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난소암의 크기를 줄이기 위한 수술과 수술 전 시행하는 항암화학요법이 옳게 연결된 것은?
debulking procedure – neoadjuvant chemotherapy
2
유방암 환자가 치료 중 lumbago를 호소한 경우 전이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는?
whole body bone scan
3
다음과 관련이 있는 질병은? BRCA1, BRCA2 혈액검사 axillary sentinel lymph node biopsy
유방암
4
한국중앙암등록본부의 역할로 옳은 것은?
국가 암 통계 생산
5
leiomyosarcoma가 발생할 수 있는 원발부위는?
uterus
6
종양의 형태학 종류와 원발부위가 옳게 연결된 것은?
astrocytoma – brain
7
meningioma의 암등록은?
형태코드 /0으로 암등록한다.
8
61세 여자 환자가 vaginal bleeding 증상으로 2018년 2월 의원에서 R/O endometrial disease 소견 하에 큰 병원 권유 받았으나 그냥 지내다 2018. 4. 14. 본원 산부인과 외래를 방문하여 D&E 결과 endometrium, adenocarcinoma 확인, 2018. 4. 16. 입원하여 이틀 후 TAH c¯ BSO 시행하였음 2018. 5. 7. adjuvant CCRT (concurrent chemoradiation therapy) 시작하였음 [surgical pathology report] - tumor size: 2.1×1.8×2.0 cm - histologic grade: FIGO grade I - tumor invasion: more than half of myometrium - pathological diagnosis cervix: chronic cervicitis endometrium: endometrioid carcinoma grade I myometrium: direct tumor invasion from the endometrium 암등록 시 초진일과 원발부위는?
2018. 04. 14 자궁내막
9
61세 여자 환자가 vaginal bleeding 증상으로 2018년 2월 의원에서 R/O endometrial disease 소견 하에 큰 병원 권유 받았으나 그냥 지내다 2018. 4. 14. 본원 산부인과 외래를 방문하여 D&E 결과 endometrium, adenocarcinoma 확인, 2018. 4. 16. 입원하여 이틀 후 TAH c¯ BSO 시행하였음 2018. 5. 7. adjuvant CCRT (concurrent chemoradiation therapy) 시작하였음 [surgical pathology report] - tumor size: 2.1×1.8×2.0 cm - histologic grade: FIGO grade I - tumor invasion: more than half of myometrium - pathological diagnosis cervix: chronic cervicitis endometrium: endometrioid carcinoma grade I myometrium: direct tumor invasion from the endometrium 암등록 시 초치료 방법과 요약병기는?
수술, 화학, 방사선 1 (localized only)
10
2018. 04. 05. Rt. breast palpable mass를 주호소로 내원함 최종진단: Rt. breast cancer 검사 및 치료 FNAB: infiltrating ductal carcinoma chest CT: no evidence of metastasis in both lungs abdominal CT: no showed peritoneal seeding or mass suspected to malignancy 2018. 04. 10.~05. 10. 1차 CTx 시행 2018. 05. 15. Rt. breast, modified radical mastectomy, LN dissection 실시 2018. 05. 20. pathology report: invasive ductal carcinoma (RUIQ), metastasis axillary LN(3/10) 2018. 07. 01. tamoxifen 투여 암등록 시 편측성과 요약병기는?
1 (오른쪽: 원발부위) 3(regional lymph nodes involved only)
11
2018. 04. 05. Rt. breast palpable mass를 주호소로 내원함 최종진단: Rt. breast cancer 검사 및 치료 FNAB: infiltrating ductal carcinoma chest CT: no evidence of metastasis in both lungs abdominal CT: no showed peritoneal seeding or mass suspected to malignancy 2018. 04. 10.~05. 10. 1차 CTx 시행 2018. 05. 15. Rt. breast, modified radical mastectomy, LN dissection 실시 2018. 05. 20. pathology report: invasive ductal carcinoma (RUIQ), metastasis axillary LN(3/10) 2018. 07. 01. tamoxifen 투여 암등록 시 초치료 방법은?
