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제 1차 한일 협약이후 실행된 정치 방식은?
고문정치
2
한일 신협약 이후 시행된 정치는?
차관정치/행정권 장악
3
을미의병은 [ ] 공포와 [ ]을 계기로 일어났다. 유인석,이소응 등 [ ] 사상을 계승한 유생층이 주도하였다.
단발령, 을미사변, 위정척사
4
평민 출신 의병장(돌돌이 형)이 처음 등장한 의병은?
을사의병
5
토문강의 해설 문제에 관한 각 나라의 견해이다. 청: 토문강=[ ] 이다. 대한제국: 토문강=[ ] 상류이다.
두만강, 쑹화강
6
다음 중, 고종의 강제 퇴위를 계기로 일어난 의병과 그 특징을 잘 설명한 것은?
정미의병/이인영을 총대장으로 13도 창의군을 건설하고 서울진공작전을 전개함
7
다음 중, 조약과 그 결과가 잘못 짝지어진 것은?
정미 7조약/조선 총독부 설치
8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식 관립 교육기관은?
육영공원
9
다음 중 독립신문의 특징이 아닌 것은?
서민층과 부녀자들에게 인기가 많았다.
10
다음 중, 나철이 창시한 '이 종교' 의 이름과 설명이 제대로 열결된 것은?
대종교/간도에 중광단 설립
11
1883년에 박문국에서 간행한 최초의 신문인 이 신문의 이름은?
한성순보
12
다음 사건이 시기상 들어가야 하는 위치는? [일본의 경인선 부설] 조일통상장정 체결/1/배재학당 설립/2/제국신문 발행/3/화폐정리사업 실시/4/을사늑약 체결
3
13
다음 중, 신채호 선생이 저술한 책이 아닌 것은?
면암집
14
다음 사건들을 순서대로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 제국신문 발행 2. 한성순보 발행 3. 대한매일신보 발행 4. 독립신문 발행 5. 황성신문 발행
2>4>1>5>3
15
다음 중, 근대의식의 확산과정이 잘못 짝지어진 것은?
독립협회 활동시기: 천부인권 사상, 노비제 폐지
16
국채보상운동에 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서상돈 등을 중심으로 대구에서 시작되었으며, 국채 보상 위원회를 조직함.
17
다음 중 일제의 민족 분열 통치(문화통치)의 내용과 본질이 잘못 짝지어진 것은?
헌병 경찰제를 보통경찰 제도로 전환 / 경찰관 수는 줄었으나 실질적 권력은 강화
18
다음 중, 조선 총독부의 통치 구조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치안부
19
다음 중, 국외 각 지역에서 활동한 독립운동단체의 이름과 장소가 제대로 연결된 것은?
연해주/전로한국회 중앙 총회
20
독립 의군부에 관한 내용이 아닌 것은?
군대식 조직으로, 국내 각지와 만주에 지부를 설치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