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삼국시대 화재에 대한 [ ] 기록(미추왕, [ ] 화재]
최초, 금성 서문
2
삼국시대 [ ]으로 인식 - 영흥사 화재(진평왕) 이재민 구휼
사회적 재앙
3
통일신라시대 화재에 대한 [ ] 의식 - [ ] 사용, [ ] 이용
예방, 기와지붕, 숯
4
고려시대 소방을 [ ]라 칭하기도함
소재
5
고려시대 [ ] 제도([ ] 제도) : 방화 전담 관리(조직X, 관서 X) - 최초의 [ ]의 근원
금화관리자, 금화원, 소방행정
6
고려시대 [ ]의 시작
금화제도
7
조선시대 1417년[ ], [ ] 시행(최초[ ])
태종, 금화령, 소방법규
8
조선시대 1423년[ ], [ ] 시행 (궁궐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를 진압하는 방법을 규정)
세종, 금화조건
9
조선시대 [ ]년 [ ]월 ( ), [ ] 설치 - 최초 [ ](조직), 상비소방제도x - [ ], [ ], [ ], [ ] - 화재진압 하는 사람의 증표로 [ ] 발급
1426, 2, 세종, 병조 소속 금화도감, 소방관서, 제조 7명, 부사 6명, 판관 6명, 사 5명, 구화패
10
조선시대 - [ ]년[ ]월 ( ) [ ] (성 수리 + 화재 진압 + 하천 정리 + 길 다리 수리)
1426, 6, 세종, 공조 소속 수성금화도감
11
조선시대 1431년( ) [ ] 편성 (최초의 [ ], 상설x)
세종, 금화군, 소방대
12
조선시대 1467년( ) [ ] 편성 : 상시인원[ ]명
세조, 멸화군, 50
13
임진왜란 이후 갑오개혁 전후 1723년( ) - 중국에서 [ ]라는 [ ] 최초로 수입
경종, 수총기, 소방장비
14
임진왜란 이후 갑오개혁 전후 [ ]년 갑오개혁 전후 - [ ]이라는 용어 최초 사용
1895, 소방
15
임진왜란 이후 갑오개혁 전후 1900년 초 - [ ]가 존재(1910년 이전부터 상비소방수 조직됨)
상비 소방수
16
임진왜란 이후 갑오개혁 전후 1908년 - 최초 [ ] 설립(화재보험제도 실시는 1925년)
화재보험회사
17
임진왜란 이후 갑오개혁 전후 1909년 - [ ] 설치
소화전
18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에는 파괴장비, 구조장비를 비치하였고, 고층건축물의 화재진압을 위하여 [ ]가 도입되었으며, 화재발생경보, [ ], 망루 등이 설치되었다, 또한 [ ]도 실시하였다
사다리 소방차, 119전화, 불조심 행사
19
일제강점기 1912년 [ ]에서 [ ] 1대 구입
궁정소방대, 스웨덴산 휘발유펌프
20
일제강점기 1915년 [ ] 제정 -> [ ] 제도 확립
소방조 규칙, 상비소방수
21
일제강점기 [ ]년 최초 [ ]인 [ ]설치(현 종로소방서)
1925, 소방서, 경성소방서
22
미군정기 (자치소방체제) 일시적으로 소방이 [ ]로부터 분리 (최초의 [ ])
경찰, 자치소방
23
미군정기 (자치소방체제) 전국에 [ ] 소방서를 대폭 증설하는 등 전국적인 자치소방체제를 운영
50여개
24
미군정기 (자치소방체제) [ ]년 [ ] - [ ] - [ ] 설치, 각 도에 [ ]
1946, 상무부, 토목국, 중앙소방위원회, 도소방위원회
25
미군정기 (자치소방체제) [ ]년 최초 [ ] 설치 ([ ] 집행기구)
1947, 소방청, 중앙소방위원회
26
정부수립직후 (국가소방체제) 정부수립과 동시[ ]체제로 [ ]사무에 포함 <[ ] 적용>
국가소방, 경찰, 국가공무원법
27
정부수립직후 (국가소방체제) 중앙 : [ ] - [ ] - [ ] 지방 : [ ] - [ ]
내무부, 치안국, 소방과, 경찰국, 소방과
28
