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인간은 우주의 신비와 자신의 운명을 알고 싶어 하지만 결코 그거를 다 알 수 없는 ( )이다.
유한한 존재
2
인간은 자신의 삶과 행위를 반성하고 성찰할 수 있는 ( ) 존재이다.
윤리적
3
인간은 혼자서 살아갈 수 없는 ( ) 존재이다.
사회적
4
유교의 사상가들은 수신, ( ), 치국, ( )를 목표로 삼았다.
제가, 평천하
5
다른 사람을 배려하는 예절, 바른 행동과 즐거움을 함께 나눌 수 있는 음악을 강조하는 유가 사상
예악
6
동양 사상은 계절의 변화에 따라 살아가는 삶의 방식은 자연 질서에 순응하는 ( )사고방식을 보여 준다.
순환론적
7
불교는 어떤 사물도 독자적으로 존재하지 않고 ( )에 따라 생성하고 소멸한다 는 세계관을 제시하였다.
연기
8
도가에서는 삶과 죽음을 ( )가 변화하는 과정으로 설명하였다.
기
9
단군 신화에는 하늘과 인간이 조화하는 ( )의 정신이 드러나있다.
천인합일
10
친추 전국 시대에 나타난 여러 학자와 학파를 일컫는 말은?
제자백가
11
진시황이 많은 책을 불태우고 체제를 비판하는 유학자들을 매장한 사상 탄압을 일컫는 말은?
분서갱유
12
( )은 명분을 바르게 한다는 뜻으로 사회 구성원 각자의 역할과 직분을 강조한다.
정명
13
다른 사람의 불행을 측은하게 여기는 마음?
측은지심
14
옳지 못한 일을 부끄러워하고 미워하는 마음?
수오지심
15
다른 사람에게 겸손하고 양보할 줄 아는 마음?
사양지심
16
옳고 그름을 분별하는 마음?
시비지심
17
맹자는 형벌로 강제하는 ( ) 정치를 비판하고 ( ) 정치를 이상적 정치라 하였다.
패도, 왕도
18
군주가 군주답지 못할 때 하늘의 뜻에 따라 혁명으로 왕조를 바꿀 수 있다는 맹자의 주장은?
역성혁명
19
( )는 인간을 비롯한 우주 만물의 본성이 곧 하늘이 부여한 이치라는 뜻이다.
성즉리
20
( )는 하늘로부터 부여받은 천리로서의 본성을 보존하는 것이고, ( )은 기질의 욕망을 제거한다는 뜻이다
존천리, 거인욕
21
( )는 마음 그 자체가 하늘의 이치라 할 수 있는 이와 같다는 사상이다.
심즉리
22
( )은 앎과 행함은 서로 구별되는 것이 아니라 근본적으로 같다는 것이다.
지행합일
23
유교에서는 ( )을 천도의 측면에서는 진실한 이치, 인도의 측면에서는 진실한 마음으로 이해한다.
성
24
성리학에서 말하는 천리는 곧 하늘의 이법을 자연의 질서와 인간의 사회를 관통하는 ( )을 말한다.
보편적 법칙
25
17세기 이후 조선에서는 사회 개혁을 통해 민생을 안정시키고자 하는 ( ) 사상이 등장하였다.
실학
26
정약용 천주교의 영향을 받아 사용한 영어로 그리스교도에서 창조된 인간에게 주어진 자유의지에서 나온 말은?
자주지권
27
정약용은 선을 좋아하고 악을 미워하는 경향성이 곧 성이라는 ( )을 제시하였다.
성기호설
28
불교에서 ( )은 모든 존재가 헛된 것임을 깨달았어요 고통과 집착에서 벗어나는 것을 말한다.
해탈
29
( )은 해탈로 모든 괴로움이 사라져 평온한 상태를 말한다.
열반
30
삼법인은 불교의 세 가지 근본적인 특징으로 ( ), 제법무아, 일체개고를 말한다.
제행무상
31
석가모니의 사성제는 ( ) 네 가지의 성스러운 진리를 뜻한다.
고집멸도
32
불교의 학문적 경향을 비판하고 불교의 혁신을 주장하며 일어난 것이 ( ) 불교 운동이다.
대승
33
( )은 불교의 수행자가 도달할 수 있는 최고의 단계에 위치를 뜻하는 말이다.
아라한
34
대승 불교의 가장 대표적인 사상은 모든 존재의 실체 없음을 강조하는 ( )사상으로 그 창시자는 ( )이다
중관, 용수
35
( )이란 오직 의식 뿐 이라는 뜻으로 현상 세계는 의식의 장난에 불과하다는 것이 핵심이다
유식
36
( )은 불교 수행의 방법으로 계학, 정학, 혜학 세 가지를 일컫는다.
삼학
37
( )은 부처의 설법을 형식, 방법, 순서, 내용, 교리에 따라 분류라고 이를 체계화하는 일을 말한다.
교상판석
38
중국에서 선종이 큰 세력을 얻게 된 것은 제6조 ( ) 부터이다
혜능
39
신라의 삼국 통일 후 당시 한국 불교의 이론 정립에 큰 약할을 한 승려가 바로 ( )이다.
원효
40
고려시대 불교는 황실의 비호를 받으며 ( )과 ( )을 비롯한 다수의 고승이 나왔다.
의천, 지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