 이용하기 때문에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A4 구역을 항행하는 선박은 이를 보완하기 위해 MF HF 설비를 탑재한다

  • 46

    46. A1 항행구역에서만 운항하는 총톤수 400톤의 국제 화물선에 반드시 탑재해야하는 무선설비의 종류를 설명하시오

    VHF, NAVTEX 수신기, EPIRB, SART, 2WVHF A2 + MF A3 + MF, INM SES A4 + MFHF

  • 47

    47. 선박이 퇴선할 경우 구명정으로 옮겨야 하는 GMDSS 무선설비의 종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WVHF와 EPIRB, SART이다

  • 48

    48. SOLAS 규칙에서 정하고 있는 GMDSS 제도의 강제 대상선박에 대해 설명하시오

    국제항해에 종사하는 여객선 및 총톤수 300톤 이상의 국제 화물선

  • 49

    49. GMDSS 무선설비 중 인공위성을 사용하는 설비의 종류를 설명하시오

    INM SES EGC 수신기 위성 EPIRB

  • 50

    50. HF SSB 통신에서 주간과 야간에 따라 통신 주파수를 어떻게 선택해야 하며 그 이유늘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HF통신은 전리층반사를 이용하는데, 주간에는 전리층의 전자밀도가 높고 야간에는 낮다. 따라서 주간에는 높은 주파수대를, 야간에는 낮은 주파수대를 이용해야한다.

  • 51

    51. 더미안테나의 의미와 용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실제 안테나가 아니라 전자회로로 송수신기 test 및 출력점검 시 사용하는 가상의 안테나이다. 송신출력관에서 나온 에너지를 열로 소모하며 전파를 발사하지 않는다.

  • 52

    52. 단파HF 및 초단파VHF의 주파수 범위와 전파의 경로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HF는 3ㅡ30MHz로 전리층파의 경로로 도달하며 VHF는 30ㅡ300MHz로 직접파, 대지반사파의 경로로 도달한다.

  • 53

    53. 선위통보제도의 목적과 KOSREP의 대상선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선위통보제도의 목적은 선박의 동정파악과 신속하고 효과적인 수색구조이며, KOSREP의 대상선박은 ㆍ국제항해에 취항하는 여객선 ㆍ국제항해에 취항하는 총톤수 300톤 이상의 선박중 항해시간이 12시간이상인 선박 ㆍ조종불능선, 조종제한선,흘수제약선 ㆍ예인선열의 길이가 200M를 초과하는 예인선 ㆍ위험물운송선박

  • 54

    54. 국가별 선위통보제도와 보고의 종류에 대해 설명하시오

    미국은 AMVER, 호주는 MASTREP, 일본은 JASREP 한국은 KOSREP이며 보고의 종류에는 항해계획통보 SP sailing plan 위치통보 PR posn report 변경통보 DR dev. report 최총통보 FR final report

  • 55

    55. 주전원,비상전원, 예비전원에 대해 설명하고 예비전원의 정격전압과 점검주기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주전원은 항해나 하역작업시 사용하는 전원이고 비상전원은 주전원이나 보조전원 발전기 등이 고장났을 경우 사용하는 전원이며 예비전원은 주전원, 비상전원까지 고장 시 조난과 긴급호출 등을 위하여 보관하는 축전전원이다. 예비전원의 정격전압은 24V이며, 점검주기는 1년이다.

  • 56

    56. 급전선이란 무엇인지 설명하고 주요 급전선의 용도와 종류를 설명하시오

    급전선은 전력공급을 목적으로 송수신장치와 안테나를 연결하는 선이다. 주로 동축 케이블이사용되며 극초단파 이상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경우 표피현상을 줄이기위해 도파관으로 사용한다.

