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토양 3상의 종류는 무기물과 유기물로 구성된 ( ), 액체로 채워진 ( ), 액체로 채워지지 않은 ( ) 로 이루어져 있다
고상, 액상, 기상
2
일정량의 토양이나 교질물이 양이온을 흡착 혹은 교환할 수 있는 능력을 무엇이라 하는가?
양이온치환용량
3
토양의 성질에서 토양입자를 크기별로 나누면 2.0~0.05mm 사이를 ( ), 2.0mm 이상을 ( ), 0.05~0.002mm 사이를 ( ), 0.002이하를 ( ) 라고 한다
모래, 자갈, 미사, 점토
4
식물의 생육에서 토양구조는 입단구조가 유리하다
O
5
토양관리시 토양의 pH는 어느정도가 적합한가?
약산성~중성
6
입단구조를 형성하는 올바른 방법들은? (4개)
유기물, 석회 시용, 콩과작물 재배, 토양개량제 사용, 토양비폭
7
토양에 유기물을 공급하는 방법 3가지를 고르시오
퇴비, 녹비작물 재배, 구비
8
외부로부터 어떤 물질이 토양이나 pH, 물 등의 자연생태계에 가해졌을 때 이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능력은 무엇인가?
완충능
9
논이나 밭에 도랑을 쳐서 하는 배수를 말하며 지표면에 도랑을 파서 만든 수로를 < >이라 하여 이것에 의한 배수를 무엇이라 하는가?
명거배수
10
비료의 3요소는?
N, P, K
11
식물의 원소중 N이 결핍되었을 때 나타나는 증상은? (2개)
오래된 잎에서 황백화, 작물 생장, 개화, 결실이 느려짐
12
식물의 원소중 K가 결핍되었을 때 나타나는 증상은? (2개)
생장점이 말라 죽는다, 아랫잎이 떨어진다
13
식물의 원소중 P가 결핍되었을 때 나타나는 증상은? (2개)
뿌리 발육이 나빠진다, 잎이 암녹색으로 변한다
14
식물의 원소중 Ca가 결핍되었을 때 나타나는 증상은? (2개)
뿌리나 눈, 생장점이 붉게 변하여 죽는다, 토양 중에 석회가 과다하면 Mg, Fe, Zn, Co, B의 흡수 억제
15
식물의 원소중 Mg가 결핍되었을 때 나타나는 증상은? (2개)
줄기나 뿌리의 생장점 발육이 나빠짐, 노엽부터 황백화 현상이 나타남
16
식물의 원소중 Fe가 결핍되었을 때 나타나는 증상은? (2개)
어린잎부터 황백화가 일어난다, 황백화하여 엽맥 사이가 퇴색된다
17
식물의 원소중 B가 결핍되었을 때 나타나는 증상은? (3개)
분열조직이 괴사하고 수정 결실이 나빠진다, 꽃 양배추는 갈색병에 걸린다, 담배는 끝마름병에 걸린다
18
식물체내 이동이 쉬운 원소는? (4개)
N, P, K, Mg
19
식물체내 이동이 어려운 원소는? (6개)
Ca, Fe, Cu, S, B, Mn
20
작물 생육에 적합한 PH는?
6.5~7.0
21
산성토양에 강한 작물은? (3개)
수박, 호밀, 감자
22
산성토양에 약한 작물은? (3개)
시금치, 양파, 콩
23
토양의 PH에 따른 양분의 유효도에서 양분의 유효도가 가장 높은 수치는?
6.5~7.0
24
간척지 토양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염분농도, 나트륨 함량, 산도는 높고 칼슘함량은 매우낮다
25
간척지 토양의 개량법에 대해 옳은 것은?
관/배수시설을 하여 염분과 황산을 제거하고 이상적 환원상태의 발달을 방지한다. , 석회를 시용하여 산성을 중화하고, 염분이 쉽게 용탈되도록 한다., 석고(CaSO4) . 토양개량제 등을 시용하여 토양 물리성을 개량한다., 염생식물을 심어 염분을 흡수하게 한 다음 제거한다.
26
간척지 토양의 염분제거 방법으로 올바르게 설명된 것은? (3개)
담수법: 물을 10여 일 간씩 대어 염분을 녹여서 배수하는 조처를 반복하는 방법, 명거법: 5~10m 간격으로 도랑을 내서 염분이 도랑으로 씻겨 내리도록 하는 방법, 여과법: 땅속에 암거를 설치하여 염분을 걸러냄과 아울러 토양통기도 촉진하는 방법
27
토양포화침출액의 전기전도도(Ece)가 4dS/m 이하 교환성 나트륨퍼센트 (ESP)가 15% 이상 나트륨흡착비(SAR)가 13 이상인 토양을 무엇이라 하는가?
나트륨성 토양
28
충분한 양의 CaCO 3을 가지고 있어 묽은 염산을 가하면 거품반응을 일으키는 토양을 말한다. 반건조지역에서 흔히 나타나는데 PH가 7.0~8.3 사이로 비교적 PH가 높고, 토양의 구조와 비옥도가 양호하여 관개와 배수만 잘 하면 농경지로 적합한 토양이 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석회질 토양
29
PH 7보다 낮은 토양은 무엇인가?
산성토양
30
용액내 존재하는 양이온과 음이온에 대해서 전기가 통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단위는?
전기전도도
31
염류농도가 높은 토양에서 많이 발생하는 병해는? (2개)
토마토 뿌리썩음병, 오이 덩굴쪼김병
32
다음 사진에 나온 배나무 잎에 나타난 병해는?
배 붉은병무늬병
33
토양의 EC가 높은 경우 비료성분의 함유량이 어느정도라고 유추할 수 있는가?
