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KUH-1 헬기의 유압장치는 독립된 이중구조로 설계되어 있어 한 개의 시스템에 결함이 발생하더라도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시스템에 의해 임무완수를 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아래의 유압장치 흐름도를 보고 빈칸을 채우시오.
브레이크 장치, 비상유압펌프, NO.1트랜스퍼모듈조립체, 테일로터작동기(TRA), NO.2주유압펌프
2
KUH-1 헬기의 유압장치는 독립된 이중구조로 설계되어있어 한 개의 시스텀에 결함이 발생하더라도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시스템에 의해 임무완수를 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있다. No.1 유압장치의 주요구성품 명칭 및 기능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가. NO.1 유압 주펌프:( 1 )의 압력을 생성하여 NO.1 트랜스퍼모듈 조립체로 공급 나. NO.1 트랜스퍼 모듈 조립체: NO.1 주 유압펌프 또는 ( 2 ) 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유를 저장, 정류 및 분배하여 ( 3 ) 와 ( 4 ) 으로 공급 다.( 5 ): NO.1 트랜스퍼 모듈 조립체로부터 공급되는 압력을 분배하여 3개의 MRA로 공급하고, MRA로 귀환되는 압력을 모아 NO.1 트랜스퍼 모듈 조립체로 귀환
3000±50psi, 비상유압펌프, 비행조종계통, 착륙장치계통, NO.1매니폴드조립체
3
KUH-1 사이클릭 조종간에는 자동비행조종과 임무장비작동을 위한 스위치 10개로 구성되어 있다. 사이클릭 조종간에 위치한 스위치 명칭 및 기능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가.CUT-OFF 스위치: ( 1 ) 나.( 2 ): 자동비행조종장치 트림 조종 다.DISENGAG 스위치: 자동비행조종장치 상위모드 해제 라.TRIM REL 스위치: 사이클릭 조종 손잡이 트림 조종력 해제 마.( 3 ): 자동비행조종장치 지상속도 유지 바.MEL/CDL 스위치: 임무장비 및 다기능 시현기 선택 사.DMS 스위치: 다기능시현기 시현 페이지 제어 아.CARGO 스위치: ( 4 ) 자.MEP/RET 스위치: 경고 시현 및 음성 리셋 차.( 5 ): 무전기 내외부 통호
자동비행조종장치기능해제, BEEPTRIM스위치, G/SPEED스위치, 화물인양장비결속해제, PTT스위치
4
자동조종장치의 주요 구성품 명칭 및 기능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가. (1): 자세방위기준장치(AHRS)및 자기감지기 (MAS), 대기자료(ADS)의 비행정보를 입력받아 작동기에 구동명령을 전달 나.(2): 항공기 자세 및 가속도 등의 비행정보를 자동조종컴퓨터로 제공 다.자기감지기(MAS): (3) 라.전기기계식작동기(SEMA):자동조종컴퓨터로부터 구동명령을 전달받아 작동 마.트림작동기:자동조종컴퓨터로부터 구동명령을 전달바다 작동 바.비행조종패널(FCP): (4) 사.(5): 자동조종컴퓨터 전원인가, 트림 조종 및 힘 제어, 비행전 점검 수행 아.재형성장치 (RCU): 자세방위기준장치 전원인가 및 조종기능 선택
자동조종컴퓨터(APM), 자세방위기준장치(AHRS), 자기정보를자세방위기준장치로제공, 자동비행조종을위한상위모드선택및기준데이터설정, 자동비행조종보조장치(AFCAU)
5
대기자료장치(ADS)의 주요 구성품 명칭 및 기능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가.(1): 피토정압프로브/대기온도프로브에서 대기압과 온도 감지, 대기자료(고도,속도,수직속도)를 산출하여 자동비행조종컴퓨터(APM)에 전달 나. 피토정압 프로브: (2)과(3)의 대기압력을 측정, 대기자료 컴퓨터(ADC)에 전달 다.피토프로브열제어기(PHCU): (4) 전원을 피토정압 프로브에 공급 라. (5) : 대기온도를 측정, 대기자료컴퓨터(ADC)에 전달
대기자료컴퓨터(ADC), 전압, 정압, 115V AC, 대기온도프로브
6
KUH-1 사이클릭 조종간에는 (1)과 임무장비 작동을 위한 스위치 (2) 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능 스위치는 입력 형식에 따라 (3),(4),(5) 세종류로 구성된다.