수술, 화학, 호르몬
12
「암관리법」상 명시된 목적이다. ( )안에 들어갈 내용은? 이 법은 국가가 암의 예방과 진료 및 연구 등에 관한 정책을 종합적으로 수립 ∙ 시행함으로써 암으로 인한 개인적 고통과 피해 및 사회적 부담을 줄이고 ( )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국민건강증진
13
「암관리법」상 암의 종류별 검진주기와 연령기준으로 옳은 것은?
위암 / 2년 / 40세 이상의 남, 여
14
「암관리법」상 지역암센터 또는 암 관련 전문기관 중 1개 기관을 시 ∙ 도별 지역암등록본부로 지정할 수 있는 자는?
보건복지부장관
15
다음 환자의 주진단 선정으로 옳은 것은? - 5년 전 위선암종으로 위 절제술 후 화학요법을 시행받았음. - 현재 위선암종은 재발이 없고, 간으로 전이되어 수술 후 퇴원함.
전이성 간암
16
췌장암을 치료하는 수술로 췌장두부, 십이지장, 위의 원위부, 총담관 하단부 등을 절제한 후 남아있는 부위를 문합하는 수술은?
Whipple’s operation
17
다음은 폐암 환자의 폐절제 부위를 빗금 친 것이다. 이에 해당하는 수술은?
RUL lobectomy
18
청소년기 남자의 장골(long bone)에 주로 발생하는 악성 종양은?
Ewing’s sarcoma
19
뇌종양 등을 진단하기 위해 양전자를 방출하는 방사성동위 원소를 이용하여 생체 기능과 병변의 정확한 위치를 진단할 수 있는 영상 검사는?
PET CT
20
자궁경부암 진단 시 자궁경부를 원뿔모양으로 절제하여 조직을 검사하는 방법은?
cone biopsy
21
고환의 생식세포에서 발생하는 악성종양은?
seminoma
22
유방암 환자에게 호르몬요법을 시행하기 위해 종양 세포에서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 수용체를 측정하는 검사는?
ER/PR
23
우리나라 암등록 사업의 역사로 옳은 것은?
1980년에 암등록 사업이 시작되었다.
24
상피세포 조직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은?
transitional cell carcinoma
25
자궁경부의 세포학적 검사(Pap smear) 결과 중 암등록 대상에 해당하는 것은?
CIN III
26
해당 암과 병기분류체계의 연결로 옳은 것은?
림프종 – Ann Arbor
27
60세 남자 환자는 4개월 전부터 왼쪽 목과 귀의 통증이 지속되다가, 1주일 전부터 증상이 악화되어 local 병원을 방문하여 상급병원 진료를 권유 받았음. 본원 OPD에서 biopsy 결과 lymphoma로 진단받고 2018년 5월 17일 입원함. • 경과 – 2018. 5. 14.(외래) lymph node, neck biopsy: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 2018. 5. 24. chemotherapy 암등록 시 원발부위 분류코드는?
C77.0 cervical lymph node
28
60세 남자 환자는 4개월 전부터 왼쪽 목과 귀의 통증이 지속되다가, 1주일 전부터 증상이 악화되어 local 병원을 방문하여 상급병원 진료를 권유 받았음. 본원 OPD에서 biopsy 결과 lymphoma로 진단받고 2018년 5월 17일 입원함. • 경과 – 2018. 5. 14.(외래) lymph node, neck biopsy: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 2018. 5. 24. chemotherapy 암 등록 시 진단경로와 편측성으로 옳은 것은?
증상발현 0(쌍을 이룬 부위가 아님)
29
40세 남자 환자는 외래에서 CT와 AFP 검사 시행 후 HCC(hepatocellular carcinoma) 진단받고 입원함 • 검사 – abdomen CT(외래): liver cirrhosis with splenomegaly 3 cm mass in liver: HCC, S4-6 small amount of ascites peritoneal seeding metastasis – AFP(외래): 400 ng/mL – EGD: esophageal varix c gastric varix • 경과 – TAE(transarterial embolization) 시술 후 특이 합병증 없이 퇴원하였음. 암등록 시 진단방법은?
