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혈액 중 45%를 차지하는 것은?
적혈구
2
불포화철 결합능이 가장 높은 질환은?
철결핍성빈혈
3
혈액을 강하게 원침 후 Buffy coat층에 포함되는 것은?
혈소판
4
다음 중 골수에서 가장 큰 세포는 무엇인가?(영어)
Megakaryocyte
5
거친세포질그물(조면소포체)는 무엇에 중요한가?
단백질합성과 조립
6
다음 중 전형적인 선홍색을 띠는 것은?
고농도의 carboxyhemoglobin
7
다음 중 1g 의 Hb은 얼마의 O2와 결합하나?
1.34mL
8
다음 중 미성숙한 세포에서 나타나는 특징은?
세포질 크다
9
기능형 철(Fe2+)을 유지하는 경로는?
Methemoglobin Reductase 경로
10
Protoporphyrin은 어디에서 합성되는가?
미토콘드리아(사립체)
11
정상인의 헤모글로빈의 95~98%를 차지하는 혈색소는?
HbA1
12
다염성 적혈구는 어떤색으로 나타나는가?
청홍색
13
다음 중 정상 성인 혈액의 평균 비중은?
1060(1052~1063)
14
다음 적혈구계의 성숙과정은?
전적혈모구 호염적혈모구 다염적혈모구 정염적혈모구 다염적혈구 적혈구
15
다음 중 태생기 6월 경에 조혈이 주로 이루어지는 곳은?
골수
16
유핵적혈구, 망상적혈구, 적혈구 모두에서 일어나는 것은?
Embden-Meyerhof
17
세포소기관 중 ATP를 합성하는데 필요한 효소를 지니고 있는 것은?
미토콘드리아(사립체)
18
정상인의 말초혈액에서 핵이 없는 혈구는 무엇인가
적혈구 혈소판
19
다음 중 Buffy coat층은 무엇인가?
혈소판 백혈구
20
낫적혈구(Sickle cell)를 형성시키는 혈색소는?
HbS
21
Heme 합성계에 직접 관여하는 비타민은 어떤 것인가?
비타민B6
22
다음 중 G-6-PD와 관련 있는 경로는?(영어)
Hexose monophosphate pathway
23
생리학적으로 계획되어 세포의 죽음을 무엇이라 하나(영어)
세포자멸사(apoptosis)
24
성인 조혈의 대부분을 담당하는 곳은?
골수(적골수)
25
혈색소의 산소해리 곡선을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은 어느 것인가?
Ph의 저하
26
정상적으로 순환혈액에 존재하지 않는 것은?(영어)
Fibrin
27
다음 주 성숙한 적혈구에서 90% 이상 포도당이 분해되어 ATP를 생성하는 해당경로는?(영어)
Embden-Meyerhof pathway
28
Heme 합성에 직접 관여하는 비타민은 어떤 것인가?(영어)
Vit B6
29
태생기 조혈기능 순서로 옳은 것은?
난황난-간-비장-골수-림프절
30
혈색소(Hemoglobin, Hb)는 무엇인가?
색소단백질
31
철이동 단백성분인 transferrin은 단백분획 중 어느 분획을 갖고 있는가?
B-globulin
32
Porphobilinogen(PBG)은 어떤 2분자의 물질이 축합하여 만들어 지는가?
(감마)ALA탈수소효소
33
혈액세포의 생성과 분비과정을 의미하는 용어는?(영어)
Homatopoiesis
34
다음중 철을 함유하지 않은 것은?
Porphyrin
35
정상 성인에 있어 백혈구:혈소판:적혈구의 비는 얼마인가?
500:30:1
36
혈색소 S는 β쇄의 6번에 어떤 변화가 일어난 것인가?
glutamic acid-valine
37
다음 중 정상성인의 주된 조혈 장소는?(영어)
bone marrow
38
건강인의 골수에서 볼 수 없는 것은?
blast 모구 거적아구
39
정상 적혈구의 직경은?
6~8
40
정상 성인에서 발견되는 혈색소는?
HbF HbA2 (HbA HbA1c)
41
소장에서 흡수된 철의 운반 형태는?
transferin + Fe3+
42
적혈구의 유핵세포 중 유사분열이 멈추고, RNA 합성이 정지되고 적혈구생성 인자 수용 체로 소실되는 단계는?
정염성적혈모세포
43
Erythropoietin(EPO)을 생성하는 주된 기관은?(영어)
kidney
44
혈청(serum)과 혈장(plasma)의 성분상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영어)
Fibrinogen
45
다음 중 백혈구의 기능은 무엇인가?
방어 및 식균작용(이물질에 대한 방어)
46
혈색소(Hemoglobin)를 Oxyhemoglobin으로 전환시키는 주된 곳은?
폐
47
정상인은 적혈구 500개당 평균 몇 개 정도의 혈소판을 가지고 있는가?
30개
48
다음 중 2.3-diphosphoglycerate가 생성되는 경로는?
Luebering-Rapoport pathway
49
다음 중 노화된 적혈구의 특징은?
적혈구 내 K+ 감소
50
혈액의 기능 중 생체 방어기능은 무엇인가?
방어 및 식균작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