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
봉래의
2
.
처용무, 수제천
3
.
무고
4
.
학무
5
.
학연화대처용무합설
6
.
검무(검기무)
7
.
선유락
8
.
가인전목단
9
.
아박무(동동)
10
.
춘앵전
11
.
항장무
12
.
무애무
13
.
경풍도
14
.
공막무
15
.
광수무
16
.
망선문
17
.
박접무
18
.
사선무
19
.
침향춘
20
.
첩승무
21
.
사자무
22
.
첨수무
23
.
헌천화
24
.
춘광호
25
.
향발무
26
.
관동무
27
.
만수무
28
.
무산향
29
.
영지무
30
.
초무
31
.
초무
32
.
보상무
33
.
춘대옥촉
34
.
향령무
35
.
고려무(고구려무)
36
.
연화무
37
.
헌선도
38
.
헌선도
39
.
장생보연지무
40
.
장생보연지무
41
.
장생보연지무
42
.
장생보연지무
43
.
장생보연지무
44
.
몽금척(금척)
45
.
몽금척
46
.
몽금척
47
.
몽금척 족자
48
.
포구락
49
.
포구락
50
.
포구락
51
.
포구락
52
.
포구락
53
.
수연장
54
.
수연장
55
.
연화대
56
.
연화대
57
.
하황은
58
.
하황은
59
.
오양선
60
.
오양선
61
.
수명명
62
.
수보록 초입배열도
63
.
수보록 회무도
64
.
수보록 지선무도
65
.
수보록
66
하성명
세종때 변계량이 왕명을 받아 악장을 지음. 주로 사신의 연악으로 연주되었다
67
.
육화대 초입배열도
68
.
육화무(육화대) 작대도
69
.
연백복지무
70
.
연백복지무
71
.
연백복지무
72
.
연백복지무
73
.
제수창
74
.
제수창
75
.
제수창 죽간자2,족자1,황개1,선모1, 협무4, 후대무원4
76
.
성택무 초입배열도
77
.
성택무 작대도
78
.
근천정 초입배열도
79
.
근천정 작대도
80
.
왕모대가무
81
곡파
송의 사악인 석노교를 부르며 추었는데, 고려사 악지에는 춤의 절차에 대한 기록은 없고 석노교곡파 악사가 전할 뿐이다.
82
.
최화무
83
향악 정재와 당악 정재의 차이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