정부수립직후 (국가소방체제) [ ]년 [ ] 제정(화재 + [ ] ` [ ]포함 + 의용 근거) (67년 [ ]으로 삭제)
1958, 소방법, 풍수해, 설해, 풍수해대책법
29
정부수립직후 (국가소방체제) 1961년 [ ] 신설 (2010년 소방공동시설세 삭제, [ ] 로 변경)
소방공동시설세, 지역자원시설세
30
정부수립직후 (국가소방체제) 1969년 경찰공무원법 제정으로 [ ] 적용
경찰공무원법
31
발전기 (1970년~91) 이원적 체제 (국가소방 + 자치소방) [ ]년 내무부 [ ] 삭제, 소방사무를 [ ]로 하는 법적 근거 마련
1970, 소방기능, 지자체 고유사무
32
발전기 (1970년~91) 이원적 체제 (국가소방 + 자치소방) [ ]년 서울, 부산 [ ] 신설(서울 부산[ ], 나머지 지역 [ ]체제)
1972, 소방본부, 자치소방, 국가소방
33
발전기 (1970년~91) 이원적 체제 (국가소방 + 자치소방) [ ]년 지방소방공무원법 제정 (서울 ` 부산 [ ] 적용, 나머지 지역은 [ ] 적용)
1973, 지방소방공무원법, 경찰공무원법
34
발전기 (1970년~91) 이원적 체제 (국가소방 + 자치소방) [ ]년 민방위제도 실시로 치안국 소방과에서 [ ] - [ ] - [ ]으로 조직 개편 (중앙소방조직이 [ ]로부터 완전 분리)
1975, 내무부, 민방위본부, 소방국, 경찰
35
발전기 (1970년~91) 이원적 체제 (국가소방 + 자치소방) [ ]년 [ ] 제정 ([ ]시행)으로 국가 ` 지방 소방공무원 모드 소방공무원법 적용([ ]직) -> 신분의 일원화
1977, 소방공무원법, 78, 별정
36
발전기 (1970년~91) 이원적 체제 (국가소방 + 자치소방) [ ]년 소방학교 신설 (이후 중앙소방학교로 개칭)
1978
37
발전기 (1970년~91) 이원적 체제 (국가소방 + 자치소방) [ ]년 국가공무원법([ ]직)
1981, 특정
38
발전기 (1970년~91) 이원적 체제 (국가소방 + 자치소방) [ ]년 구급업무 명문화
1983
39
발전기 (1970년~91) 이원적 체제 (국가소방 + 자치소방) [ ]년 구조업무 명문화
1989
40
1992년 ~ 현재 시 `도(광역)자치소방체제 [ ]년 모든 시 ` 도에 [ ] 설치
1992, 소방본부
41
1992년 ~ 현재 시 `도(광역)자치소방체제 1995년 삼풍백화점 붕괴 -> [ ]년 [ ] 제정, [ ] (중앙소방학교 소속)
1995, 재난관리법, 중앙119구조대
42
1992년 ~ 현재 시 `도(광역)자치소방체제 [ ]년 소방법 목적에 [ ] ` [ ] 업무활동을 명문화
1999, 구조, 구급
43
1992년 ~ 현재 시 `도(광역)자치소방체제 소방법(58년) 폐지 -> [ ]년 소방 [ ]제정 ([ ],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법, 공사업법, 위험물안전관리법)
2003, 4분법, 소방기본법
44
1992년 ~ 현재 시 `도(광역)자치소방체제 [ ]년 [ ](95년) 폐지 ->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밥 제정
2004, 재난관리법
45
1992년 ~ 현재 시 `도(광역)자치소방체제 [ ]년 소방방재청 신설(소방방재청 설립 시 소방정책국 X)
2004
46
1992년 ~ 현재 시 `도(광역)자치소방체제 [ ]년 세월호 참사 -> 국민안전처 신설
2014
47
1992년 ~ 현재 시 `도(광역)자치소방체제 [ ]년 소방청 신설
2017
48
1992년 ~ 현재 시 `도(광역)자치소방체제 [ ]년 소방공무원의 국가직화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