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1. ( ) - 군사적도발 침투 : 첩보 수집 및 사회 혼란 조성 목적으로 우리의 영역에 침범하는 행위 도발 : 정치, 경제, 군사 등 특정 목적 달성을 위해 우리의 영역에 위해를 가하는 행위 - 비군사적도발 군사력 이외에 수단 또는 자연적인 요인으로 국가 안보를 위태롭게 하는 것 사이버테러, 황강댐 무단방류 등
국지도발대비작전
2
1-2( ) 군사력 이외에 수단 또는 자연적인 요인으로 국가 안보를 위태롭게 하는 것 사이버테러, 황강댐 무단방류 등
비군사적도발
3
2. ( ) 적이 특정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한민국의 영역을 침투하거나 대한민국 국민과 국가영역에 가하는 일체의 위해 행위를 대비하는 작전
국지도발대비작전
4
3. ( ) 육상, 해상, 공중으로 침투한 적이, 내륙으로 계속 침투 및 도주하거나, 내륙에서 활동중인 적을 포착.격멸 하는 작전
내륙지역대침투작전
5
5. ( ) 국가위기를 효과적으로 예방, 대응, 복구 하기 위해서 국가자원을 기획, 조직,집행,조정,통제하는 제반 활동 과정
국가위기관리
6
6.( ) 위기평가 결과 전쟁징후가 농후할 경우에 국가의 모든 기능을 신속하게, 전시체제로 전환하여 정비 기능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군사작전을 효율적으로 지원하며, 국민생활 안정을 도모하여 국가총력을 방위체제를 확립하는 것
전시체제전환
7
8.( ) 군사력을 가진 어떤 부대나 조직이, 무장하여 싸우는 제반 행위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미리 마련하여 구비하는 것
전투준비
8
9.( )의 정의 : 전시 또는 국가 비상사태 시에 국가가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평시에 준비하는 범국가적인 비상대비계획
충무계획
9
11.( ) 전시 소요되는 물자,장비,시설, 업체 등 자원을 국가안전보장을 위하여 효율적으로 통제,관리,운용하는 것
물자동원
10
12.( ) 군사작전지원, 정부기능유지, 및 동원 지정업체 임무수행을 위하여 추가 소요되는 전문 기술인력을 동원하는 것
기술인력동원
11
13. ( ) 전시, 사변 또는 이에 준하는 국가비상사태 시 군사작전상 필요하나 정상적인 수단으로 군의 수요를 충족할 수 없는 겅우 국가권력으로 국민의 재산에 대해 사용동의를 받거나 강제로 수용하는 것
징발
12
14.( ) 적의 공격을 저지, 격퇴, 격멸하기 위하여 부여된 공간 내에서 전투력을 운용하거나, 적의 공격을 지연시키고, 시간을 획득하기 위해 전투력을 아군 후방으로 이끌어 가는 작전
방어작전
13
15.( )의 형태 : 지역방어, 기동방어, 지연방어
방어작전
14
16.( ) 간 지휘통신체계별 운용개념
방어작전
15
17.( ) 군사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투를 적 방향으로 이끌어 나가는 작전 시기와 장소, 공격 방향을 선택할 수 있는 주도권이 있다
공격작전
16
19.( )간 지휘통신체계별 운용개념
공격작전
17
18.( ) 의 형태 : 접적전진, 급속공격, 정밀공격, 전과확대, 추격
공격작전
18
20.( ) 이동 시 고려사항
예비지휘소
19
21.( ) 격상 시 지휘통신운용 방안
방어준비태세
20
22.노드통신소 점령 전/후 고려사항 점령( ) : COM-X 및 LOS판단, 지형정찰(차량/공간), 경계지원 부대 통신망 확인, 부대배치 확인, 전투무선망 개방 및 통신망 점검, 상급부대 및 주변소대와 망개통
전
21
22.노드통신소 점령 전/후 고려사항 점령 ( ) : 장비점검/ 고장발생 시 보고 및 보충건의, 인원 건강상태 확인, 통신소 방호계획 점검, 비문 및 암호장비 점검, 탄약 및 유류량 확인 및 보충건의
후
22
23.( ) 시 고려사항
부대증편
23
24.( ) 의 형태 대침투작전 : 대지상, 대해상, 해안, 대공중, 내륙지역 국지도발대비작전 : 지상.해안.공중.국지도발, 미사일 시험발사 및 핵실험 도발 우주 및 사이버는 국지도발에 해당되지 않음
국지도발대비작전
24
25.( ) 전면전 위협이 있는 위기 상황에서 아군의 전투준비를 위한 군사적 대비태세를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
방어준비태세
25
26.( ) 충무사태 : 전시 또는 국가 비상사태 시에 국가가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평시에 준비하는 범국가적인 비상대비계획 충무사태의 목표 : 군사작전지원, 국민생활안전, 정부기능유지
충무계획
26
27. 국지도발대비작전의 형태는?
지상
27
4. ( ) 전시,사변 또는 이에 준하는 국가안전보장상 중대한 위협에 처하여 국가존립에 영향을 미칠 정도로 치안이 문란해지거나 그러한 위협이 있는 상태
국가비상사태
28
7.( ) 전면전 위협이 있는 위기 상황에서 아군의 전투준비를 위한 군사적 대비태세를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
방어준비태세
29
9-1.충무계획의 정의 : 전시 또는 국가 비상사태 시에 국가가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평시에 준비하는 ( )
범국가적인 비상대비계획
30
1-1( ) 침투 : 첩보 수집 및 사회 혼란 조성 목적으로 우리의 영역에 침범하는 행위 도발 : 정치, 경제, 군사 등 특정 목적 달성을 위해 우리의 영역에 위해를 가하는 행위
군사적도발
31
28. 대침투작전의 형태는?
대지상
32
29.충무사태의 목표는?
군사작전지원
33
30. 물자동원방법은?
수용동원
34
31.물자동원의 종류는?
수송
35
32. 방어작전의 형태는?
지역방어
36
33. 공격작전의 형태는?
접전적진
37
34.공격기동의 형태는?
돌파
38
35.공세행동의 종류는?
역습
39
서술1 방어준비태세 격상시 조치사항은?
해설참고
40
서술2번 전투준비태세 행동절차는?
해설참고
41
서술3번 예비지휘소 이동시 고려사항은?
해설참고
42
서술4번 노드통신소 점령전 행동절차는?
해설참고
43
서술5번 부대증편절차는?
해설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