暗記メーカー
ログイン
한국사 (1920년대 항일 무장 투쟁편)
  • ユーザ名非公開

  • 問題数 27 • 9/24/2023

    記憶度

    完璧

    4

    覚えた

    11

    うろ覚え

    0

    苦手

    0

    未解答

    0

    アカウント登録して、解答結果を保存しよう

    問題一覧

  • 1

    봉오동 전투 대표 장군 이름 및 소속

    홍범도, 대한독립군

  • 2

    청산리 대첩 때 활약한 인물 두명과 각 소속

    홍범도- 대한독립군, 김좌진- 북로 군정서

  • 3

    청산리 대첩 때 일제가 어떤 사건을 중국과 협업해 조작했나?

    훈춘 사건

  • 4

    독립군 근거지 소탕의 명분 아래 청산리 대첩 이후 일본인이 한인 피살한 사건은?

    간도 참변

  • 5

    간도 참변 이후에 독립군 주격 부대가 북만주 밀산에서 결성, 서일을 총재로 삼음 -> ______조직

    대한독립군단

  • 6

    대한 독립군단 조직 이후에 소련 거부 후 수많은 독립군 희생이 일어났던 사건 이름은?

    자유시 참변

  • 7

    자유시 참변 이후 독립군 만주 복귀 후 통합을 추진함 _> __부 성립

    3

  • 8

    3부가 뭐뭐있나여

    참의부, 정의부, 신민부

  • 9

    3부 통합 운동 때 나눠진 2개 ㅎ-ㄱ

    혁신 의회, 국민부

  • 10

    혁신의회는 _만주

  • 11

    혁신의회 2가지 집단

    한국 독립당, 한국 독립군

  • 12

    국민부는 _만주

  • 13

    국민부의 2가지 집단

    조선 혁명당, 조선 혁명군

  • 14

    1919년 만들어진 만주 지린 성에서 김원봉 중심으로 비밀리에 결성된 집단 이름

    의열단

  • 15

    의열단이 1920년대 한계를 느낀 후 단원들이 훈련 받은 곳

    황푸군관학교

  • 16

    의열단은 신채호의 _________을 활동 지침으로 삼았다

    조선 혁명 선언

  • 17

    봉오동 전투 때 군무 도독부군이였던 인물은?

    최진동

  • 18

    봉오둥 전투 때 국민회군이였던 인물은?

    안무

  • 19

    3부 성립: 삼권분립에 기반한 _____적 자치 정부 성격

    공화주의

  • 20

    3부 성립 후 일제가 독립군 탄압을 위해 민적 군벌과 체결한 협정 이름은?

    미쓰야 협정

  • 21

    의열단은 ___중심으로 비밀리에 결성함

    김원봉

  • 22

    의열단은 비폭력을 통해 민중의 직접 혁명을 강조했다. (O,X)

    X

  • 23

    의열단이 조직적 항일 무장 투쟁 준비를 하기 시작하면서 난징에 (ㅇㅇ ㅇㅇ ㅇㅇ 학교) 설립을 했다.

    조선 혁명 간부

  • 24

    의열단은 무엇으로 변모했는가?

    정당

  • 25

    의열단이 정당으로 변모하면서 ㅇㅇㅇㅇㅇ 결성에 주도적 역할을 했다.

    민족 혁명당

  • 26

    조선 민립 대학 기성회 조직한 인물

    이상재

  • 27

    3.1 운동 이후 사회주의 사상이 국내로 유입 후에 사회주의 계열이 결성한 것

    조선 공산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