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스켐프 -() : 이유? 방법? -(): 이유? 방법?
도구적이해 xo 관계적이해 oo
2
디에네스 -개념학습단계 ()()()()()() -개념학습원리 ()()()()
1. 자유놀이 단계, 2. 게임단계, 3. 공통점탐색 단계, 4. 표현단계, 5. 상징화 단계, 6. 형식화 단계, 수학적 다양성의 원리, 지각적 다양성의 원리, 구성의 원리, 역동성의 원리
3
디에네스 -개념학습단계 특징 1. 자유롭게 가지고 놈 2. ()가 있다는 것을 파악함 3. 수학적 개념을 ()활동 4. 개념을 다양하게 표현 5. 스스로 표현한 방법을 ()과 결부 6.
규칙성, 추상화, 수학적기호
4
디에네스 -개념학습 원리 특징 1. 수학적 다양성의 원리 :()을 고정, ()을 변화 2. 지각적 다양성의 원리 : ()을 활용 3. 구성의 원리 : ()이 ()에 선행 4. 역동성의 원리: ()이 필요
결정적 속성, 비결정적 속성, 다양한 구체물, 구성, 분석, 다양한 활동
5
브루너 -eis이론 ()()()
활동적 표상, 영상적 표상, 기호적 표상
6
피아제 -적응을 위한 변화 1. 동화 : 새로운 지식을 ()로 이해하려고 하는 것 2. 조절 : 새로운 지식을 ()나 ()하여 이해하려고 하는 것
머릿속에 이미 존재하는 스키마, 기존의 스키마 변형, 새로운 스키마 만들
7
피아제 - 문제답안 작성법 학생은 기존의 자연수 ()로 분수()을 ()했다.
스키마, 스키마, 동화
8
피아제 -스키마가 안정적인 상태를 이르는 것은?() 반대는?()
평형화, 비평형화*
9
피아제 -인지발달단계 3. 구체적 조작기에는 ()원리를 터득하여 ()개념을 휙득한다. 그 종류로는 ()()()가 있다. 특히 넓이는 ()와는 관계없이 넓이는 불변이다. 라는 것인데, 모양은 변하더라도 넓이는 변하지 않는다는 ()에 기본지식이다.
가역성, 보존, 수 길이 넓이, 이동 분해 변형, 등적
10
피아제 -추상화의 유형 1.() : 물리적 속성이 대한 지식 2.() : 논리 -수학적 지식 by () 3.() : 논리-수학적지식/ 차이점은 ()가 필요
경험적 추상화, 반영적 추상화, 조작행동을 추상화*, 의사 경험적 추상화, 구체적 대상
11
반힐레 -기하사고 수준 1. () : 직관적 사고 2. () : 귀납적 사고 3. () : 연역적 사고 4. () 5. ()
시각적 인식 수준, 분석적 수준, 비형식적 ‘연역’ 수준, 형식적 ‘연역’ 수준, 엄밀한 수준
12
반힐레 -제 2수준 분석적 수준 특징 1. 관찰, 실험과 같은 ()을 통해 도형의 ()을 분석할 수 있는 수준이다. 2. 구성요소나 성질을 사용하여 도형을 ()할 수 있다. 3. 도형의 개별성질을 알 수 있고, 포함관계나 성질사이의 관계도 알 수 있다?
구체적인 조작활동*, 개별적인 구성요소나 성질*, 도형을 분류, x, only 개별적인 성질만 알 수 있음
13
반힐레 - 제 3수준 비형식적 연역수준 특징 1. 도형사이의 ()을 이해한다 2. 성질을 이용하여 도형을 ()할 수있다 3. ()를 이용하여 도형의 특정한 성질 ()할 수 있다. =비형식적 연역
포함관계, 정의, 이미 알고 있는 다른 도형의 성질, 증명
14
반 힐레 -사고대상, 사고 수단 1. ()() 2. ()() 3. ()() 4. 명제 논리 5. 논리 추상화
주변사물 도형, 도형 성질, 성질 명제
15
반힐레 -기하학습단계와 지도방법 1. 질의안내 2. () : 단일단계과제 3. () : 수학적 용어 4. () : 복잡한 과제 5. 통합
안내된 탐구, 발전/명료화, 자유탐구
16
프로이텐탈 -()이란, 현상을 수단인 본질에 의해서 조직하는 것 -기성수학을 비판하고 ()을 강조 -수학과 3단계 1 () 현 수 2 () 수 수 3 () 수 현
수학화, 실행수학, 수평적 수학화, 수직적 수학화, 응용적 수학화
17
프로이덴탈 -수학화 교수학습의 원리 () : 사고실험 () : 현상 본질 본질 현상 ()와 결부된 수학
안내된 ‘재발명’*, 반성적 사고, 현실
18
프로이덴탈 -국소적 조직화 단계에서 해야할 활동 (=반힐레의 2분석적 수준) 1. () 2. ()
정의하기, 증명하기
19
베르트하이머 -()학습 -(): 전체에 대한 부부의 구조적 기능을 파악하고 - 부분을 재조직화 - 구조의 개선적 변화 -() : 갑자기 문제의 해결책이 떠오른 것(=아하경험)
유의미한 생산적 사고 통찰을 통한 문제해결*
20
폴리아 이론 -문제해결4단계 1. () 2. () 3. () 4. () -각 단계별 발문 1. () 2. () 3. 4. ()
문제의 이해, 해결계획의 수립, 해결계획의 실행, 반성, 주구조, 전경왜, 토해성
21
폴리아 -특수한 문제해결전략 () () () () () () () () () ()
그림그리기, 단순화하기, 거꾸로 풀기, 예상과 확인*, 식 만들기, 실제로해보기, 목록만들기, 표만들기, 논리적추론*, 규칙찾기*
22
폴리아 -4. 문제만들기 를 위한 전략 ()()
수용, 도전*
23
수학적 모델링? 현실세계 -> 수학적 표현으로 바꾸는 것. 결론 및 예측 단계에서는 ()+()
수학적 해, 재해석
24
오슈벨 -유의미수용학습이론 (1)의 원리 : 상 - 하 (2)의 원리: 계통성 선행조직자의 원리 () -1 : 이미 배운 개념 () -2 : 동위개념
점진적 분화, 통합적 조정, 설명조직자, 비교조직자
25
교수학적 변환론 - 극단적 교수학적 현상 -() 보조수단 -() 논리적 표현 -() 답 알려주기 -() 어이구천재네
메타인지 이동, 형식적 고착, 토파즈식 외면치레, 조르단식 외면치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