자동비행조종, 10, 누름식, 토글식, 트리거식
7
NO.1 저장조는 (1)와 (2)에 유압유를 공급하고 NO.2 저장조는 (3)에 유압유를 공급한다. NO.1 저장조 용량은(4) 이고 NO.2 저장조 용량은()이다.
NO.1주유압펌프, 비상유압펌프, NO.2주유압펌프, 6l, 5l
8
자동비행조종장치의 주요 구성품을 모두 기재하시오
자동조종컴퓨터(APM), 자세방위기준장치(AHRS), 자기감지기(MAS), 트림작동기, 전기-기계식작동기(SEMA), 비행조종패널(FCP), 자동비행조종보조장치(AFCAU), 자세방위기준장치및재형성장치(AHRS&RCU)
9
전방 쿼드런트에는 (1)을 감지하는 (2)개의 센서가 부착되어있자. 케이블 중에 어느 하나라도 끊어지거나 느슨해지면 (3)에서 이를 감지하여 (4)에 주의신호가 전달되어 (5)주의등이 점등된다.
케이블절단, 4, 케이블절단감지기, 주의경고패널(CWP), T/R CABLE
10
유압장치 구성품 중 트랜스퍼 모듈 조립체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가. 구성: (1),(2) 나.기능:유압유를 (3) 및 (4), 여과하고 유압유의 압력 및 온도,(5)
몸체부분, 저장조부분, 저장, 분배, 저수준감지
11
FADEC 시스텀의 특징 및 기능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가. 특징: (1) 로 이루어져있으며 (2),(3) 나. 기능: (4),(5) 및 압축기 가변기하 조절
두개의채널또는A,B채널, 중요기능이중화, 1개채널고장시다른채널이용, 엔진작동시통합제어, 연료량
12
콜드섹션 모듈의 기능 및 구성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가.기능 :(1), 오일 저장,(2) 나.구성:노즈콘,(3),(4),(5),스크롤 케이스
흡입공기유도및정화, 기어박스장착점제공, 스월프레임, 전방프레임, 메인프레임
13
핫섹션모듈의 기능 및 구성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가. 기능:(1),(2) 나. 구성:(3),(4),(5),가스터빈스테이터
혼합가스연소, 가스터빈구동, 연소라이너, 1단계노즐, 1단계및2단계가스터빈로터
14
동력터빈섹션모듈의 기능 및 구성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가. 기능: (1) 나. 구성 :(2),(3),(4),(5),배기프레임,C-섬프하우징
항공기동력제공, 동력터빈카울, 동력터빈케이스, 동력터빈로터조립체(3,4단계), 후방구동축
15
액세서리섹션모듈 기능 및 구성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가.기능: (1), (2) 및 (3) (4) 나.구성: (5), 후면기어케이스
엔진구성품구동, 오일, 연료, 내부통로제공, 전면기어케이스
16
엔진 오일필터 위치 및 기능 구성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가.위치:(1) 나. 기능/능력: (2), 3 micron 다. 구성: (3),(4),(5), 바이패스 밸브
액세서리기어모듈전면상부, 엔진오일여과, 필터하우징, 필터엘리먼트, 바이패스버튼
17
엔진 연료필터의 위치 및 기능 구성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가. 위치: (1) 나. 기능/능력: (2), 30micron 다. 구성: (3),(4), 필터 헤드, (5), 바이패스 스위치
액세서리기어모듈좌측상부, 엔진연료여과, 필터하우징, 필터엘리먼트, 바이패스버튼
18
보조동력장치의 기능 및 구성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가. 기능: (1)및 승무원실 난방공기 제공, (2) 나, 구성: 동려부조립체, 기어박스 조립체, (3),(4),(5), 감지기장치
엔진시동공기, 비상전원공급, 연료장치, 오일장치, 점화장치
19
ENG 연료공급절차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1)-(2)-(3)-연료조절장치-(4)-(5)-연료매니폴드 및 분사기
연료탱크, 연료승압펌프, 연료필터, 오일냉각기, 연료조절장치
20
ENG 오일계통 주요 구성품 명칭을 기술하시오.
