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속도 조정 핸들을 고정하고, 기관의 부하를 증가시키면 회전 속도가 떨어지게 되는 조속기의 성질이다.
2
솔레노이드 밸브는 전류가 통하지 않게 닫아둔다.
3
2차 저항 가감에 의한 기동법
4
역전력계전기와 과전류계전기
5
4
6
유효행정의 감소가 심하다.
7
단층권은 각 자극면과 만나는 중앙 위치에 1개의 슬롯을 만들어 코일을 집중하여 감는 권선법이다.
8
2행정 사이클 기관에서 가스 교환 능력을 평가하는데 사용된다.
9
p형 반도체를 캐소드(cathode)라고 한다.
10
4
11
4
12
실린더 라이너의 내경은 위쪽을 약간 작게하여 피스톤 링과의 마찰에 의해 턱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피스톤의 분하•조립을 쉽도록 한다.
13
실효값은 같은 크기의 저항에 직류가 흘렀을 경우와 소비 전력이 같을 때의 교류의 크기이다.
14
밀폐형 압축기
15
연료 1톤당 상당증발량을 보일러 마력이라 한다.
16
양성자와 전자가 가진 전기량은 같지만 잘량은 양성자가 전자보다 무겁다.
17
암모니아 가스는 공기보다 무거워 밑으로 내려가는 성질이 있어 누설 시 가능한 높은 지역으로 이동한다.
18
탄소
19
전기장 효과로 전류를 제어하는 소자이다.
20
1
21
1
22
극수 변환 방식 - 회전자의 극 수를 변환 시키는 방식으로 극 수가 증가할수록 회전 속도는 감소한다.
23
3
24
실린더 윤활이 부족할 때
25
4
26
부하의 변동으로 인한 속도 변화가 크다.
27
0.6
28
선외 ➡️ 냉각수펌프 ➡️ 윤활유냉각기 ➡️ 배기관 ➡️ 선외
29
5
30
4
31
점화시기를 빨리하면 가솔린 노킹을 방지할 수 있다.
32
황산화물(SOx)는 연소 온도가 매우 높고 남은 산소가 많을 때 잘 발생한다.
33
0.707 × 최대값
34
피스톤 평균속도는 1초 동안 피스톤이 실린더 내를 움직인 거리이며 4행정 기관은 2 × L × N / 60 으로 계산할 수 있다. (L: 행정 , N: 회전수)
35
ㄱ: 폭기탱크 / ㄴ: 송풍기
36
2
37
2차측(회전자)에 직류전원을 접속한다.
38
4
39
수면 부근에 거품층이 형성되어 수위가 불안정하게 되는 현상이다.
40
하나의 케이싱 내의 동일 축상에 2개 이상의 임펠러가 병렬로 배열된 펌프를 다단 펌프라고 한다.
41
기동토크가 크다.
42
연료소비율은 감소하고 평균유효압력은 증가한다.
43
순환펌프(circulating pump)는 기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연료유에 압력을 가하는 펌프이다.
44
1
45
1
46
블랙워터
47
4
48
0
49
교축 밸브는 기름이 통과하는 면적을 변화시켜 유량을 조정하는 것으로 니들형, 스풀형, 디스크형 등이 있다.
50
2
51
직접 분사식은 연소 촉진을 위해 연료 분사 압력을 높여주는 형식과 와류를 이용하는 형식이 있다.
52
폭발행정시 기관 상•하의 인장력을 흡수한다.
53
2
54
전기기기의 철심재료로는 히스테리시스 손실(hysteresis loss)을 줄이기 위해 루프면적이 넓은 특성을 갖는 규소강판 등을 사용한다.
55
1 : 2
56
113
57
헬라이드 토치를 이용하여 누설부위에 가까이 가지고 불꽃의 변화를 관찰한다.
58
전자식 유량계의 자속 발생장치에는 직류가 주로 사용된다.
59
힘 × 이동거리
60
물을 뿌려 제거: 증발기 내의 냉매를 회수하고 송풍기를 가동시킨 뒤에 물을 살포한다.
61
계자 전류가 커짐에 따라 철심의 자기 포화로 인해 유도 전압의 증가 폭이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62
정기적으로 반투막을 교체해야 한다.
63
원호캠은 일정 가속도의 밸브 운동이 행해져 밸브 시트의 충격력을 작게 할 수 있다.
64
전동식 구동은 기동 토크가 커야하는 기계구동에 유리하다.
65
1
66
중간축 베어링: 주기관의 회전력을 프로펠러에 전달하고 프로팰러의 추진력을 추력축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67
연료분사 시기가 적절하지 않다.
68
보유 수량이 많기 때문에 파열 시 위험하다.
69
일반 다이오드의 순방향 특성을 개선한 것이다.
70
3
71
회전차에 의해 실제로 흡입되어 양정으로 변환된 동력과 펌프 축에 공급된 동력에 대한 비로 나타낸다.
72
불완전 연소
73
냉매 가스의 비체적이 작을 것
74
ㄱ: 편자 작용 / ㄴ: 감자 작용 / ㄷ: 증자 작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