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말운동의 통제문제로 인해 말 산출에 어려움을 보이는 장애를 총체적으로 지칭함
말장애
2
기질적인 이유로 음식물을 삼키는 데 문제를 보이는 장애
삼킴장애
3
신경계손상으로 인하여 말하기 듣기 쓰기 읽기의 모든 언어능력에 손상을 입은 후천적장애
실어증
4
의사소통을 목적으로 사회 구성원이 공유하고 있는 자의적인 상징체계
언어
5
아동의 언어능력이 발달적인 측면에서 볼 때 또래의 정상적인 말, 언어발달 수준에 미치지 못한 상태
언어발달지체
6
언어장애와 말장애를 연구하고 임상방법을 개발하는 학문
언어병리학
7
언어의 이해(수용언어)및 산출(표현언어)에 문제를 보이는 장애를 중체적으로 지장함
언어장애
8
이른바 말더듬이라고 불리며 환경적 요인으로 유창성에 문제를 일으키는 장애
유창성장애
9
성대의 움직임이 기능적, 기질적인 문제로 인해 정상적인 음성산출에 문제를 일으키는 장애
음성장애
10
아이가 관습적으로 사용하는 •낱말의 의미범주를 넘어 다른 낱말을 지칭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남자이면서 안경을 꼈을 때 모두 "아빠"라고 하는 경우(overextensing)의미의 과소확대(underextensino) 본인이 본 축구공만 공 농구공은 공이 아님
의미의 과잉확대
11
의사소통기능 중 주장하기의 하나로 상대방으로 하여금 행동, 사물 이름, 명료화 또는 설명을 이끌어냄
요구하기
12
아기들이 습득하는 낱말의 수가 이전 시기에 비해 급격히 늘어나는 현상
낱말급성장
13
주체와 객체 그리고 서술하는 말로 이루어진 발화를 뜻한다. 예를 들어, "엄마가 빵을 먹어요."가 있음
주어+목적어+서술어
14
새로운 말소리연결체와 의미를 재빠르게 연결하는 능력이 있어 아이들이 많은 수의 낱말 을 습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구마'를 모르던 아이가 "고구마."라는 말소리와 고구마의 의미를 재빠르게 연결하게 되는 경우를 들 수 있음.
재빠른연결
15
한 아이가 언어를 습득할 수 있도록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있는 지적 구조물로, 보편문법 학자들은 이 장치를 통해 아이가 선천적으로 언어를 습득할 수 있다고 봄.
언어습득장치
16
비음 산출시 일어나는 현상으로, 소리 강도가 갑자기 작아지는 현상
감폭현상
17
1초 동안에 완전한 사이클이 반복된 횟수
기본주파수
18
정지음 산출을 위해 입술이 열린 순간부터 모음 산출을 위해 성대의 진동이 시작되는 사이의 시간 간격
발성시작시간
19
복합적 진동에 의해 유발되는 기본 주파수의 정수 배수인 음조 하나하나를 지칭, 기본 주파수는 제1배음으로 불림
배음
20
진동의 수가 서로 다른 순음들로 구성된 파형
복합파
21
성대에서 만들어진 소리 에너지가 말소리길을 지나며 공명현상으로 증폭 또는 감폭되면 서 여과된다는 이론
음원필터이론
22
혀의 뒷부분을 여린입천장쪽으로 올리거나 혀 쪽으로 내리게 하며 /k//g/ 또는 비음의 산출에 관여함
입천장혀근육
23
말소리 에너지가 특별히 높은 특정 주파수영역
포먼트
24
주기적 복합음은 단순 배음 요소의 주파수로 구성된다는 수학자푸리에에 의해 제안된 법칙
푸리에분석
25
후두에서 발송된 소리가 증폭되고 변형되는 과정
공명
26
말. 언어과정과 좀 더 관련되는 말초신경으로 모두 12쌍으로 구성됨, 감각/운동정보를 전달하는기능을 수행
뇌신경
27
대뇌의 표면 부위로서 감각을 최종적으로 전달받아 인식하고, 운동이 계획되고, 명령이 출 발하므로 말 언어과정에 매우 중요함.
대뇌피질
28
호흡과정을 통해 제공된 공기가 성문을 통과하면서 성대를 진동시켜 소리를 만들어 내는 과정
발성
29
신경원 중 축삭이나 수상돌기들로 구성된 신경섬유들로 뇌에서 회게 보이는 부분. 대뇌수 질의 신경섬유들을 통하여 감각이나 운동명령을 효율적을 전달
백질
30
측두엽의 연합영역중에서 말의 이해와 가장 관련이 깊은 곳, 옆고랑을 따라 뒤쪽에 위치
베르니케영역
31
신경계 안에서 감정과 본능적 중동(예: 성욕, 식욕, 충만감) 그리고 자율신경계의 기능에 관여함. 따라서 감정과 관련된 언어표현은 변연계와 대뇌피질의 조화된 기능으로 보기도 함.
변연계
32
전두엽의 운동연합피질 중에서 옆고랑에 가장 가까운 아래쪽 뇌두둑으로 말을 위한 일련 의 운동을 계획하는 부위
브로카영역
33
구조적으로 충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 기능적으로는 운동신경계와 감각신경계 그리고 자 율신경계로 구분함.
신경계
34
구강과 비강이 통하는 입구를 차단하는 것으로 그에 따라 입소리들의 조음이 가능해짐
연인두폐쇄
35
대뇌피질구조 중 하나. 운동과 관련된 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말 언어과정 중 표현언어와 관계가 있음
전두엽
36
발성된 소리가 공명과정을 거쳐 증폭과 보완된 후, 말소리의 단위인 음소를 형성해 가는 과정
조음
37
대뇌피질구조 중 하나! 정각적인 인식과 관련된 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말, 언어과정에서는 수용언어와 관계가 짚음
측두엽
38
후두의 주요 (연골)중 가장 작은 연골로 발성시 반지연골판 위에서 좌우운동(활주운동,siding)과 회전운동(rotating)을 하여 성대를 내전 또는 외전시키는 역할을 수행
호미연골
39
호흡로의 입구로서 사람이 숨을 쉴 때 공기가 호흡으로 들어가고 나오게 하며, 성대를 진동시켜 말소리를 만드는 발성기능 등의 역할을 수행
후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