임상검사
30
40세 남자 환자는 외래에서 CT와 AFP 검사 시행 후 HCC(hepatocellular carcinoma) 진단받고 입원함 • 검사 – abdomen CT(외래): liver cirrhosis with splenomegaly 3 cm mass in liver: HCC, S4-6 small amount of ascites peritoneal seeding metastasis – AFP(외래): 400 ng/mL – EGD: esophageal varix c gastric varix • 경과 – TAE(transarterial embolization) 시술 후 특이 합병증 없이 퇴원하였음. 암등록 시 치료방법과 요약병기로 옳은 것은?
기타치료 7(distant sites/nodes involved)
31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상 보건의료정보관리사의 업무 범위가 아닌 것은?
의료기관 재무 회계
32
「암관리법」상 암관리종합계획의 수립에 관한 내용으로 괄호 안에 해당하는 것은? ( 가 )은 국가암관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암관리종합 계획을 ( 나 )마다 세워야 한다.
보건복지부장관 5년
33
「암관리법」상 암검진사업에서 검진주기가 2년인 암의 종류는?
위암, 폐암, 유방암
34
「암관리법」상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을 충족하는 종합병원을 시 ∙ 도별 지역암센터로 지정할 수 있는 주체는?
보건복지부장관
35
특정분야의 업무역량 강화 및 검증을 위해 2019년부터 대한보건의료정보관리협회 (중앙회)에서 양성하고 있는 전문가는?
암등록전문가
36
의료기관에서 생성된 자료 중 이차적 자료원은?
암등록 자료
37
국가 암등록 보고 자료를 기반으로 산출하고 있는 통계는?
주요암 발생률
38
다음에서 설명하는 질환은? • 유두 습진 및 궤양성 병변 • punch bx 결과 유두와 유륜의 표피내 암세포 존재
Paget’s disease
39
유방 전체와 겨드랑이 림프절은 절제하고 가슴근육 일부를 보존하는 수술은?
modified radical mastectomy
40
어린이의 신장에 발생하는 악성 종양은?
nephroblastoma
41
암등록 시 조직학적 진단명과 주요 발생 부위가 옳게 연결된 것은?
ductal carcinoma – 유방
42
악성종양의 일반적 특징으로 옳은 것은?
피막이 없다.
43
가~마 중 암등록 대상으로 옳게 묶인 것은?
나 다
44
오른쪽 하복부의 통증으로 내원하여 임상검사를 받은 환자에게 자궁경부암이 의심될 때 실시하는 종양표지자 검사는?
SCC
45
72세 남자 환자는 6개월 전부터 빈뇨, 하복부 불쾌감 등의 증상으로 동네의원을 방문하여 전립선 비대증 진단을 받고 치료를 받아 왔음. 최근 혈뇨 증상을 보여 2019년 5월 20일 본원에 내원함. • 경과요약 – 2019. 5. 22. abdomen & pelvic CT 1) prostatic ca. with bladder invasion 2) Lt. para-aortic LN metastasis, multiple osteoblastic lesion in spine and pelvic bone – 2019. 5. 23. chest CT 1) nonspecific both interlobar LN enlargement 2) thoracic cage bone metastasis from prostatic cancer – 2019. 5. 25. transurethral resection of prostate 시행 – 조직검사 결과 2019. 5. 28. TURP acinar cell carcinoma, Gleason score 7(3+4), prostate 암등록 시 원발부위와 조직학적 형태 분류코드는?