비료성분이 많다
34
강우가 적고 증발량이 많은 건조/반건조 지대에서 토양 상층에서 하층으로의 세탈작용이 적고, 증발에 의한 염류의 상승량이 많아 표층에 염류가 집적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염류집적
35
염류집적토양의 대책들을 고르시오 (5개)
객토, 심경, 유기물 시용, 담수처리, 흡비작물 재배
36
습답 개량법에 알맞은 것들을 고르시오 (4개)
암거배수로 투수성을 좋게 하고 유해물질을 제거한다, 객토로 철분 등을 공급한다, 석회 · 규산석회 등으로 산성 중화, 부족성분을 보급한다, 이랑재배 , 질소 시용량을 줄인다
37
토양미생물이 작물에 주는 유익한 효과들을 고르시오 (5개)
유기물 분해, 유리질소 고정, 질산화작용, 입단형성, 길항작용
38
토양미생물이 주는 작물에게 유해한 활동을 고르시오 (4개)
병 발생, 탈질작용, 작물과 미생물 간 양분경쟁, 해로운 토양동물
39
탄질률(C/N)이 높은 유기물을 토양에 주면 미생물과 작물 사이에 질소의 경쟁이 유발되어 일시적으로 작물에 유효성질소가 부족하게 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질소기아현상
40
작물생육에 대한 수분의 역할을 고르시오 (4개)
식물체 구성물질의 성분이 된다, 원형질의 생활상태를 유지한다, 필요물질을 흡수할 때 용매가 된다, 필요물질의 합성/분해의 매개체가 된다
41
물은 둘중 어느 수분퍼텐셜으로 이동하는가
낮은 수분퍼텐셜
42
압력퍼텐셜과 삼투퍼텐셜이 같으면 세포의 수분퍼텐셜이 0이 되는데 이때 어떤 상태로 변하는가?
팽만
43
수분퍼텐셜이 높은 순서부터 배열하시오
토양, 식물체, 대기
44
외액의 농도가 세포액보다 높아질 때 세포액의 수분이 외액으로 스며나가 원형질이 수축되고 세포막에서 분리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원형질분리
45
뿌리 표면에 접해 있는 토양과 뿌리 내부의 물관부 사이에 ( )의 차이가 생겨나 수분흡수가 일어난다
수분퍼텐셜
46
낮 동안 뿌리의 수분흡수가 왕성하게 일어나고, 밤 증산작용이 억제되는 조건에서 밤낮의 기온차가 심한 경우 밤과 새벽에 식물 잎의 끝이나 톱니에 물방울이 맺히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일액현상
47
줄기를 절단하면 절구(切口)에서 수분이 솟아 나오는 현상으로 배출되는 액체에는 물과 탄수화물, 무기염류 등이 함유되어 있다. 고로쇠, 다래 등의 수액채취는 이것을 이용한 방법인데 무엇이라 하는가?
일비현상
48
수분은 대부분 ( ) 경로로 이동하는데 식물의 죽어있는 세포벽과 세포간극을 통하여 수분이 이동되는 경로를 말한다
아포플라스트
49
식물의 살아 있는 부분을 통한 물의 이동 경로로 세포들을 서로 연결하는 원형질연락사를 통해 이동을 하는 것을 무슨 경로라고 하는가?
심플라스트 경로
50
매트릭퍼텐셜을 측정하는 것으로, 측정결과를 이용하여 식물이 흡수 이용할 수 있는 유효수분의 함량을 평가할 수 있으며 관개시기와 관개수량을 결정하는 데 활용되는 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텐시오미터법
51
포장용수량 이상의 수분으로 중력에 의하여 비모관공극을 통해 흘러내리는 물을 무엇이라 하는가?
중력수
52
토양공극 내에서 표면장력 때문에 중력에 저항하여 유지되는 수분으로 모관현상에 의하여 자하수가 모관공극을 상승하여 공급되는 수분으로 작물이 주로 이용하는 수분이다.
모관수
53
점토광물에 결합되어 있는 수분으로 토양에서 분리시킬 수 없는 수분이며 작물이 흡수할 수 없는 수분은?
결합수
54
위조한 식물을 포화습도의 공기 중에 24시간 방치해도 회복되지 못하는 위조를 무엇이라 하는가?
영구위조
55
포장용수량 ~ 영구위조점(pF 2.5 ~4.2) 사이의 수분상태로 작물이 이용할 수 있는 수분상태를 무엇이라 하는가
유효수분
56
작물의 건물 1g을 생산하는 데 소비된 수분량(g)을 무엇이라 하는가?
요수량
57
작물이 건조에 견디는 성질을 말하며 (이것)이 강한 작물은 체내 수분의상실이 적고, 수분 흡수능이 크며, 체내 수분보유력이 크고, 수분함량이 낮은 상태에서도 생리기능이 높다.
내건성
58
내건성이 강한 작물의 형태적 특성을 고르시오 (3개)
뿌리가 깊고, 지상부보다 근군의 발달이 좋다, 잎조직이 치밀하며, 엽맥과 울타리조직이 발달하고 표피에는 각피가 잘 발달되어 있으며 기공이 작거나 적다, 지수능력이 크고 다육화 경향이 있다
59
수분을 절약하는 농법으로 비가 올 때마다 땅을 갈아서 빗물을 땅속 깊이 빗물을 저장하고 가뭄시에는 파종을 깊 이하고 토양을 잘 진압하여 지하수의 모관상승을 좋게 함으로써 한발적응성을 높이는 농법은 무엇인가?
드라이파밍
60
논에서의 담수관개 효과에 대해 고르시오 (4개)
생리적으로 필요한 수분 공급, 유해물질 제거, 잡초 억제, 병충해 경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