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조선 총독부란
식민 통치 기구 로써 조선총독 파견
2
1910년대 무단 통치는 어떻게 시행 됬는가
헌병결찰제 시행
3
1910년대 경체 수탈 정책 종류
토지조사사업
4
1920년대 문화통치
보통경찰제
5
1920년대 경제 수탈 정책
산미 증식 계획
6
3.1 운동 이전 민족 운동 종류
독립 의군부, 대한 광복회
7
독립 의군부란
고종의 비밀 지시를 받고 조직 됨
8
대한 광복회
대구에서 채기조차, 박사인 중심으로 조직
9
국외 민족 운동
직접 써 보겠음
10
3.1 운동 (국외)배경
윌슨의 자결주의, 민족 독립 운동가의 독립선언서, 김규식의 파라강화 회의, 일본 도쿄 유학생- 유독립 선언
11
3.1 운동(국내) 배경
무단통치, 민족 지도사 33인, 종교제+학교, 고종독사설, 서울 대화관의 민족 독립 선언식
12
3.1 운동 영향
일제의 통치 방식의 변화, 중국의 5.4 운동 영향, 대한민국 정부 수렵의 계기
13
3.1 운동의 의의
일제 강점기 최대의 민족 운동
14
대한민국 임시 정부 구성
삼권 분립의 기초 최초의 민주 공화제
15
대한 민국 암시 정부 활동
연통제, 교통국
16
대한민국 임시정부 한계
연령제 교통국 발각
17
1920년대 무장 독립 투쟁의 종류
봉오동 전투, 청산리 대첩
18
봉오동 전투란
홍범도 장군이 이끄는 독립군이 전투에서 일본 격퇴
19
청산리 대첩
지형활용하여 김좌진이 이끄는 연합 부대가 청산리 일대에서 일본군 격퇴
20
독립군의 시련
간도참변
21
3부의 구성
참의부, 정의부, 신민부
22
의열 투쟁의 여러 조직
의열단, 한인 애국단
23
의열단 이란
김원봉을 주도로 조직 하며 중국 군관하고 입학 후 군사 훈련을 받음
24
한인 애국단 이란
김구가 조직 함으로써 이봉창 또는 윤봉길 등이 의거 활동을 함
25
실력 양성운동의 종류
물산장려 운동, 민립대학 설립 운동, 문맹 퇴치 운동
26
신간회의 결성 배경
자치 운동 전개, 치안 유지법 재정등
27
신간회의 결성 성격
비타협적 민족주의와 사회주의가 연합한 최초의 민족 협동 전선
28
신간회의 활동
순회강연 개최 , 광주학샹 항일 운동 지원
29
신간회의 결성 해소
일지의 탄압, 노선 갈등 심화
30
6.10 만세운동 배경
사회주의 세력의 성장 및 순종 서거
31
6.10 만세운동 영향
통일된 독립운동의 필요성을 깨닫고 이후 민족 유아랑 운동 전개 영향 전개에 영향
32
광주 학생 항일 운동 배경
한국인 여학생 희롱 사건이 계기로 헌 일 학생의 충돌
33
광주 학생 항일 운동 의의
3.1 운동이라 최대 규모의 민족 운동 , 이후 학생 운동에 영향
34
청년운동이란
조선 청년 총동맹이 결성 되어 농민 노동 운동 지원, 식민 교육 철폐 주장
35
소년 운동이란
천주교 소년회에서 방정환 등이 조직하여 어린이날 잡지 어린이를 발간 했다
36
형평 운동 이란
백정 자녀에 입학 거부 및 차별로 인해 차별로 인해 조직 사회적 차별 철폐 주장으로 전국으로 확산
37
여성운동이란
근우회 즉, 신간회 결성의 영향으로 민족 협동 단체 긱관지 근우 발간 순회강연 개최
38
조선 연구회
갸갸날 제정, 잡지 한글 간행
39
조선어 학회
조선어 연구회 계승, 한글 맞춤법 통일안과 표준어 제정, 우리말 큰 사전
40
민족주의 사학이란
독립을 위한 민족 정신, 민족혼 강조(신채호가 박은식등) 이후 1930년대에 정인보 문일평등으로 계승
41
사회주의 사학
한국사 세계사 보편적 발전을 위한 법칙에 따라 체계화(백남운)
42
실증주의 사학
객관적 고증을 통해 한국사를 체계적으로 연구(진단 학회)
43
민족 말살 정책의 배경
한국인을 침략 전쟁에서 동원 하기 위해여 내선일체, 일선 동조란 주장
44
민족 말살 정책 내용
황국 신민 서사 암송, 궁성요배, 신사 참배, 일본식 성명 요구, 소학교 명칭을 국민학교로 변경
45
인적 물적 수탈의 종류
전쟁동원, 물자수탈
46
전쟁동원이란
국가 총동원법 제정 및 국민 정신 총동원 운동 전개, 일본군 강제 동원
47
물자수탈 이란
공출, 위문 금품과 국방헌금 등 모집
48
조선 혁명군
중국 의용군과 함께 영릉가홍경성 전투에서 승리
49
한국 독립군 이란
중국 호로군과 함께 상성보 대전자령 전투에서 승리
50
중국 관내 투쟁
민족 혁명당, 조선 의용대, 한국 광복군
51
민족혁명당 이란
민족주의 사회주의 세력을 합친 중국 관내 최대 규모의 민족 통일 전선 정당
52
조선 의용대 란
조선 민족 전선 연맹이 중국 국민당 정부의 지원을 벋어 결성
53
한국 광복군
미대한민국임시 정부의 정규군
54
대한민국 임시정부
김구를 중심으로 단일 지도 체제, 대한민국 건국 강령 발표, 일대에 대일 선전 성명서 발표
55
조선 독립 독맹이란
한국인 사회주의자 중심으로 조선 의용대 화북 지대를 조선 의용군으로 개편하여 군사 조직으로 삼음
56
조선 건국 동맹
민족주의자와 사회주의자의 참여, 여운형 중심, 민주주의 원칙을 바탕을 둔 국가 건설등을 목표로 하는 강령 발표
57
재미 한족 연합 위원회이란
한인 국방 경위대 조직, 미국에 임시정부 승인 요청, 미국과 한반도 침투 작전인 내본 작전 계획
58
한국 독립 논의
카이로 화담, 포츠담 회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