  • 57

    ★57. 도약거리와 불감지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도약거리는 송신점으로 부터 전파가 발사되어 전리층반사후 처음으로 지상에 이르기 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불감지대는 지표파가 도달하지 않는 지점에서 상공파가 전리층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지점 사이의 전파를 수신하지 못하는 지역을 뜻한다

  • 58

    58. 의무선박국은 무엇인지 설명하고 의무선박국의 허가유효기간과 정기검사 주기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의무선박국은 무선전신ㆍ전화등 무선설비를 구비할 의무가 있는 선박의 무선국을 의미한다. 의무선박국의 허가 유효기간은 무기한이며, 정기검사주기는 1년이다.

  • 59

    59.정재파와 정재파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정재파는 급전선상에서 진행파와 반사파가 합성하여 파동이 정지한 것처럼 보이는 파동이다. 정재파비는 정재파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정재파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비로 구하며 항상 1보다 크거나 같다. 1이면 반사파가 없고, 크면 반사파가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 60

    60.선박국과 선박지구국의 차이점을 설명하시오

    선박국은 선박에 개설하여 해상이동업무를 하는 무선국이고 선박지구국은 선박에 개설하여 해상이동위성업무를 하는 무선국이다.

  • 61

    61. SSB가 무엇인지 설명하고 SSB 변조방식의 종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SSB는 Single Side Band, 단측파대로 양측파대통신에서 반송파와 상하측파대의 어느한쪽을 버리고 다른 한쪽으로만 통신하는 방식이다. SSB 변조방식으로는 전반송파, 저감반송파, 억압반송파 등이 있다.

  • 62

    62.우리나라의 거제도 근방을 항해하던 GMDSS선박이 조난을 당했을때 초기 조난통신을 어떻게 해야 가장 효율적인지 이유와 절차를 설명하시오

    육지와 가깝기 때문에 VHF CH70을 사용하여 조난경보를 발신하고 CH16으로 조난 호출 및 조난통보를 발신한다

  • 63

    63. 본선 VHF무선설비는 현재 09번이다. VHF DSC로 전송할 때 채널이 어떻게 변하는지 설명하시오

    조난경보 발신 시 ch70으로 바뀌었다가 자동으로 ch16으로 바뀌게 된다

  • 64

    64. DSC를 사용해 조난경보를 발신할때 전송되는 내용을 설명하시오

    조난선박의 MMSI 조난선박의 위치 조난위치의 유효시각 조난의 종류 가 전송된다.

  • 65

    65. GMDSS 선박에서의 일반적인 조난통신절차를 설명하시오

    조난경보ㅡ조난호출ㅡ조난통보 의 순서로 전송하게 된다

  • 66

    66. 긴급신호를 수신한 경우와 안전신호를 수신한 경우 각각 어떻게 조치해야하는지 설명하시오

    긴급신호는 조난통신을 행하는 경우 외에는 적어도 3분이상 계속 수신해야한다 안전신호는 안전통신내용이 본선과 무관한지 확인할 때까지 계속 수신해야한다

  • 67

    67.On scene communication의 의미와 on scene comm.을 위한 GMDSS 장치를 설명하시오

    on scene comm. 이란 조난중인 선박과 구조조직체 및 구조조직체와 SAR조정 담당자간의 통신이다. on scene comm.을 위한 GMDSS 장치로는 2 WAY VHF, NBDP가 있다.

  • 68

    68.VHF로 조난경보가 수신되었을 경우 선박국에서는 일반적으로 DSC로 응답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그 이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통상 4분간격으로 DSC 조난경보가 계속 발신되고 있는 중에 DSC로 응답하는 경우 DSC경보가 중단되기 때문이다.

  • 69

    69 INMARSAT 선박지구국 설비를 사용한 조난통신과 VHF DSC를 사용한 조난통신의 중요한 차이점에 대해 설명하시오

    inm 선박지구국 설비의 조난통신은 해안지구국을 통해 구조조정본부로만 전달되고 VHF 조난통신은 주변 모든 선박과 해안국에 조난경보가 전달된다

  • 70

    70. 통신당직을 수행중에 VHF DSC로 조난경보가 수신되었을 경우와 MF DSC로 조난경보가 수신되었을 경우 통신절차 상 각각 어떻게 해야하는지 설명하시오

