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종묘제례악 보태평 中 <영신희문>
2
보태평 악작 악지
3
종묘제례악 보태평 中 <영신희문>
4
종묘제례악 보태평 中 ‘귀인’
5
정대업 중 ‘영관‘
6
문묘제례악
7
정동방곡
8
범패 화청
9
범패
10
진도 씻김굿 중 조왕반
11
홋소리 특사가지
12
짓소리 특사가지
13
홋소리 “할향”
14
여민락 4장
15
해령
16
여민락 영 속악원보
17
여민락 영 현재 정악보
18
삼현도드리
19
염불도드리
20
하현 도드리
21
타령
22
현악 영산회상 중 타령 가야금 정악 악보
23
현악 영산회상 중 타령 단소악보
24
삼현도드리
25
현악 영산회상 중 타령
26
염불도드리
27
현악 영산회상 중 세령산
28
현악 영산회상 중 상령산
29
하현도드리
30
타령
31
관악 영산회상 중 타령(피리보)
32
김용진-타령
33
영산회상 중 군악 피리보
34
현악 영산회상 중 타령 단소보
35
현악 영산회상 중 타령 가야금보
36
평조회상 중 ‘타령’
37
현악 영산회상 중 타령 거문고보
38
평조회상 중 ‘타령’
39
평조회상 중 ‘타령’
40
평조회상 중 상영산
41
관악영산 회상 중 상영산
42
천년만세
43
계면가락도드리
44
양청도드리
45
양청도드리
46
양청도드리
47
양청도드리
48
관현합주곡 도드리
49
양청 도드리
50
우조가락 도드리
51
다음 악곡의 제목으로 알맞은 것을 고르시오.
웃도드리(송구여)
52
다음 악곡은 웃도드리(송구여지곡)이다. (가), (나), (다)에 들어갈 알맞은 악기를 고르시오.
(가)양금, (나)가야금, (다)거문고
53
우조가락 도드리 (정간보)
54
계면가락 도드리(정간보)
55
양청 도드리(정간보)
56
보허자
57
보허자
58
양청 도드리
59
우조가락도드리
60
우조가락도드리
61
계면가락도드리
62
양청도드리
63
보허자
64
보허자
65
대취타
66
관현합주곡 도드리
67
웃도드리
68
대취타
69
대취타
70
취타
71
취타 임금님 행차(오선ver)
72
취타 中 ‘임금님 의 행차’
73
길군악
74
경풍년
75
악곡의 제목을 고르고, A,B에 들어갈 악기의 명칭이 바르게 묶인 것을 고르시오.
수룡음, A단소 B생황
76
수제천
77
수제천
78
길타령
79
수룡음-정간보
80
수룡음-오선보
81
청성곡 단소(오선보)
82
취타
83
청성곡 단소(정간보)
84
취타 소금악보
85
우조 초수대엽 ‘동창이’
86
우조 초수대엽 ‘동창이’
87
우조 초수대엽 ‘동창이’
88
계면조 초삭대엽
89
여창 환계락
90
동동
91
청성 자진한잎 대금
92
여창가곡 계면조 편삭대엽 모란은 화중왕이요
93
남창가곡 편락(오선보)
94
남창가곡 편락(정간보)
95
여창가곡 계면조 편삭대엽 모란은 화중왕이요
96
여창가곡 ‘우락’(정간보)
97
남창가곡 언락
98
여창가곡 ‘우락’(오선보)
99
남창가곡 편락
100
여창가곡 ‘평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