C61.9 prostate M8550/3 acinar cell carcinoma
46
72세 남자 환자는 6개월 전부터 빈뇨, 하복부 불쾌감 등의 증상으로 동네의원을 방문하여 전립선 비대증 진단을 받고 치료를 받아 왔음. 최근 혈뇨 증상을 보여 2019년 5월 20일 본원에 내원함. • 경과요약 – 2019. 5. 22. abdomen & pelvic CT 1) prostatic ca. with bladder invasion 2) Lt. para-aortic LN metastasis, multiple osteoblastic lesion in spine and pelvic bone – 2019. 5. 23. chest CT 1) nonspecific both interlobar LN enlargement 2) thoracic cage bone metastasis from prostatic cancer – 2019. 5. 25. transurethral resection of prostate 시행 – 조직검사 결과 2019. 5. 28. TURP acinar cell carcinoma, Gleason score 7(3+4), prostate 암등록 시 요약병기 분류코드는?
7 (distant site(s) / node(s) involved)
47
45세 남자 환자는 하복부 통증으로 2017년 4월 15일 ○○병원에 방문하여 대장염 진단을 받고 치료 중 호전되지 않아 2017년 5월 13일 본원에 내원함. • 경과요약 – 2017. 5. 14. colonoscopy with biopsy – 2017. 5. 22. laparoscopic AR(single port) 수술 후 증상 호전되어 palliative chemotherapy(mFOLFOX x 6) 계획 하에 퇴원함. • 조직검사결과 – 2017. 5. 20. colon, colonoscopy with biopsy: adenocarcinoma, well differentiated – 2017. 5. 29. colon and rectum, ultra low anterior resection : adenocarcinoma, moderately differentiated, 5.0× 4.0× 1.5 cm, sigmoid colon 암등록 시 원발부위 및 초진일자는?
sigmoid colon 2017. 5. 13.
48
45세 남자 환자는 하복부 통증으로 2017년 4월 15일 ○○병원에 방문하여 대장염 진단을 받고 치료 중 호전되지 않아 2017년 5월 13일 본원에 내원함. • 경과요약 – 2017. 5. 14. colonoscopy with biopsy – 2017. 5. 22. laparoscopic AR(single port) 수술 후 증상 호전되어 palliative chemotherapy(mFOLFOX x 6) 계획 하에 퇴원함. • 조직검사결과 – 2017. 5. 20. colon, colonoscopy with biopsy: adenocarcinoma, well differentiated – 2017. 5. 29. colon and rectum, ultra low anterior resection : adenocarcinoma, moderately differentiated, 5.0× 4.0× 1.5 cm, sigmoid colon 치료방법 및 분화도는?
수술 moderately differentiated
49
「암관리법」상 암관리종합계획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암관리에 필요한 전문 인력의 육성에 관한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
50
「암관리법」상 암검진사업 대상인 암의 종류 및 검진주기가 옳지 않은 것은?
유방암 – 1년
51
「암관리법」상 중앙암등록본부의 수행업무가 아닌 것은?
지역암센터 지정 및 지정취소
52
우리나라의 암등록 사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본원에 내원한 암환자는 타병원 암등록 여부와 관계 없이 등록한다.
53
암등록 시 수술적 치료는?
자궁경부 상피내암에서 원추절제술
54
• 최종진단: pancreatic cancer • PHx: 48세 여자 환자는 복부통증, 식욕부진 증상으로 2020. 12. 13. 타 병원 방문하여 복부초음파 검사상 이상소견을 보여 Bx 권유 받았으나 거절하고 2021. 2. 11. 본원 내원함 • 경과- Abd CT(2021. 2. 16.): adenocarcinoma of pancreas(body & tail) - WBBS: meta. vertaebrae T3, T4 - palliative CTx (2021. 2. 20. started) 암등록 시 최종진단방법은?
임상검사
55
• 최종진단: pancreatic cancer • PHx: 48세 여자 환자는 복부통증, 식욕부진 증상으로 2020. 12. 13. 타 병원 방문하여 복부초음파 검사상 이상소견을 보여 Bx 권유 받았으나 거절하고 2021. 2. 11. 본원 내원함 • 경과- Abd CT(2021. 2. 16.): adenocarcinoma of pancreas(body & tail) - WBBS: meta. vertaebrae T3, T4 - palliative CTx (2021. 2. 20. started) 암등록 내용으로 옳은 것은?
