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입구항로란?
항의 입구 부근에 위치한 항로
2
항내항로란?
정박지 내에 존재하는 항로
3
접근항로란?
안벽 등 정박장소에 접근하기 위한 항로
4
정박지의 종류는?
검역묘지 정박장소 선석 등 하역을 하기 위한 정박장소
5
방사제란?
해안의 모래가 이동하는걸 막음
6
파제제란?
항내 수면 안정화 위한 시설
7
호안이란?
흙이 붕괴되는 것을 막기 위해 육지를 떠받치는 시설
8
계류시설의 종류로는?
1. 안벽 2. 잔교 3. 부잔교 4. 불양장 5. 돌핀
9
안벽이란? 그리고 그 구성품은?
선박을 대기 위해 육지와 평행하게 만든 구조물 펜더: 충격 완화 위해서 다는 구조물(ex 타이어) 계선주 캡스턴: 계류삭 기계로 감는 장치
10
잔교란? 그리고 그 장단점은?
육안에서 직각으로 수면에 돌출한 돌제안벽 장점: 연약지반에 건설 가능, 반사파 없어서 항내 온도유지 가능 단점: 충격에 약함, 파도 심할때 물이 들이칠 수 있음
11
부잔교란? 장단점은?
상자모양 부유체를 닻으로 고정해서 물에 띄운거. 폰툰이라고도 함 장점: 좇차 크고 연약지반이며 수심이 깊은곳에서 싼 건설비로 설치가능 단점: 대형선에 부적합, 파도에 의한 손상가능성
12
계선부표란?
선박 계류 위한 부표. 부선하역 실시 가능
13
돌핀이란?
육안으로부터 떨어진 수면에 나무말뚝 등 묶음을 두드려 넣어 만든 구조물. 유류, LNG 하역에 활용
14
1종배후단지의 목적과 그 목적에 맞는 입주시설은?
항만 부가가치와 항만 관련 산업의 활성화 도모 주로 물류시설, 조립 및 가공의 제조시설 등이 입주
15
2종 항만배후단지의 목적과 입주시설은?
항만이용자의 편익을 꾀하기 위함. 1종 배후단지를 지원하기 위한 주거 및 상업시설 등
16
부두란?
안벽, 잔교, 돌핀 등 선박계류시설, 하역기계, 야적장, 창고, 도로, 철도 등 시설의 총칭
17
공공부두란?
개발과 정비 등이 공공사업으로 수행. 국가 또는 지방공공단체가 관리 불특정다수의 화주와 선사가 이용
18
사용부두란?
민간이 건설, 정비하는 부두 기업이 관리운영(소유권 자체는 국가) 제철소, 발전소, 정유소 등의 부속부두, 대부분의 컨테이너 부두
19
TOC부두란?
민간에 전용권을 준 공공부두
20
취급화물에 따른 부두의 종류는?
1. 일반부두: 잡화 취급 2. 전용부두: 특정화물 전문취급 (컨테이너부두+etc 느낌으로 14개) 3. 다목적부두: 일반잡화 + 컨테이너
21
평행식 부두의 장점과 사용처는?
배후지를 넓게 쓸 수 있음 컨테이너 부두나 생산공장 부두에 많이 사용
22
돌제식 부두란? 그리고 그 장단점은? 추세는?
안벽과 직각 또는 직각에 가까운 형태로 돌출한 부두 장점: 제한된 안벽에 많은 선박 계류 가능 단점: 배후지가 좁아짐 추세: 선박 대형화 추세로 활용도 떨어짐
23
쌍자식 부두란? 장점은?
돌제식 부두의 일종으로 바깥쪽은 대형선, 안쪽은 소형선 용으로 만듦 대형선과 소형선 사이 환적 용이
24
인공섬 부두란? 장단점은?
육안에서 떨어진 곳을 매립하거나 잔교 등 계선설비를 설치한 부두 부선 하역 용이 건설비 많이듬
25
굴착식 또는 박거형 부두란? 장점은?
육지를 굴착하거나 수면을 오목하게 남기고 매립한 형태의 부두 수면 안정화됨
26
복합식 부두란?
평행식 + 돌제식 혼합
27
해분이란? 사용목적은? 단점 및 추세는?
=도크 조수간만 심한 항만에서 갑문으로 수심평균을 유지해 선박의 정박을 용이하게 하는 시설 입출항 시간 증가하는 단점때문에 도태되는 추세
28
CY와 CFS의 차이는?
전자는 컨테이너 보관장소 후자는 lcl 화물의 컨테이너 적출입 하는 장소
29
정비공장의 중요성이 올라가는 이유는?
냉동컨테이너 활용 증가
30
컨테이너 크레인을 일컫는 용어 두개는?
STS크레인, 갠트리크레인
31
트랜스퍼크레인의 종류 두가지는?
RMGC: 레일식 RTGC: 바퀴식
32
톱핸들러와 리치스태커의 차이는?