    VHF DSC의 경우 CH16으로 5분간 청취해야 하며 MF DSC의 경우 조난경보를 수신한 주파수대역의 조난호출 주파수에서 5분간 청취한다. 이후 해안국 또는 RCC의 통보와 선장의 지시에 따라 응답과 일지기록을 수행한다

  • 71

    71. 무선전화에 의한 조난통화와 DSC에 의한 조난통신의 중요한 차이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무선전화 조난통신은 상대국에서 반드시 조난통신주파수를 청수하고 있을 경우에만 인식할 수 있고 구두로 전달하기 때문에 조난정보의 수신에 시간이 오래 걸리지만 DSC 조난통신은 상대국의 무선전화수신 주파수가 상이하더라도 DSC 수신에 의해 자동으로 수신되며 조난정보가 1초내로 발신된다.

  • 72

    72. EPRIB에 의한 조난신호와 DSC에 의한 조난통신의 중요한 차이점에 대해 설명하시오

    EPRIB 조난신호는 주변선박에 송신되지 않고 LUT에서 계산된 위치가 오차가 커서 최후의 조난통신용으로 적합하다 DSC에 의한 조난경보는 주변 모든 선박및 해안국에 자동송신되고 GPS에 의한 정확한 조난위치를 즉각 알려줄수 있기 때문에 조난통신용으로 적합하다

  • 73

    ★ 73.MF DSC로 허위조난경보가 발신된 경우 어떻게 조치해야하는지 설명하시오

    조난경보 재발사을 막기위해 즉시 MF 장비의 전원을 OFF 했다가 ON 하여 DSC를 리셋시킨다. 주파수를 2187kHz에 맞추고 다음과 같이 통보한다. ALL STNS x 3 THIS IS OOO CALL SIGN OOOO MMSI 00000 0000 POSN 00 DEGREES NORTH, 000DEGREES EAST CANCEL MY DISTRESS ALERT OF 181300 ZULU IN FAILURE MASTER LEE OF HANBADA, CALLSIGN OOOO MMSI 00000 0000 181300 JULU. OUT

  • 74

    ★74. VHF DSC로 허위조난경보가 발신된 경우 어떻게 조치해야하는지 설명하시오

    조난경보 재발신을 막기위해 즉시 VHF 장비의 전원을 OFF 했다가 ON 하여 DSC를 리셋시킨다. 채널을 16번에 맞추고 일괄호출하여 본선선명, 호출부호, MMSI, POSN을 통보한 뒤 본선에서 몇시몇분에 발신한 조난경보를 취소한다고 통보한다

  • 75

    76. Imarsat 설비로 조난신호가 잘못 발신되었을 경우와 EPIRB 오작동으로 조난신호가 발신되고 있을 때 어떻게 조치해야 하는지 설명하시오

    inm의 경우 통신의 종류를 DISTRESS에 맞추어 경보를 보낸 해안지구국을 경유하여 취소한다는 내용의 메시지를 RCC에 알려야 한다 EPIRB의 경우 EPIRB를 즉시 선내 차폐장소로 옮기고 적절한 통신수단을 활용하여 가까운 해안국, 해안지구국, RCC에 연락하여 조난경보를 취소해야 한다

  • 76

    77. 조난통보 수신시 조난응답방법을 설명하시오

    MAYDAY TITANIC, 3 CALLSIGN OOOO THIS IS HANBADA 3 CALL SIGN OOOO RECEIVED MAYDAY POSN 8.5NM SW OF DISTRESS POSN SPD 18KNOT, ETA AT DISTRESS POSN WITHIN 40MIN OVER

  • 77

    78. VHF 무선전화로 본선근처 항로표지가 표류중임을 표현하시오

    SECURITEㆍ SECURITEㆍ SECURITE ALL STN ㆍALL STN ㆍALL STN THIS IS HANBADA ×3 CALLSIGN OOOO NAVIGATION WARNING, LISTEN AT CH06 OVER SECURITE 3 ALL STN 3 THIS IS HANBADA 3 CALL SIGN OOOO BUOY ADRIFT IN POSN 062 DEGREES NORTH, 007 DEGREES EAST OUT

  • 78

    79.침수로 인한 조난호출과 통보 방법을 설명하시오

    MAYDAY 3 THIS IS HANBADA 3 CALL SIGNOOOO POSN002 DEGREES NORTH, 007DEGREES EAST I AM FLOODING BELOW WATERLINE. REQUEST IMMEDIATE ASSISTANCE OVER.