원발부위 : 췌장의 중복병변
56
• PHx: 78세 남자 환자는 3월 22일부터 기침, 호흡곤란 증상이 있어 4월 7일 본원 호흡기내과 외래로 내원, 폐암이 의심되어 4월 9일 입원함 • 최종진단: metastatic lung cancer • 경과 – 2020. 4. 7. chest PA: R/O lung mass, Rt. pneumonia, both pleural effusion – 2020. 4. 10. abdomen & chest CT: metastatic lung cancer multiple metastasis, liver & CBD R/O metastatic LAP – 2020. 4. 13. pleural effusion에 대한 cytology를 시행할 계획이었으나, 호흡곤란이 심해 시행하지 못함 – 2020. 4. 28. 고령으로 추가적 검사 시행하지 않고 통증조절과 항생제 치료하던 중, 폐렴 증상과 호흡곤란이 악화되어 사망함 암등록시 원발부위는?
unknown primary site
57
• PHx: 78세 남자 환자는 3월 22일부터 기침, 호흡곤란 증상이 있어 4월 7일 본원 호흡기내과 외래로 내원, 폐암이 의심되어 4월 9일 입원함 • 최종진단: metastatic lung cancer • 경과 – 2020. 4. 7. chest PA: R/O lung mass, Rt. pneumonia, both pleural effusion – 2020. 4. 10. abdomen & chest CT: metastatic lung cancer multiple metastasis, liver & CBD R/O metastatic LAP – 2020. 4. 13. pleural effusion에 대한 cytology를 시행할 계획이었으나, 호흡곤란이 심해 시행하지 못함 – 2020. 4. 28. 고령으로 추가적 검사 시행하지 않고 통증조절과 항생제 치료하던 중, 폐렴 증상과 호흡곤란이 악화되어 사망함 암등록시 초진년월일은?
2020. 4. 7.
58
「암관리법」상 암관리 종합계획 수립에 있어서 ( )안에 맞는 내용은? 종합계획의 수립 등 암관리에 관한 중요사항을 심의하기 위하여 보건복지부장관 소속으로 ( )를 둔다.
국가암관리위원회
59
「암관리법」상 암연구사업에 있어서 ( )안에 맞는 내용은? ( A )은 암연구사업의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사항에 대한 기획 ∙ 관리 및 평가 등의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제27조에 따라 설립된 ( B )로 하여금 다음 각 호의 업무를 수행하게 할 수 있다. 1. 암연구사업의 국내외 추세 및 암연구사업에 대한 수요 예측 2. 암연구사업 계획의 작성 3. 연도별 암연구사업 과제의 공모 ∙ 심의 및 선정 4. 암연구사업 결과의 평가 및 활용 5. 그 밖에 암연구사업에 필요한 사항
보건복지부장관 국립암센터
60
「암관리법」상 지역암등록본부 업무를 전담하는 인력으로 옳은 것은?
보건의료정보관리사
61
다음 항목들을 수집 및 조사하는 사업은? • 초진연월일 • 원발부위 • 조직학적 진단명 • 진단방법 • 병기분류 • 분화도
암등록통계조사
62
상피세포에 발생하는 악성 종양은?
