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인터넷 기반의 정보공유 서비스를 부르는 것이 아닌 것은?
W3C
2
웹을 제안한 사람은?
팀 버너스 리
3
HTML은 무엇에 의해 전송되나?
HTTP
4
HTML, HTTP 등의 웹 관련기술을 관리하는 것은?
W3C
5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요청하면 응답으로 오는 컨텐츠는?
웹 문서
6
어떤 클라이언트가 요청해도 항상 동일한 답변이 오는 컨텐츠는?
정적 웹문서
7
클라이언트에 전달되는 문서의 내용이 변하는 컨텐츠는?
동적 웹문서
8
동적인 요소가 포함된 웹 문서를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는 방식은? (1)
Java Script
9
동적인 요소가 포함된 웹 문서를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는 방식은? (2)
Applet
10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웹 문서의 동적인 요소를 직접 실행한 후 그 결과를 클라이언트에 전송하는 방식이 아닌 것은?
Applet
11
DoD ARPA에서 컴퓨터 네트워크 연구시작 년도는?
1960년 대
12
TCP/IP가 인터넷의 표준 프로토콜로 채택되어 다양한 네트워크가 상호연결을 할 수 있게되는 연도는?
1980
13
월드와이드웹(WWW)의 등장연도는?
1990
14
ARPANET에서 INTERNET으로 이름이 변경된 연도는?
1990
15
DOD와 ARPA의 결과물은?
TCP/IP
16
호스트식별에 필요한 주소 3가지는?
물리주소, 인터넷주소(IP주소), 포트주소
17
8강 14p 포트주소 문제 풀깅
응!
18
포트번호의 특징은? 3가지
TCP 및 UDP가 응용프로그램을 식별하는데 사용됨, 2바이트로 구성, 16비트로 구성
19
인터넷 이용의 특징 중 쌍방향성으로 누구나 송신자나 수신자가 되는 특징은?
상호작용성
20
인터넷의 특징 중 정보를 저장해놓은 시기와 사용하는 시기가 다를 수 있는 특징은?
비동시성
21
인터넷의 특징 중 개인/다자간의 소통을 통해 다양한 관점을 수용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정보를 전달해주는 특징은?
다원적 커뮤니케이션
22
인터넷의 특징 중 전 세계적으로 정보를 공유하고, 다양한 영역에서의 지식과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특징은?
개방성과 참여성
23
인터넷의 특징 4가지는?
다원적 커뮤니케이션, 비동시성, 상호작용성, 개방성과 참여성
24
빅데이터의 정의인 3V는? (3가지)
규모, 다양성, 속도
25
빅데이터의 나머지 2V는?
가치, 진실성
26
빅데이터의 정의 중 관심의 대상이 아니었던 데이터, 무심히 발생한 데이터가 분석이 되어 새로운 이벤트나 비즈니스가 되는 것은?
규모
27
빅데이터의 정의 중 다양한 데이터와 실시간으로 변하는 데이터는?
다양성
28
빅데이터의 정의 중 데이터의 입출력속도 뿐만 아니라 데이터의 수집과 적재, 분석, 처리, 예측 등 모든 단계의 신속성과 긴밀성은?
속도
29
전체 데이터의 66%를 차지하는 데이터는?
비정형데이터
30
엑셀데이터처럼 특정 구조에 맞춰진 형태의 데이터로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기 적합한 데이터는?
정형데이터
31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등 다양한 형식으로 존재하며, 기존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기 어려울 수도 있는 데이터는?
비정형데이터
32
좁은 의미의 빅데이터와 빅데이터를 관리하고 분석하는데 필요한 인력과 조직, 제반 기술과 인프라를 묶어서 정의하는 것은?
광의의 빅데이터
33
데이터의 규모, 다양성, 속도 세 차원을 종합하는 것은?
협의의 빅데이터
34
빅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수집, 분석하여 가치있는 인싸이트를 얻고, 이를 최종 사용자에게 간단한 비기술적 언어로 표현하는 학문은?
데이터 과학
35
데이터를 행동으로 이어지게 하는 예술, 내가 가진 데이터를 이해하고 이들 데이터가 무엇을 말하는지 분석하여 알아내는 것과 같이 데이터 과학을 보는 것은?
데이터 과학의 비즈니스적 정의
36
빅데이터 프로젝트를 위해 정보자산으로부터 인사이트를 추출하며 다양한 분야의 기술을 겸비해 하나의 팀으로 높은 성과를 내는사람은?
데이터 과학자
37
빅데이터를 처리하는데 필요한 이론적, 기술적 지식은?
하드 스킬
38
빅데이터의 가치를 발견할 수 있는 통찰력 있는 분석은?프
소프트 스킬
39
데이터 과학자가 지녀야하는 스킬 2가지는?
소프트 스킬, 하드 스킬
40
데이터 과학자가 되기 위한 비기술적 요건 3가지는?
지적 호기심, 비즈니스 지식, 소통 능력
41
무수히 많은 데이터 중 의미와 통찰력을 부여하는 과정은?
센스 메이킹
42
컴퓨터를 사용해 데이터의 숨은 의미를 발견하고 설명하고 그것을 통해 의사결정을 내리는 통찰력을 확보하는 것은?
데이터 시각화
43
데이터의 여덟가지 시각화 원칙을 만든 사람은?
터프트
44
시각화의 종류 중 대부분의 시계열 데이터를 표현할 수 있는 것은?
선 그래프
45
시각화의 종류 중 데이터 포인트가 매우 많을 때 적합한 그래프는?
점 그래프
46
시각화의 종류 중 시간에 따라 명확하게 구분되는 데이터 포인트를 사용할 때 적합한 표현은?
막대 그래프
47
시각화의 종류 중 카테고리를 서로 비교하는 것이 아니라 모두를 합친 것이 의미를 가질 때 사용하는 것은?
누적 그래프
48
시각화의 종류 중 원의 크기가 데이터의 어떠한 값을 표현하는 것은?
버블 그래프
49
시각적인 색으로 차이를 보여주는 그래프
컬러 스케일 그래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