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운동 중 근육에서 증가된 산소 요구량을 맞추기 위한 혈류 조절
심박출량 증가, 비활동성 기관으로부터 활동근으로의 혈류 재분배
2
심박출량 공식
1회 박출량 x 심박수
3
평균동맥혈압 공식(의미와 식으로 구분)
의미: 심박출량 x 총말초저항, 식: 이완기혈압 + 맥압 x 1/3
4
총말초저항 결정 요인
소동맥 확장, 모세혈관 동원
5
P파
심방 탈분극
6
QRS파
심실 탈분극
7
T파
심실 재분극
8
프랭크 스탈링 법칙
심실 이완기말 혈액량의 증가에 의한 심실수축력 증가
9
정맥혈 회귀 조절 요인
정맥수축, 호흡펌프, 근육펌프
10
운동 중 심박출량의 변화
VO2 max 약 40~50% 지점에서 1회 박출량 고원, VO2 max 40~50% 이상 강도에서부터 심박수 증가에 의한 심박출량 증가
11
심근 산소소비량 공식
심박수 x 수축기 혈압
12
분당 환기량 공식
1회 호흡량 x 분당 호흡수
13
피크의 확산 법칙
암기
14
보어효과
혈중 pH 감소 —> 해리곡선의 우측이동
15
화학수용기
중추 화학수용기, 말초 화학수용기
16
점증부하 운동 중 호흡조절
1차 기전: 혈중 pH감소, 젖산 증가 환기량의 비직선적 증가 혈중 젖산 농도 증가와 환기역치 발생, 2차 기전: 혈중 칼륨증가 체온 상승 혈중 카테콜라민 상승 구심성 신경자극 증가
17
근육 내 수소이온 증가의 영향
유산소성, 무산소성 ATP 생산에 관여하는 효소기능을 억제하여 근육세포 ATP 생산능력 감소, 칼슘과 트로포닌 결합 방해로 근수축 제한
18
산-염기 평형 조절 방어선
일차 방어선: 근세포 내: 중탄산염, 인산염, 단백질, 이차 방어선: 혈액: 중탄산염, 헤모글로빈, 단백질 호흡보상
19
미토콘드리아 크기 수 증가에 따른 운동초기 산소결핍 감소
크레아틴 고갈 감소(저장량 증가), 젖산 감소
20
생화학적 적응에 의한 혈장 포도당 농도 유지(탄수화물 절약)
모세혈관 밀도 증가(유리지방산 동원능력 증가), 카르니틴 효소 증가(유리지방산 운반), 베타산화 효소 증가(지방산화 효소)
21
지구성 트레이닝에 의한 최대하 운동 중 적응
근육의 글리코겐 사용 감소
22
지구성 트레이닝에 의한 최대운동 적응
젖산 축적 증가, 활동근 1kg당 공급되는 혈류량 무변
23
봄파(Bompa)의 근력증가 요인
1차: 신경적응, 2차: 근비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