transitional cell carcinoma
63
다음은 암등록 자료이다. 오류가 확인되어 데이터 질 관리가 필요한 항목으로 연결된 것은? 성별 : 여 원발부위 코드 : C53.9 (cervix uteri, NOS) 조직학적 진단 코드 : M8070/2 (squamous cell carcinoma in situ) 요약병기 : 7 (distant sites/nodes involved) TNM병기 : TisN0M0
조직학적 진단코드와 요약병기
64
다음 사례에 대한 암등록 시 원발부위와 조직학적 진단으로 옳은 것은? • 62세 여자 환자는 2022년 9월 호흡곤란, 기침, 흉통으로 타 병원에 내원하여 bronchoscopy c biopsy 후 폐암으로 진단받았음 • 2022년 10월 본원에 입원하여 폐엽 절제술을 받았음 • 입원 중 잦은 두통, 구토 및 왼쪽 시력 장애 증상이 있어 brain MRI 검사한 결과 brain metastasis 확인됨 [조직검사결과] 2022. 9. 17. bronchoscopy c biopsy: LUL, carcinoma 2022. 10. 5. lobectomy: LUL, adenocarcinoma
lung, LUL(C34.1), adenocarcinoma(M8140/3)
65
암등록 시 세포학적 검사에 해당하는 것은?
Pap. Smear
66
다음의 사례를 읽고 아래 각 문제에서 가장 적합한 답을 하나만 고르시오. 40세 남자 환자가 외래에서 CT와 AFP 검사 시행 후 hepatocellular carcinoma로 진단받고 입원함 • 검사 – abdomen CT: liver cirrhosis with splenomegaly 3 cm mass in liver, HCC, S4-6 massive ascites peritoneal seeding metastasis – AFP: 400 ng/mL • 경과 – paracentesis 시행 후 퇴원함 암등록 시 진단방법은
임상검사
67
40세 남자 환자가 외래에서 CT와 AFP 검사 시행 후 hepatocellular carcinoma로 진단받고 입원함 • 검사 – abdomen CT: liver cirrhosis with splenomegaly 3 cm mass in liver, HCC, S4-6 massive ascites peritoneal seeding metastasis – AFP: 400 ng/mL • 경과 – paracentesis 시행 후 퇴원함 암등록 시 요약병기로 옳은 것은?
distant sites/nodes involved
68
• 최종진단 : colon cancer • 현병력 : 64세 여자 환자가 평소 변비가 심하여 2020년 10월 26일 ○○ 내과의원을 방문하여 colonoscopic biopsy를 시행받은 후 11월 11일 외래를 경유하여 입원함 2020. 11. 1. [○○ 내과의원 조직검사결과] colon, descending, colonoscopic biopsy: adenocarcinoma, moderately differentiated 경과 2020. 11. 11. 입원 2020. 11. 13. colon, laparoscopic left hemicolectomy: 1. tubulovillous adenocarcinoma, poorly differentiated 2. resection margins: free from carcinoma 2020. 11. 17. 퇴원 2020. 11. 30. 혈액종양내과 내원, chemotherapy start 2021. 1. 15. 방사선종양학과 내원, radiotherapy 여부 논의함 암등록 시 초진일은?
2020.10.26
69
• 최종진단 : colon cancer • 현병력 : 64세 여자 환자가 평소 변비가 심하여 2020년 10월 26일 ○○ 내과의원을 방문하여 colonoscopic biopsy를 시행받은 후 11월 11일 외래를 경유하여 입원함 2020. 11. 1. [○○ 내과의원 조직검사결과] colon, descending, colonoscopic biopsy: adenocarcinoma, moderately differentiated 경과 2020. 11. 11. 입원 2020. 11. 13. colon, laparoscopic left hemicolectomy: 1. tubulovillous adenocarcinoma, poorly differentiated 2. resection margins: free from carcinoma 2020. 11. 17. 퇴원 2020. 11. 30. 혈액종양내과 내원, chemotherapy start 2021. 1. 15. 방사선종양학과 내원, radiotherapy 여부 논의함 암등록 시 초치료 방법과 분화도로 옳은 것은?
수술+화학요법 poorly differentiated
70
「암관리법」상 보건복지부장관은 국 가암관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몇 년마다 암관리종합계획을 세워야 하는가?
5년
71
「암관리법」상 암검진사업에서 연령 기준 등을 충족 한 경우 검진주기가 2년인 암이 아닌 것은?