전기식칩탐지기, 바이패스돌출버튼, 오일필터및바이패스밸브, 오일압력감지기, 저오일압력스위치, B-섬프오일인넷체크밸브
21
휠브레이크의 기능 및 주요구성에 대해서 기술하시오. 가. 기능: 휠브레이크 마찰력에 의란 제동력으로 (1) 나. 구성: (2),(3),(4),(5),(6)
항공기속도감속과정지및주기, 휠브레이크조립체, 축압기, 미터밸브, 유압변환기, 주기브레이크손잡이
22
주륜착륙장치의 기능과 구성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가. 기능: (1),(2) 나. 주요구성품: (3),(4),(5),휠,(6),(7)
지상에서항공기를지지, 착륙시발생하는하중흡수, 드래그빔조립체, 스핀들, 휠브레이크, 타이어, 이륙감지스위치
23
항공기 외부 구성품의 명칭을 기술하시오
착륙등, 마커비컨안테나, 전이부출입문, 탐색등, 화물인양고리, 하부충돌방지등
24
연료공급장치의 기능과 구성에 대해 기술하시오 가. 기능: (1) 나. 구성: (2),(3),(4),(5),(6),(7)(8)
좌우측엔진및보조동력장치로연료를공급, 승압펌프, 압력변환기, 압력스위치, 차단밸브, 열팽창완화밸브, 연료필터조립체, 호스및튜브
25
연료이송장치의 기능과 구성에 대해 기술하시오 가.기능: (1) 나.구성: (2),(3),(4),(5),(6),(7)
전후방연료탱크에서좌우측주연료탱크로연료이송,좌우측주연료탱크간연료이송, 이송펌프, 이젝터펌프, 체크밸브, 플래퍼밸브, 연료필터, 호스및튜브
26
교류전원장치 구성 위치 기능 서술하시오 가.구성:(1) 나.위치:(2) 다.기능(3)
2개의교류발전기,GCU,NO.1ACEMB,NO.2ACEMB,외부전원리셉터클, 상부데크와승객실후방우측, 115/200V AC 3상 400Hz 40KVA 교류전원을 항공전자장비에 공급
27
교류발전기 위치 및 기능 가.위치:(1) 나.기능:(2)
상부데크의 보기류기어박스, AGB의 회전력을 받아 115/200V AC, 3상, 400Hz, 40KVA의 교류를 발생하여 항공기에 공급
28
GCU 위치 및 기능,보호기능 가.위치:(1) 나.기능:(2) 다.보호기능:(3)
승객실 상부, 교류발전기의 출력 파라미터 조절 및 유지, 적절한 출력전압,주파수,전류 등 제어, 파라미터가 일정 기준범위를 벗어날 경우 발전기와 부하 버스와의 연결 차단, 과전압보호,저전압보호,고주파수보호,저주파수보호,상태감지보호
29
AC EMB 위치 및 기능 가.위치:(1) 나.기능:(2)
후방동체좌우측, 교류발전기,APU,GPU에서 발생된 115V 교류 전원을 공급받아 항공기로 분배, 고장 발생 시 정상동작하는 다른 발전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제어, 내부 전력선 또는 버스바에 단락이 발생할 경우 회로를 보호
30
배터리 특징 및 기능 1.특징 : (1) 2.기능: (2)
용량 43AH, 정격전압24V DC, 니켈카드뮴축전지, 엔진 시동 전 제한된 시간동안 전기장치에 필요한 전원 공급, APU 시동모터 기동 및 비상 시 필수 장비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
31
변환정류기(TRU) 위치 및 기능 가.위치:(1) 나.기능:(2) 다.고장 발생시 (3)에서 고장을 감지하여 (4)의 (5) 토는 (6) 주의등이 점등
후방동체 좌우측, 115V AC,400Hz의 전원을 공급받아 28V DC ,350Amp전원으로 변환, DC EMB, CWP, 1TRU, 2TRU
32
DC EMB 기능 및 이상 발생 시
TRU, 배터리의 직류 전원을 공급받아 각 직류 전원버스로로 분배, 1개의 TRU 고장 발생시 정상동작하는 TRU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제어, 내부 전력선 또는 버스바 단락 발생 시 회로 보호
33
배터리 충전기는 (1)에 위치하며 (2)의 (3) 하는 장치이다. 충전방식은 (4) 이며 (5)방식으로 제어된다.