톱핸들러는 공컨테이너용
33
부선이란?
항만 내에서 짧은 거리 해상운송에 사용되는 소형선
34
항만물류란?
항만을 통해 이동하는 재화와 정보의 흐름을 관리해 경제적 가치를 증대시키는 행위
35
항만물류의 중요성이 큰 이유는?
국가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이 큼
36
항만물류의 활동형태 5가지 기능은?
운송, 보관, 포장, 하역, 정보 유통가공은 항만배후단지에서
37
항만서비스요금을 정부가 관리하는 이유는?
운영사 폭리 -> 물류비용상승 -> 제품가격 상승 -> 물가상승
38
항만을 공공소유로 하는 이유는?
이익추구가 아닌 경제발전 기반마련이 목표이기 때문
39
항만물류의 특성 5가지는?
운영의 제약성: 공공단ㅊ체가 관리하기 때문에 정책적 제약이 있음 불규칙성: 해상운송 잧체가 불규칙적이기 때문 노동집약성 수동성: 항만물류는 수단일 뿐 목표가 아니기 때문에 자체적인 수요창출 불가 즉시성: 서비스이기 때문에 생산과 판매가 동시에 이뤄짐
40
항만물류 시스템의 구성요소 5가지는?
입출항 지원 시스템 부두하역 및 이송시스템 보관 시스템 내륙수송 연계 시스템 항만정보 시스템
41
컨테이너화의 의의는?
포장 표준화를 통한 신속하역 및 운송 법규 통일화 통관절차 간소화
42
컨테이너화에 의한 물류 및 항만환경의 변화양상은?
항만터미널의 전용화 시작 선박 대형화에 따른 터미널 대형화 표준적인 하역기기 사용에 따른 자동화 촉진 항만의 환적기능 강조
43
컨테이너화에 의한 항만의 주요 변화는?
필요 인력 감소 생산성 향상 초기 투자비용 증가 해상운송의 Hub&Spoke화: 대형 허브항만에 초대형선 기항 후 소형선으로 주변의 항만에 환적 향후에는 안벽 대형화, 크레인 생산성 향상, 터미널 내 트럭 회전시간 단축 요구될것으로 예ㅅ상
44
컨테이너화의 이점은?
물류 관리비용 절감 고객서비스 향상: 신속한 화물 이동 및 하역시간 단축 안정성 증대
45
컨테이너화의 단점은?
초기자본 증가 전문지식 및 기술확보 요구 제한적 활용: 모든 화물을 컨테이너화 할 순 없음, 전용 처리시설 갖춘 터미널에서만 ㅊ처리가능
46
섀시방식 컨테이너 터미널의 정의, 장단점은?
컨테이너를 섀시 스테일러에 적재하여 대기시키는 방식 장점: 야드에서 하역기기 필요 없음, 컨테이너 손상률 낮음 단점: 단적불가
47
스트래들 캐리어 방식 컨테이너 터미널의 종류, 장단점은?
스트래들캐리어 직접이송방식: 안벽으로 양화한 컨테이너를 직접 장치장으로 운송하고 트럭에 상차 스트래들캐리어 연계방식: 장치장에서 장치, 반입, 반출 작업에만 사용 장점: 높은 기동성으로 작업량 급증시 대응 쉬움. 2-3단적 가능 단점: 장비와 컨테이너 파손율 높음
48
트랜스퍼 캐리어 방식 컨테이너 터미널의 정의, 장단점은?
안벽과 야드 사이 운송은 트레일러, 야드작업은 트랜스퍼 크레인 사용 장점: 3-5단적으로 장치효율 높음. 완전자동화에 유리 단점: 작업량 급증시 대응능력 떨어짐
49
프론트엔드 탑 픽 로더 방식 컨테이너 터미널의 정의, 장단점은?
안벽과 야드는 트레일러로, 야드작업은 로더로. 장점: 터미널 내 작업 신속성 확보 가능. 트랜스퍼 크레인과 병행운영 ㄱ ㅏ능 단점: 대량의 컨테이너 처리 어려움
50
혼합중계방식 컨테이너 터미널의 정의, 장단점은?
스트래들캐리어와 트랜스퍼캐리어 혼합 사용 장점: 높은 작업 효율성 단점: 종합적 정보시스템과 정교한 사전계획 필요
51
컨테이너 터미널의 향후 발전 방향을 상징하는 키워드 두개는?
자동화, 다단적화
52
컨테이너 터미널 자동화의 전제조건은?
정보시스템 구축 시스템 고장시 대처법 마련 초기비용
53
LASH식 운송이란? 장단점은?
거룻배에 화물 적부해 그대로 본선에 적재해 운송하는 방식 장점: 대량화물 단위화 가능. 수심 얕은 항만에서 능률적 활용 단점: 내륙연계능력 열악, 낮은 경제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