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중앙이 짧고 바깥쪽이 긴 안쪽으로 굽은 전. 머리 형 태의 윤곽과 반 대 방향으로 형성됨.
오목한
2
머리카락을 자르거나 염색할 때 사용하는 특정한 과정과 원칙
기술
3
머리카락이 자연 성장 방향을 따라 떨어지도록 자른 형태 (올림 없이).
라인
4
두개골의 뒷면과 하단 부분에 위치한 뼈로, 짧은 헤어스타일을 결정할 때 중요한 요소.
occipital bone
5
한 번에 끊기지 않은 미세한 머리카락 섹션으로, 염색 되었거나 염색 부분을 의미.
슬라이스
6
이마와 눈 위의 뼈로, 최고의 헤어스타일을 결정하는 중요한 초점.
이마뼈
7
머리카락을 자연스럽게 떨어지는 방향에서 벗어나게 하여 원하는 형태를 만드는 기술.
overdirection
8
머리카락에 가할 수 있는 당김의 정도. 특정 선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tension
9
무게와 길이가 균형을 이루는 것.
대칭
10
이전에 염색되지 않은 머리카락에 색상을 적용하는 기법. 뿌리보다 중간과 끝부분을 먼저 염색하는 방식.
버진 염색
11
헤어컷에서 선의 흐름을 결정하는 머리카락 섹션. 이후 섹션의 길이를 결정하는 역할을 함.
가이드라인
12
헤어스타일 내에서 길이가 기술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영역.
disconnection
13
색상의 밝기 또는 어두운 정도.
깊이
14
머리카락의 자연스러운 성장 패턴을 따라 머리를 감싸듯 건조하는 기술.
랩 드라이
15
머리카락의 풍성함이 얼굴에서 멀어지고 머리 뒤쪽으로 향하도록 하는 기술. 두개골의 자연스러운 형태를 보완하고 좁은 뼈 구조를 감추는 효과를 줌.
round
16
특정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한 체계적이고 정밀한 방법.
기술적
17
머리카락의 자연스러운 움직임.
texture
18
머리에서 중요한 모발 성장 경계선.
헤어라인
19
머리 형태의 자연스러운 둥근 라인과 반대로 사용됨. 헤어 디자인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음.
코너
20
머리카락에 무게감을 형성하는 기술.
graduation
21
부드러운 짜임새로 구성된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22
시각적인 평가 후 헤어스타일에 마무리 터치와 세부 요소를 추가하는 과정.
정리
23
기술적, 시각적으로 서로 다른 요소를 결합하거나 혼합하는 것.
블렌딩
24
커팅 또는 염색할 특정한 머리카락 영역을 나타냄.
섹션
25
뼈 구조와 최종 헤어 디자인을 결정한 후 머리카락이 잘리는 각도.
컷팅 각도
26
선과 그라데이션 기법에서 사용됨.
수평
27
머리카락의 광택과 윤기를 의미함.
윤기
28
헤어컷에서 무게감이 형성되는 띠 또는 가장자리로, 스타일을 정의하거나 둥글게 만드는데 사용됨.
무게선
29
머리의 형태를 따라가는 선 또는 이를 더욱 강조하기 위해 바깥쪽으로 둥글게 만드는 선.
볼록한
30
헤어스타일에서 무게를 제거하여 머리카락의 움직임과 질감을 조절하는 기법.
레이어링
31
최소한의 볼륨을 만들기 위해 건조하는 방식.
플랫 2
32
머리를 1도에서 90도 사이의 각도로 가로질러 나누는 섹션.
대각선
33
특정한 색상이 다른 색상과 함께 있을 때 나타나는 품질.
톤
34
헤어스타일에서 길이 또는 무게의 균형이 맞지 않는 상태.
비대칭
35
광대뼈의 양옆에 위치한 평평한 부분.
관자놀이
36
머리 형태가 자연스럽게 둥글어지는 부분에서 각진 모 양을 만들기 위한 코너 생성.
플랫 1
37
두개골의 천장을 형성하며 전두골과 후두골 사이를 연결하는 뼈.
두정골
38
머리카락의 성장 패턴이 시작되는 머리의 가장 높은 부분.
정수리, crown
39
얼굴의 상단과 측면 부분에 위치한 광대 뼈.
광대뼈
40
이전 섹션의 각도를 그대로 반영하는 선이나 섹션.
평행
41
각 호일 섹션 사이에 염색되지 않은 머리카락이 남지 않도록 하는 연속적인 슬라이스 기법.
백 투 백 슬라이스
42
다양한 색상, 톤, 질감을 부드럽게 블렌딩하여 미묘한 시각적 혼합을 만드는 것.
디퓨즈 1
43
디자인과 비율의 조화. 특정 영역이 서로 균형을 이루도록 구성하는 것.
균형
44
헤어 디자인이 기술적으로 정확한지 확인하는 시스템. 처음 디자인한 방향의 반대 방향에서 확인함.
cross checking
45
머리카락을 90도로 들어 올렸을 때 나타나는 모양.
확장된 형태
46
기존 모양이나 마무리에 선명한 선 또는 구조를 추가하는 것.
정의
47
헤어스타일의 외곽선.
아웃라인
48
동그란 헤어 형태에서 각진 코너를 만들어 둥근 느낌을 제거하는 기법.
square
49
머리의 특정 부위
영역
50
날카로운 가장자리를 둥글게 처리하여 부드러운 질감을 만드는 과정. 드라이 후 끝 부분을 둥글게 말아주는 동작.
베벨링
51
머리카락을 머리 형태에서 들어 올리는 기술.
elevation
52
머리카락이 잘릴 때 향하는 모든 평평한 표면.
평면
53
머리카락이 자라는 자연스러운 방향을 의미합니다.
모발 성장 패턴
54
머리카락을 대각선으로 자르는 기법
바이어스 컷팅
55
염색제나 탈색제에 추가적인 산소를 공급하는 성분.
산화제
56
헤어스타일의 형태 안에서 머리카락이 가지는 풍성함의 정도.
볼륨
57
헤어컷에서 특정한 부분이 무겁게 남아 있는 영역으로, 스타일 속에서 블렌딩 될 가능성이 높음.
무게감
58
빗이나 클립 없이 머리카락을 자유롭게 커팅하여 더 질감 있는 스타일을 만드는 기술. 염색 기술에도 사용됨.
프리핸드
59
곱슬머리에서 주로 사용되는 삼각형 섹션으로, 더욱 뚜렷하고 선택적인 하이라이트를 제공.
싱글
60
주로 색상에서 사용되는 V자 모양의 섹션.
셰브론
61
드라이어의 부착물을 사용하여 건조된 머리카락을 부드럽게 분산시키는 기술.
디퓨즈 2
62
헤어라인을 목 부분으로 점진적으로 블렌딩하는 기술.
페이딩
63
머리카락을 세로로 나눈 섹션으로, 기본적인 형태에서는 무게를 줄이는 경향이 있음.
수직, vertical
64
뒤쪽에서 앞쪽으로 점진적으로 내려오는 형태.
삼각형
65
귀 뒤쪽에 위치한 뼈로, 특히 짧은 헤어스타일을 디자인할 때 고려해야 하는 요소.
유양돌기
66
헤어컷의 윤곽선 내에 있는 형태.
내부
67
후두골 아래의 목 부분.
na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