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조선책락" 유포에 반발하여 이만손 등이 "영남 만인소"를 올려, 개화정책에 반대한 운동은?
위정척사운동
2
을미의병이 일어난 결정적 사건 2가지는?
을미사변,단발령
3
()의병은 ()의 해산 권고 조치에 따라 ()하였다.
을미,고종,해산
4
()(제2차 한일 협약) 체결에 ()하여, ()의병이 일어났다.
을사늑약,반대,을사
5
1.을사의병 때 등장한 평민 의병장을 쓰시오? 2.을사의병 때 태인에서 의병을 일으킨 유생 의병장을 쓰시오.
신돌석,최익현
6
을사늑약을 규탄하고 황성신문에 "시일야방성대곡"을 실은 사람은?
장지연
7
다양한 계층과 해산 군인의 합류로, 군사력이 강화된 의병 운동은?
정미의병
8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군대와, 이 군대가 등장한 의병운동 시기를 쓰시오. 각국 영사관에게 의병을 국제법상 교전 단체로 승인할 것을 요청했다.
13도창의군,정미의병
9
()의병 과정에서 각지의 의병 부대가 연합여여 결성한 () 창의군은 () () 작전을 전개하였다.
정미,13도,서울,진공
10
하얼빈에서 이토히로무미를 사살한 사람은?
안중근
11
()는 () 감옥에서, () 평화론을 쓰다가, ()이 집행되어, 완성하지 못하였다.
안중근,뤼순,동양,사형
12
()의병 때 유생 출신 ()이 이끄는 의병이 ()성을 점령하였다.
을미,유인석,충주
13
을사늑약 체결에 항거하여, 자결한 사람은?(2명)
민영환,조병세
14
()의병 때 ()이 이끈 의병 부대가 ()성을 점령하였다.
을사,민종식,홍주
15
미국에서 고문관 스티븐슨을 처단한 사람은?(2명)
장인환,전명운
16
대한제국 군대가 해산되자, 자결로 항거한 대대장은?
박승환
17
을사늑약 체결을 가능하게한 을사5적을 처단하기 위해 "자신회"를 조직한 대표인물 2명은?
나철,오기호
18
정미의병 시기에 결성된 군대와 이 군대의 총대장, 군사장을 각각 쓰시오.
13도창의군,이인영,허위
19
헤이그 () 파견을 구실로, () 강제 ()와, ()가 ()되면서, ()의병이 일어나게 되었다.
특사,고종,퇴위,군대,해산,정미
20
항일 의병 운동을 순서대로 나열하시오.
위정척사 운동(영남만인소), 을미의병(단발령,을미사변), 을사의병(을사늑약) (외교권 박탈·통감부 설치), 정미의병 (고종 퇴위 및 정미 7조약(군대 해산)
21
<문제2>.개항기의 순서를 나열하시오.
러일전쟁, 한일 의정서 (군사적 요충지 확보), 1차 한일 협약 (외교:스티븐스/ 고문:메카타), 을사늑약(제2차 한일 협약), 을사의병(최익현,신돌석), 헤이그특사 파견(고종 요청) (이상설.이준.이위종), 정미 7조약(=한일 신협약) (고종 퇴위·군대해산), 정미의병 (13도 창의군/서울 진공 작전), 기유각서 (사법권 및 경찰권 박탈)
22
헤이그 특사 파견으로 인해, 고종이 폐위돠고, 정미 7조약(한일 신협약) 으로 군대까지 해산되어 일어난 의병 운동은?
정미의병
23
-단발령과 을미사변에 반발하여 일어났다. -고종의 해산조치에 따라 해산되었다. -위정척사 유생 출신의 유인석,이소응과 일반 농민들이 일으킨 운동이다.
을미의병
24
정도(성리학)을 지키면서, 사학(서양문화와 천주교)를 배척하는 운동은?
위정척사운동
25
<문제1>.개항기의 순서를 나열하시오.
임오군란 (제물포(일), 조청 조약(청) 체결), 갑신 정변 (한성조약(일), 텐진조약(일-청) 체결), 거문도 사건(영국), 동학농민운동, 갑오개혁, 을미사변, 을미개혁, 을미의병, 아관파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