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전력계통의 안정도 향상대책 않은것
지략전류를 크게 하기 위하여 직접 접지 방식
2
송전계통의 중성점 접지 목적 아닌거
차단기의 차단용량 감소
3
송전선로의 중성점 접지 목적
이상전압 방지
4
평형 3상 송전선에서 보통의 운전 상태인 경우 중성점 전위
0
5
66000v 평형 대칭 3상 송전선의 정상운전시 건전상 대지전위
루트3분의 66000
6
중성점 접지방식에서 직접접지 방식 틀린 것
과도안정도가 대단히 높다
7
중성점 접지방식에서 직접접지방식을 다른 접지방식과 비교했을때 틀린 것
다중 접지사고의 확대 가능성 크다
8
단선고장시 이상전압이 가장 큰 접지방식
소호 리액터 접지식
9
송전선의 중성점 접지하는 이유 아닌것
고장전류의 억제
10
지략전류의 크기가 최소인 중성점 접지방식
소호리액터 접지방식
11
우리나라에서 소호 리액터 접지방식 사용 계통
66
12
델타 결선의 3상 3선식 배전선로. 1선이 지락하는 경우 건전상의 전위상승 지락 전의 몇배
루트3
13
중성점 비접지 방식이 이용되는 송전선
20 30 정도의 단거리 송전선
14
저전압 단거리 송전선에 적당한 접지 방식
비접지방식
15
3상 4선식 고압 선로의 보호에 있어서 중성선 다중 접지방식의 특성 옳은
통신선에 유도장해를 줄 우려 있다
16
중성점 저항접지방식의 병행2회선 송전선로의 지락사고 차단 계전기
선택접지계전기
17
3상 1회선 송전선로의 소호 리액터 용량
3선 일괄의 대지충전 용량과 같다
18
소호 리액터 접지에 대한 설명 틀린
선택 지락계전기의 동작용이
19
중성점 접지방식 중 단선고장일때 선로의 전압상승이 최대이고 또한 통신장해가 최소인거
소호 리액터 접지
20
직접접지방식이 초고압 송전선에 채용되는 이유
계통의 절연을 낮게 할수 있어서
21
직접 접지방식에 대한 설명 중 틀린
보호계전기가 신속시 동작하므로 과도 안정도 좋다
22
이상전압의 발생 우려가 가장 작은 중성점 접지방식
직접접지방식
23
송전계통에 있어서 지락보호계전기의 동작이 가장 확실
직접접지식
24
중성점 직접접지 송전방식의 장점에 해당되지 않
1선 지락고장 시 인접통신선의 전자유도 장해 작다
25
유효접지는 1선 접지시 전선상의 전압이 상규 대지전압의 몇배 넘지 않도록
1.3
26
n선 접지시 nn상의 nn전압이 상규대지전압의 n배이하로 중성점 임피던스를 억제시키는 중성점 접지
1, 건전, 대지, 1.3
27
소호리액터 접지 계통에서 리액터의 탭을 완전공진 상태에서 약간 벗어나도록
직렬 공진에 의한 이상 전압의 발생 방지
28
송전선로에서 1선 지락 시 건전상의 전압상승이 가장 작은 접지방식
직접접지방식
29
배전로에 3상 3선식 비접지 방식 채용할 경우 장점 아닌
1선지락 고장시 건전상에 대지전위상승 작다
30
비접지식 송전선로에 있어서 1선 지락고장이 생겼을 경우 지락점에 흐르는 전류
고장상의 전압보다 90도 빠른 전류
31
안정도 향상 대책으로 아닌거
발전기의 단락비 작게
32
3상 3선식 송전선 연가 몇등분
3
33
송전선로 연가 목적
선로정수의 평형
34
선로정수를 전체적으로 평형하게 하고 유도장해 줄일 수
연가
35
연가해도 효과 없는거
유도뢰의 방지
36
안정도 향상 대책으로 아닌거
발전기의 단락비 작게
37
전력계통의 안정도 향상대책 않은것
지략전류를 크게 하기 위하여 직접 접지 방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