  • 79

    80. 상대선박 호출 및 재호출 절차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HANNARA 3 CALL SIGN THIS IS HANBADA 3 CALLSIGN CALLING ON CH 16 HOW DO YOU READ ME OVER REPEAT ᆢ

  • 80

    81. 모든 선박앞으로 긴급호출을 실행하시오

    PAN PAN 3 ALL STN 3 THIS IS HANBADA 3 CALLSIGN OOOO LISTEN ON VHF CH 10 OVER

  • 81

    82. 조난통보 종료를 알리는 통보를 실행하시오

    MAYDAY 3 ALL STN 3 THIS IS HANBADA 3 CALL SIGN OOOO 1300HRS UTC HANBADA SEELONCE FEENEE OUT

  • 82

    ★83. 중단파 무선설비에서 8MHz 대의 주파수로 조난경보가 수신되었을 때 청취해야 할 주파수와 청취해야 하는 이유를 설명하시오

    무선전화 8291.0khz를 5분간 청수하며 조난호출및 통보를 수신하고 응답한다. 이는 통상 4분간격으로 DSC 조난 경보가 계속발신되고 있는 중에 DSC 8414.5KHz로 수신하면 DSC 조난경보가 중단되기 때문이다.

  • 83

    ★84. 중단파 무선설비에서 2MHz 대의 주파수로 조난경보가 수신되었을 때 청취해야 할 주파수와 청취해야 하는 이유를 설명하시오

    무선전화 2182.0khz를 5분간 청수하며 조난호출및 통보를 수신하고 응답한다. 이는 통상 4분간격으로 DSC 조난 경보가 계속발신되고 있는 중에 DSC 2182.5KHz로 수신하면 DSC 조난경보가 중단되기 때문이다.

  • 84

    85. 무선통신에서 사용하고 있는 UTC가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UTC는 UNIVERSAL TIME COORDINATED의 약자로 국제원자시와 윤초보정을 기반으로 표준화된 국제 시간표준이다.

  • 85

    86. AIS SART 신호가 수신되었을때 화면에 표시되는 기호와 식별부호를 설명하시오

    기호는 원형안의 X자 형태이며, MMSI 식별부호는 MID970으로 시작하는 9자리 숫자이다.

  • 86

    ★87. 부산항 출항보고를 하시오(한ㆍ영)

    부산항 VTS 2 여기는 한바다호 CALL SIGN OOOO 감도 있으십니까 출항보고 하겠습니다. 본선목적지 울산항으로 가기 위해 부산항 5부두 3번석에서 11시30분에 출항하였습니다. 이상입니다. BUSAN VTS 2 THIS IS HANBADA CALL SIGN OOOO HOW DO YOU READ ME, OVER I AM LEAVING BUSAN PORT WHARF NO 5 BERTH NO 3 AT 1130 HRS LOCAL TIME TO ULSAN PORT OVER.

  • 87

    ★88. 부산항 입항보고를 하시오(한ㆍ영)

    부산항 VTS 2 여기는 한바다호 CALL SIGN OOOO 감도 있으십니까 입항 보고 하겠습니다. 본선은 1130시에 울산항에서 출항하여 15시30분에 부산항 5부두 3번석에 입항 하였습니다. 이상입니다. BUSAN VTS 2 THIS IS HANBADA CALL SIGN OOOO HOW DO YOU READ ME, OVER I LEAVED ULSAN PORT AT 1130 HRS LT AND I ARRIVED IN BUSAN PORT WHARF NO 5 BERTH NO 3 AT 1530 HRS LOCAL TIME OVER.

