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24시간 소변 검사를 위해 월요일 오전 7시부터 화요일 오전 7시까지 24시간 소변을 모을 때 월요일 오전 7시에 배뇨한 환자의 소변에 대해 옳은 것은?
소변을 버려야 한다
2
잔뇨량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소변을 본 즉시 단순도뇨로 시행한다
3
고열 환자의 오한기와 관련 있는 설명은?
오한(떨림), 혈관 수축이 생기는 시기
4
발목에 염좌가 있는 환자에게 냉요법을 적용하는 이유는?
혈관 수축을 촉진하여 부종 방지
5
이불을 너무 단단히 잡아당긴 채 침요 밑으로 다리를 넣었을 때 일어날 수 있는 장애는?
족저굴곡
6
단순도뇨 하는 이유로 옳은 것은?
무균적 소변 채취
7
반좌위를 취할 때 올바른 것은?
요추 만곡 부분에 베개를 넣어준다.
8
손가락을 편 상태에서 손가락을 넓게 펼쳤을 때 통증이 느껴졌다. 이 때 사용한 손가락 마디의 관절가동범위로 올바른 것은?
외전
9
장기간 부동 대상자의 신체에서 발생할 수 있는 현상으로 옳은 것은?
정맥울혈 증가
10
다음 설명에 관해 옳은 것은?
핍뇨 : 24시간 소변량이 400~500ml 이하
11
등척성 운동의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대퇴 사두근, 둔근 강화
12
다음 중 완전 비경구 영양(TPN)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너무 빠르게 투여될 경우 탈수가 발생할 수 있다
13
수영,달리기,팔굽혀펴기,아령들기,유산소운동은 어떤 종류의 운동에 속하는가?
등장성 운동
14
침상 안정 중인 와상 환자에게 근력을 유지하기 위해 시켜줄 수 있는 운동방법은?
등척성 운동
15
침상에 누워있는 환자의 고관절에 대전자 두루마리를 적용하는 이유는 무엇을 방지하기 위함인가?
외회전
16
의치를 사용하는 환자의 간호교육 내용 중 옳은 것은?
세면대에 수건을 깔아 놓는다
17
좌측 편마비 환자를 침대에서 휠체어로 이동시키기 위한 간호중재로 옳은 것은?
간호사는 환자의 무릎을 지지하면서 환자를 바닥에 세운다
18
목발 사용 환자에 대한 간호중재로 옳은 것은?
상지 강화운동을 교육한다
19
목발의 체중을 어디에 실어야 하는가?
손과 팔
20
검체물을 수집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대변 : 멸균한 용기에 담는다
21
두개내압 상승을 예방하기 위해 환자의 침상머리를 45도로 올렸다. 이 환자에게 적용한 체위는?
파울러자세
22
온요법의 생리적 효과에 해당하는 것은?
호흡수증가
23
굴곡,신전,과신전,외전,내전,내회전,외회전 및 휘돌림이 가능한 관절은?
어깨
24
4주 이상 절대 안정을 취하고 있는 대상자에게 나타날 수 있는 문제는?
신결석
25
지팡이 사용에 대한 교육으로 옳은 것은?
지팡이는 건강한 다리 쪽 손으로 잡게 한다
26
경장영양 중인 환자가 장 경련을 호소할 때 가장 우선해야 할 간호중재는?
영양액의 온도를 확인한다
27
다음 중 수술 시 저체온의 원인이 될 수 있는 것은?
마취제
28
다음 중 환자의 외회전을 방지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도구는?
대전자 두루마리
29
장기간 복위를 유지할 경우 발생 가능한 문제는?
발의 족저굴곡
30
의사는 회진 후 환자에게 목발을 보조기구로 사용하여 보행할 것을 권하였다. 간호사는 환자가 목발을 사용하여 보행하는 법을 교육중이다. 다음의 설명 중 옳은 것은?
3점 목발 보행은 한 발에 전 체중을 싣는 보행이다
31
부동이 신체에 미치는 영향으로 옳은 것은?
기초대사율 감소
32
다음 중 온요법을 적용할 수 있는 범위로 옳은 것은?
말초 정맥 침윤
33
장기간 측위를 취하는 환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문제는?
척추의 비틀림
34
발열의 단계별 증상•징후가 올바르게 조합된 것은?
발열기- 춥거나 덥게 느끼지 않음
35
섭취량과 배설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수혈량은 섭취량에 포함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