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생명체가 외부환경의 변화에 대하여 내부환경의 항상성이 유지되는 기질적인 적응작용을 무엇이라 하는가?
순화현상
2
기후의 3요소
기온, 기습, 기류
3
실내온도에서 보건습도와 온도는?
18±2, 60±10%
4
불감기류에 해당하는 풍속은?
0.5m/sec이하
5
불쾌지수 측정에 필요한 기후요소는?
습구온도, 건구온도
6
실내에서 호흡곤란을 초래하는 산소농도는 몇 % 이하인가?
10%
7
이산화탄소를 실내공기오염의 지표로 사용하는 이유는?
공기오염의 전반적인 상태를 반영하므로
8
레이노드 현상과 관련이 깊은 것은?
진동
9
이타이이타이병의 원인물질은?
카드뮴
10
런던스모그와 LA스모그 사건에 대한 설명으로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LA - 90% 이상의 습도
11
런던형 스모그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습도가 낮고, 낮 동안에 주로 발생
12
대기오염을 일으키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볼 수 있는 것은?
기온역전
13
대기환경 기준물질인 것은?
일산화탄소, 아황산가스, 오존
14
대기오염물질 중 2차 대기오염물질로만 구성된 것은?
PAN, O₃, SO₃
15
가스상 대기오염물질은?
아황산가스
16
소독제의 살균력을 평가할 때 이용되는 균주는?
장티푸스균
17
감염병 환자가 사용하던 휴지, 쓰레기 등의 물품을 처리하고자 할 때 가장 적합한 방법은?
소각법
18
병원에서 발생하는 오물 소독에 가장 적당한 것은?
석탄산, 크레졸
19
해충과 매개하는 감염병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파리-황열, 뎅기열
20
우리나라에서 일본뇌염을 매개하는 대표적인 모기는?
작은빨간집모기
21
모기가 매개하지 않은 질병은?
발진티푸스
22
해충구제의 가장 근원적인 방법은?
환경적 방법
23
난방이 필요한 실내온도 기준은 몇 °C 이하인가?
10°C
24
실내의 자연채광효과를 높이는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창의 면적은 바닥면적의 50%이상
25
주택의 보건학적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지하수위가 지표면에 근접할 것
26
감염병 관리상 병원 쓰레기의 가장 안전한 처리법은?
소각법
27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OD)을 가장 잘 표현한 것은?
수중의 유기물을 산화하는데 소비되는 산소량
28
수중의 유기물이 현기성 분해될 때 발생하는 대표적인 가스성분은?
메탄
29
활성슬러지법에 의한 하수처리는 무엇을 이용한 것인가?
산화
30
생물학적인 하수처리법의 원리는?
용해성의 유기물을 미생물로 바꾸어 침전시킨다
31
수도꼭지의 먹는 물에서 유리잔류염소의 최소농도는?
0.1ppm
32
정수과정 중 염소소독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무취, 무독성
33
상수의 일반적인 정수과정은?
침전-여과-소독-급수
34
장기간의 상수 음용으로 청색증을 유발하는 물질은?
질산성 질소
35
상수의 미생물학적 오염지표는?
대장균군수
36
수인성 감염병이 아닌 것은?
발진티푸스
37
잠함병의 원인이 되는 물질은?
질소
38
상수의 일반적인 정수과정은?
침전-여과-소독-급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