  • 88

    89. 부산항 남측선 통과보고를 하시오(영)

    BUSAN VTS 2 THIS IS HANBADA CALL SIGN OOOO HOW DO YOU READ ME, OVER I LEFT JEJU PORT AT 1O30HRS LT TO ULSAN PORT AND I AM PASSING BUSAN PORT SOUTH LINE AT 1530 HRS LOCAL TIME OVER.

  • 89

    90. 본선정보(1)을 사용하여, [부산항 1부두 2번석으로] 이동보고를 하세요.

    부산 VTS x2 여기는 한반도호 CALL SIGN DELTA AIT CHARLIE ROMEO 감도있습니까? 이동보고 하겠습니다. 본선 1030에 부산항 2부두 3번석에서 1부두 2번석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이안하고 있습니다. 이상입니다. BUSAN VTS x2 THIS IS HANBANDO, CALL SIGN DELTA AIT CHARLIE ROMEO HOW DO YOU READ ME? OVER I AM UNBERTHING TO SHIFT FROM BUSAN PORT WHARF NO.2 BERTH NO.3 TO WHARF NO.1 BERTH NO.2 AT 1030 HOURS LOCAL TIME OVER

  • 90

    91. 본선정보(1)을 사용하여 [부산항] 출항예정보고를 하세요.

    부산 VTS x2 여기는 한반도호 CALL SIGN DELTA AIT MIKE QUEBEC 감도있습니까? 출항예정보고 하겠습니다. 본선 현재시각 30분 후인 1030에 부산항 2부두 3번석에서 출항하여 울산항으로 갈 예정입니다. 이상입니다. BUSAN VTS x2 THIS IS HANBANDO, CALL SIGN DELTA AIT MIKE QUEBEC HOW DO YOU READ ME? OVER MY PORT DESTINATION IS ULSAN. ETD AT BUSAN PORT WHARF NO.2 BERTH NO.3 IS WITHIN 30 MINUTES FROM NOW, 1030 HOURS LOCAL TIME OVER

  • 91

    92. 연해구역 이상 국내항해 총톤수 300톤 이상의 화물선에 탑재해야 하는 무선설비의 설치 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세요

    VHF 무선설비 NAVTEX 수신기 , EPIRB, SART, 2-way VHF

  • 92

    93. 연해구역 이상 국내항해 총톤수 300톤 미만의 화물선에 탑재해야 하는 무선설비의 설치 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세요.

    VHF 무선설비, EPIRB

  • 93

    94. 연해구역 이상 국제항해에 취항하는 총톤수 300톤 미만의 화물선에 탑재해야 하는 무선설비의 설치 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세요.

    VHF 무선설비, EPIRB, MF 또는 MF/HF 무선설비

  • 94

    ★95. “VHF 채널 12번으로 변경하겠습니다.”와 "VHF 채널 12번에서 대기하겠습니다.“를 구분하여 영어로 말해보세요.

    ① CHANGING TO VHF CHANNEL 12 ② STANDING BY ON VHF CHANNEL 12

  • 95

    96. “조난 위치는 남위 12도 34.56분, 서경 123도 45.67분임”을 표준해사통신영어로 말 해보세요.

    DISTRESS POSITION IS 12 DEGREES 34 DECIMAL 56 MINUTES SOUTH, 123 DEGREES 45 DECIMAL 67 WEST.

  • 96

    97. “조난 위치는 거제도로부터 137도 방향 2.5해리 지점이다.”를 표준해사통신영어로 말해보세요.

    DISTRESS POSITION IS BEARING 137 DEGREES FROM GEOJEDO, DISTANCE 2 DECIMAL 5 NAUTICAL MILES.

  • 97

    98. “What is the intelligibility of my signals?”의 질문에 대하여 “완전히 해독할 수 있습니다.” 라고 응답을 해 보세요

    THE INTELLIGIBILITY OF YOUR SIGNALS IS EXCELLENT.

  • 98

    99. “감도 있습니까?”와 “크고 명확하게 잘 들립니다.”를 각각 표준해사통신영어로 말해 보세요.

    HOW DOYOU READ ME I READ YOU LOUD AND CLE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