배터리실내, 43AH 니켈카드뮴 배터리, 충전을 제어, 정전류 충전방식, 펄스 폭 변조
34
위치등은 3개의 (1)으로 되어있으며 항공기의 (2)와(3) 에 위치하고 있다. 위치등은 (4),(5)한다
적색등,녹색등,백색등, 착륙장치 지지대 좌우측, 테일 파일런, 주야간운용시 항공기 위치식별, 승무원에게 방향성 제공
35
편대등은 (1)로 되어있으며 (2)에 위치하고 있다. 편대등은 (3) 하기 위해 사용된다.
6개의 녹색등, 상부데크 좌우측,착륙장치지지대 좌우측, 후방동체, 야간운용시 항공기 편대비행중 편대간의 방향 상실 방지
36
충돌방지등은 (1)개이며 (2)로 되어있으며 (3)와 (4)에 위치하고 (5) 하기위해 사용된다.
2, 적색LED전구와 적외선 전구를 하나의 Unit에 부착한 이중구조, 중앙동체 하부, 후방 파일런 상부, 항공기운용시 항공기의 충돌을 방지
37
착륙등은 (1)에 위치하고 있으며 (2) 사용된다. 착륙등의 "LDG LT" 스위치를 누르면 착륙등이 점등되며 (3)으로 펼쳐진다.
전방동체 좌측 하부, 착륙 시 착륙지점에 대한 식별능력을 높이기 위해, 69±5° 전방
38
탐색등은 (1)에 위치하고 (2)하기 위하여 (3) 운영이 가능하며 (4) 및 (5)으로 조종가 ON/OFF 작동 및 펼침/닫힘/좌/우 조절이 가능하다.
항공기 전방 우측, 헬기의 야간 및 시야확보가 불가능한 상황에서의 탐색 /구조 작전 명령을 수행, 이중모드(NORM/IR), 인입식, 360°회전식
39
(1)은 (2)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승객실 및 후방 장비실 천장 에 위치하여 (3)한다.
병력화물실등, 5개의 녹색 LED등, 승객실과 후방 장비실에 임무에 적합한 조명 제공
40
(1)은 (2)로 구성되며 중앙동체 하부에 위치하고 있다. (1)은 야간화물 인양시 (3)한다.
인양고리등, 2개의 백색 LED등, 인양고리제어펜던트에 조명 제공
41
(1)동은 (2)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상부콘솔스위짖패널 좌우측에 위치하고 있다. (1)은 (3)한다.
다용도등, 2개의 휴대용등, 내부조명 고장 시 조종실내에 조명제공
42
(1)은 (2)으로 되어있으며 상부콘솔컨트롤패널 후방에 위치하고 있으며 (3)한다.
