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사고의 기본단위는 도식(스키마)이고 동화와 조절을 수행하며 인지발달단계로 감각운동기, 전조작기, 구체적 조작기, 형식적 조작기를 제시한 학자는?
피아제
2
아동과의 학습의 상당부분은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보고 언어를 학습 및 발달에서 핵심역할로 보았으며 근접발달영역, 비계설정의 개념을 제시한 학자는?
비고츠키
3
전생애에 걸친 성격발달을 설명하며 각 단계에는 심리사회적 위기가 있으며 그 위기를 성공적으로 해결했을 때 성격발달이 제대로 이루어진다고 본 학자는?
에릭슨
4
정체성 지위를 정체성 혼돈, 폐쇄.유실, 유예, 성취로 구분한 학자는?
마샤
5
개인의 발달은 유전적 배경과 환경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보고 미시, 중간, 외, 거시, 시간체계를 제시한 학자는?
브론펜브레너
6
사회적 조망수용능력의 개념을 제시하여 자기중심적, 주관적, 자기반성적, 상호적, 사회적조망수용능력의 단계를 거친다고 주장한 학자는?
셀만
7
복종과 처벌, 개인적 쾌락주의, 착한 소년.소녀, 사회질서와 권위, 사회계약, 보편적 윤리원리지향의 단계적 개념을 제시한 학자는?
콜버그
8
남성중심의 윤리관의 대안으로 배려의 윤리를 주장하며 자기지향, 이기심에서 책임감으로, 자기희생으로서의 선, 선에서 진실로, 비폭력 도덕성의 단계를 제시한 학자는?
길리건
9
인간의 지능이 g요인과 s요인으로 구성된다고 주장한 학자는?
스피어만
10
기본정신능력(PMA)로 언어이해, 기억, 추리, 공간시각화, 수, 단어유창성, 지각속도요인의 7가지 집단요인을 제시한 학자는?
서스톤
11
지능구조모형을 제안하여 내용,조작,산출로 나누어 하위 요인을 제시한 학자는?
길포드
12
지능에는 유전 및 신경생리적 영향을 받는 유동적 지능과 환경 및 경험, 문화적 영향으로 발달하는 결정적 지능이 있다고 주장한 학자는?
카텔
13
일반요인이론과 카텔이 제시한 지적 능력의 하위 속성을 결합하여 C-H-C 모델을 제안한 학자는?
혼과 캐롤
14
지능의 조합은 사람마다 다르고 언어, 논리.수학, 공간, 신체운동, 음악, 대인간, 개인 내, 자연지능을 제시한 학자는?
가드너
15
지능의 삼원론을 주장하여 분석적, 창조적, 실제적 지능을 제시한 학자는?
스턴버그
16
영재는 평균보다 높은 능력, 창의성, 강한 과제집착력을 가진다고 본 학자는?
렌줄리
17
조작적 조건형성을 주장한 학자로 강화와 처벌을 제시항 학자는?
스키너
18
인지주의 학자로 강화와 관계없이 잠재학습이 일어날 수 있다고 하였고 목적적 행동주의를 주장하며 미로실험을 수행한 학자는?
톨만
19
인지주의 학자로 형태주의 입장으로 전체는 부분의 합 이상이라고 주장하며 침팬지 문제해결능력 실험을 진행한 학자는?
쾰러
20
귀인이론을 주장한 학자는?
와이너
21
현실주의 상담 이론의 학자는?
글레이서
22
어버이 자아(P), 어른 자아(A), 어린이 자아(C)로 구성되어 있다고 본 학자는?
번
23
사회학적 접근에 따른 비행발생이론에서 사회통제이론을 주장한 학자는?
허쉬
24
사회학적 접근에 따른 비행발생이론에서 거시적 접근에서 아노미 이론을 주장한 학자는?
머튼
25
사회학적 접근에 따른 비행발생이론에서 미시적 접근에 따라 중화이론을 주장한 학자는?
사이키와 마짜
26
사회학적 접근에 떠른 비행발생이론의 미시적 접근에서 차별접촉이론을 주장한 학자는?
서덜랜드
27
사회학적 접근에 따른 비행발생이론의 미시적 접근에서 낙인 이론을 주장한 학자는?
르마트와 베커
28
자아개념을 진로발달의 핵심요소로 보고 전생애적 발달이론을 주장한 학자는?
슈퍼
29
학습실패의 원인을 자신의 능력부족. 내적-안정적-통제불가능한 원인으로 돌릴 때 학습된 무기력이 발생한다고 주장한 학자는?
셀리그만
30
옛 조상들의 의식적 경험이 누적되어 전승되어 사회구성원들에게 체화되어 있는 의식인 집단무의식을 주장한 학자는?
융
31
자신의 인지 또는 사고애 관한 지식을 말하는 메타인지를 주장한 학자는?
플라벨
32
지능에서 다요인설을 주장한 학자는?
손다이크
33
지능에서 군집요인설을 제시해 7개의 기본정신능력을 주장한 학자는?
서스톤
34
지능구조모형을 제시해 내용*조작*결과 차원의 3차원적 접근을 하고 180개 복합요인설을 펼친 학자는?
길포드
35
일반지능은과 특수지능이 있고 일반지능은 유동지능과 결정지능으로 구성된다는 2형태설을 주장한 학자는?
카텔
36
삼원지능이론으로 성분적, 경험적, 맥락적 지능이 존재한다고 주장한 학자는?
스턴버그
37
인과적 귀인이론을 주장하여 학습의 성패에 대해 학생 자신이 어떻게 설명하는지에 주목하여 귀인 변인으로 통제의 소재차원, 안정성차원, 통제가능성차원으로 나누어 제시한 학자는?
바이너
38
자율성, 유능감을 발전시키고자 하능 동기이론으로 자기결정성 이론을 주장한 학자들은?
데시, 리안
39
보상을 받지 않아도 학습이 일어날 수 있다는 잠재적학습이론을 주장한 학자는?
톨만
40
학습은 자극-반응의 결합이 아니라 기호-형태-기대의 형성으로 수단과 목표와의 관계인 인지구조를 알고 인지지도를 형성하는 과정이라는 기호-형태설을 주장한 학자는?
톨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