대장암
72
「암관리법」상 지역암센터 또는 시설 ∙ 인력 ∙ 장비 등의 기준을 충족하는 관련 전문기관 중 1개 기관을 시 ∙ 도별 지역암등록 본부로 지정할 수 있는 자는?
보건복지부장관
73
암등록 대상으로 맞는 것을 모두 고르세요
암 증상으로 본원에 내원하여 암으로 진단받은 경우, 본원을 방문한 이유가 암과 관련 없지만 다른 병원에서 암으로 진단받았고 아직 완치되지 않은 경우, 본원을 방문한 이유가 암과 관련 없지만 우연히 암이 발견되는 경우, 본원에서 이미 암진단을 받고 암등록이 되어 있으나, 암등록 된 암과 다른 암을 진단 받는 경우, 타 기관에서 암을 진단받은 환자가 동일한 암으로 본원에 내원한 경우
74
2012년 3월, 기침, 가래 증상으로 동네 의원 방문하여 큰 병원을 권유받고 2012 년 8월 본원 내원하여 폐암을 진단 받았다.
암등록 대상
75
2010년 7월에 본원에 심근경색으로 입원하였음. 이 환자는 2003년 대장암 1기로 진단받고 수술 받고 완치되어, 현재는 대장암에 대한 치료는 받고 있지 않음
암등록 비대상
76
이 환자는 2017년 3월 교통사고로 입원하여 검사 도중 뇌종양으로 진단받 았음
암등록 대상
77
2009년 5월 타 병원에서 위암 말기 진단 받고 치료 중 증상이 악화되어 2010년 5월 본원 내원
암등록 대상
78
2002년에 본원에서 신장암으로 수술받고 완치되어 내원하지 않다가 2017년 타병원에서 난소암 진단받고 본원에 내원함
암등록 대상
79
암등록시 환자정보에는 이러이런 것들이 들어간다 눈으로 익혀두길 바란다
병원번호, 환자번호, 주민등록번호, 성명, 연령, 행려환자, 외국인, 직업, 주소: 의무기록주소, 우편번호
80
초진년월일은? 00년0월0일 띄어쓰기 없이
15년7월1일
81
초진년월일은? 00년0월0일 띄어쓰기없이
16년4월
82
초진년월일은? 00년0월0일 띄어쓰기없이
15년5월1일
83
초진년월일은? 00년0월0일 띄어쓰기없이
17년1월2일
84
초진년월일은? 00년00월00일 띄어쓰기없이
17년11월3일
85
1. 2015년 3월 기침, 가래 증상으로 동네 의원 방문하여 chest x- ray에서 lung nodule 발견되어 , 2015년 7월1일 본원 외래 내원 , 2015년 7월15일 lobectomy 시행 left upper lobe of lung, lobectomy ; lymph node excision ; 4 lymph nodes negative for carcinoma left upper lobe of lung, invasive squamous cell carcinoma, poorly differentiated, emphysema 초진년월일은? 00년00월00일 띄어쓰기없이
15년7월1일
86
1. 2015년 3월 기침, 가래 증상으로 동네 의원 방문하여 chest x- ray에서 lung nodule 발견되어 , 2015년 7월1일 본원 외래 내원 , 2015년 7월15일 lobectomy 시행 left upper lobe of lung, lobectomy ; lymph node excision ; 4 lymph nodes negative for carcinoma left upper lobe of lung, invasive squamous cell carcinoma, poorly differentiated, emphysema T코드는? 대문자로
C34.1
87
1. 2015년 3월 기침, 가래 증상으로 동네 의원 방문하여 chest x- ray에서 lung nodule 발견되어 , 2015년 7월1일 본원 외래 내원 , 2015년 7월15일 lobectomy 시행 left upper lobe of lung, lobectomy ; lymph node excision ; 4 lymph nodes negative for carcinoma left upper lobe of lung, invasive squamous cell carcinoma, poorly differentiated, emphysema M코드는? 대문자로
M8070/3
88
27세 여환은 tonsillitis 로 인해 2018년 1월부터 본원 외래 진료를 받다가 tonsillectomy 를 시행하기 위해 지난 3월20일에 입원, 환자는 10세 때 ALL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진단 받고 항암 치료 후 완치 판정을 받음 암등록 대상여부?