일반 조종실등, 야시장비(NVD) 호환등, 야간운용시 계기패널과 하부콘솔 조절 패널 쪽에 조명을 제공
43
동력계통 CWP 시현 (1): 오일분배기압력이 6psi 이하 (2): 주오일펌프압력이 50psi 미만 (3): 비상오일펌프압력이 29psi 이하/주오일펌프가 50psi 이상 또는 비상오일펌프 압력이 15psi 이하/주오일펌프압력이 50psi 미만 (4): MGB 오일온도 128°C 이상 (5): IGB오일온도 110°C 이상 또는 -15°C 이하 (6): TGB오일온도 94°C 이상 또는 -25°C 이하 (7): 철분탐지기에 철분 탐지 시 (번-오프 2회 이후) (8): 로터제동장치 작동 시
MGB TOT P, MGN MAIN P, MGB EM P, MGB TEMP, IGB TEMP, TGB TEMP, CHIP DETECT, RTR BRK ON
44
로터제빙계통 CWP시현 (1) : 대기중의 0g/m³ 이상의 결빙을 감지할 경우 점등 (2) : 메인로터 히터매트 5개의 구역중 2개 이상 결함 시 점등 (3) : 메인로터 히터매트 5개의 구역중 1개 결함 시 점등 (4): 테일로터 히터매트 결함 시 점등
ICE DETECD, MR DIC FAIL, MR DIC FAULT, TR DIC FAIL
45
동력계통 CWP 시현 MGB TOT P: (1) MGB MAIN P: (2) MGB EM P: (3) MGB TEMP: (4) IGB TEMP: (5) TGB TEMP:(6) CHIP DETECT: (7) RTR BRK ON : (8)
MGB 윤활오일 압력 6psi 이하, MGB 주오일압력 50psi 미만, 주오일압력 50psi 이상&비상오일압력 29psi 이하 또는 주오일압력 50psi 미만&비상오일압력 14.5psi 이하, MGB 오일온도128도 이상, 오일온도 110도 이상 또는 -15도 이하, 오일온도 94도 이상 또는 -25도 이하, 철분탐지기에 철분 탐지 시 (번오프 2회 이후), 로터 제동장치 작동 시
46
로터제빙계통 CWP 시현 ICE DETECD: (1) MR DIC FAIL :(2) MR DIC FAULT: (3) TR DIC FAIL: (4)
대기중의 0g/m³ 이상의 결빙을 감지할 경우 점등, 메인로터 히터매트 5개의 구역중 2개 이상 결함 시 점등, 메인로터 히터매트 5개의 구역중 1개 결함 시 점등, 테일로터 히터매트 결함 시 점등
47
로터제동장치 가.(1) : 엔진 정지 후 높은 회전상태의 로터를 빠르게 정지시키기 위해 사용 작동압력 232~261psi 나.(2) 엔진 시동시 로터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 작동압력 2176~2393psi 다.(3) : 주기 시 강풍(최대 45knot)에 의한 로터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 작동압력 580~2393psi
동적제동, 정적제동, 주기제동
48
로터제동장치 동적제동:(1),(2) 정적제동:(3),(4) 주기제동:(5),(6)
엔진 정지시 높은 회전 상태의 로터를 빠르게 정지시키기 위해 사용, 작동압력 232~261psi, 엔진 시동시 로터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 작동압력 2176~2393psi, 주기시 강풍에 의한 로터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 작동압력580~2393psi
49
로터제동 목적 동적제동:(1) 정적제동(2)
시동 정지 후 무동력 상태에서 로터 회전을 보다 신속하게 정지시키기위해 사용, 엔진 시동시 IDLE까지 진행되는 동안 메인로터와 테일로터를 정지시키기 위해 사용
50
기어박스 오일공급절차 가.정상: (1) 나.비상: (2)
섬프-주오일펌프-오일냉각기-정상체크밸브-오일여과기-덕트-오일분배기-기어및베어링-섬프, 섬프-비상오일펌프-정상오일압력(50psi이하/섬프 오일량8L 이하)-비상체크밸브-덕트-오일분배기-기어및베어링-섬프
51
RTB 조절방법 및 조절 한계 (1) (2) (3) (4)
슬리브 중량 조절 최대 1.5kg, 피치조절로드 길이 조절 ±60노치, 조정값 합산 ±45노치, 메인로터 탭(7,8번) 조절 최대 ±7°, 테일로터 중량조절 와셔 최대 184g
52
HUMS 기능 및 구성품, 위치 가.기능 나.구성
항공기의 상태와 운용 정보를 감시 획득 처리 및 저장, 감지데이터 획득/처리장치 (DAPU),감지데이터 시현장치 (PIP),감지데이터 저장장치 (CQAR), 트랙커(PBT) 및 센서, 데이터 전송매체 (DTD)
53
HUMS 감시 주요항목 1 2 3 4
엔진 및 동력전달계통, 로터 및 기체 진동상태, 항공기 비행이력, 엔진 및 항공기 작동이력, 엔진, 각 기어박스, 로터, 유압장치의 초과사항 및 칩 발생, RTB, 동력전달계통 주요구성품의 주의조건 발생
54
DAPU 위치, 구성 및 기능 가.위치(1) 나.구성(2) 다.기능(3) 기능 상세(4)
전이부 좌측 장비격실, EDPU,APU,VAU, 데이터 획득/처리 후 CQAR로 전송, 데이터 수집 및 샘플링/데이터 압축 및 저장관리/진동 및 트랙커 데이터 자동 또는 수동으로 수집/RTB, 동력전달계통 주요 부품의 진동 주의조건 감지/엔진 및 동력전달계통 주요 구성품의 초과사항 감지
55
PIP 위치 및 기능 가. 위치 (1) 나. 기능(2)
조종실 내부계기패널 좌측 하단, DAPU로부터 획득/처리된 데이터 시현 및 사용자 조작에 따른 DAPU 제어
56
CQAR 위치 및 기능 가.위치 (1) 나.기능(2)
승무원석 우측 패널, DAPU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
57
트랙커는 (1)으로 (2)에 장착되며 (3)
광학센서타입, 기수부, 로터 궤적 측정
58
속도계는 (1)가 (2) 및 (3)에 각 (4)개씩 장착되어있으며 (5)한다.
마그네틱 속도계 센서, 고정 스와시 플레이트, TGB출력축, 1개, 메인로터 및 테일로터 회전주기 감시
59
가속도계 센서 구성, 기능 및 위치 (1) (2) (3)
고온 가속도계 센서(2)/엔진 진동 측정/NO.1,2 엔진 (각 1개), RTB 가속도계 센서(5)/기체,로터 진동 측정/중앙 동체부 상단 (3), 수직안정판조립체 (2), 고주파가속도계 센서(17)/동력전달계통 진동측정/MGB(8),오일냉각팬(1),테일로터구동축(6),IGB(1),TGB(1)
60
로터 시스템의 (1) 붙균형에 의해 KUH-1 헬기의 4개 블레이드로부터 발생되는 진동 성분중 로터 100% 기준 회전 시 메인로터의 (2) 주파수를 메인로터 (3) 이라하며, 1/REV 진동 크기를 (4) 이하로 감소시키고 트랙을 지상, Hover (5) ,비행 시 (6) 이하로 감소 시키는 행위를 (7)라 한다.
정적,동적, 4.53Hz, 1/REV, 0.2 ips, 16mm, 32mm, RTB
61
로터제빙계통 구성품중 제빙제어패널 스위치의 명칭 및 기능을 기술하시오. 가. 전원스위치 ON에 위치하면 약(1) "TEST"등이 점등되고 전원인가에 따른 (2) 동안 수행된 후"TEST"등이 소등되고 (3)등이 점등 나. (4) 버튼은 블레이드가 정상적으로 회전하는 동안 지상에서 (5) 하고 모드 선택에 따라 1 사이클 동안 제빙한다. (4)버튼은 외기온도(6) 까지 사용할 수 있으며 4°C 이상에서는 작동되지 않는다. 이 버튼은 제빙하는 동안 점등상태로 있다가 종료 시 소등
4초후, 자체진단시험이 약 15초, POWER, GROUND, 이륙감지(WOW)스위치 일시적으로 무효화, 4°C 이하에서 최대 3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