암등록 비대상
89
작년 겨울부터 왼쪽 무릎 바로 윗부분에 mass develop 되어 local clinic 방문, 2017년 7월 22일 본원으로 전원 되어 mass removal 하였음. 검사일: 2017.7.25 확진일: 2017.07.27 skin thigh, left excision; Merkel cell carcinoma with no residual tumor 초진년월일은? 00년00월00일 띄어쓰기없이
17년7월22일
90
작년 겨울부터 왼쪽 무릎 바로 윗부분에 mass develop 되어 local clinic 방문, 2017년 7월 22일 본원으로 전원 되어 mass removal 하였음. 검사일: 2017.7.25 확진일: 2017.07.27 skin thigh, left excision; Merkel cell carcinoma with no residual tumor T코드는? 대문자로
C44.7
91
작년 겨울부터 왼쪽 무릎 바로 윗부분에 mass develop 되어 local clinic 방문, 2017년 7월 22일 본원으로 전원 되어 mass removal 하였음. 검사일: 2017.7.25 확진일: 2017.07.27 skin thigh, left excision; Merkel cell carcinoma with no residual tumor M코드는? 대문자로
M8247/3
92
Esophagus, fibroscopic biopsy : squamous cell carcinoma, in situ Stomach, fibroscopic biopsy : adenocarcinoma T코드는? 대문자로, 띄어쓰기없이
C15.9,C16.9
93
Esophagus, fibroscopic biopsy : squamous cell carcinoma, in situ Stomach, fibroscopic biopsy : adenocarcinoma M코드는? 대문자로 띄어쓰기없이
M8070/2,M8140/3
94
Lymph node, neck excision: malignant lymphoma, small cleaved cell, diffuse T코드는? 대문자로
C77.0
95
Lymph node, neck excision: malignant lymphoma, small cleaved cell, diffuse M코드는? 대문자로
M9591/3
96
2016년에 타병원에서 유방암 수술을 받고 2018년 4월 본원에 내원하여 AML (Acute Myelogenous leukemia) 진단 받고 2018년 5월2일부터 본원 혈액종양내과에서 항암 치료를 받고 있음 Bone marrow biopsy : AML (Acute myelogenous leukemia) Mastectomy : infiltrating ductal carcinoma , breast 초진년월일 둘다 00년00월00일,띄어쓰기없이
16년,18년4월
97
2016년에 타병원에서 유방암 수술을 받고 2018년 4월 본원에 내원하여 AML (Acute Myelogenous leukemia) 진단 받고 2018년 5월2일부터 본원 혈액종양내과에서 항암 치료를 받고 있음 Bone marrow biopsy : AML (Acute myelogenous leukemia) Mastectomy : infiltrating ductal carcinoma , breast T코드 둘다 대문자로 띄어쓰기없이
T50.9,C42.1
98
2016년에 타병원에서 유방암 수술을 받고 2018년 4월 본원에 내원하여 AML (Acute Myelogenous leukemia) 진단 받고 2018년 5월2일부터 본원 혈액종양내과에서 항암 치료를 받고 있음 Bone marrow biopsy : AML (Acute myelogenous leukemia) Mastectomy : infiltrating ductal carcinoma , breast M코드 둘다 띄어쓰기없이대문자로
M8500/3,M9861/3
99
암등록의 진단정보에는 다음과같은 내요이 들어간다 눈으로 확인하거라
초진년월일, 진단경로, 원발부위명, 편측성, 조직학적진단명, 분화도, 최종진단방법
100
편측성외우는 줄임말적기
엑오왼하양가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