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식사 예절 행동은 후천적으로 학습한 문화적인 행위
식문화
2
계절에 따라 제철에 나는 재료로 만든
시식
3
설날•대보름•추석•동지 등 절기와 명절에 따라 특색 있게 만든
절식
4
음식의 겉모습을 좋게 하기 위해 음식 위에 덧붙이는 것
고명
5
오방색
황청백적흑
6
익혀서 무친 나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숙채류
7
익히지 않고 날로 무친 나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생채류
8
밥, 국, 김치 외에 3가지 반찬
3첩 반상
9
밥, 국, 김치, 장, 찌개 외에 5가지 반찬
5첩 반상
10
임금님만 드실 수 있는 상차림
12첩 반상
11
오미
단맛 짠맛 신맛 매운맛 쓴맛
12
오법
날것 구이 조림 찜 튀김
13
수질과 토양이 좋은 지역
곡류와 채소
14
수질이 나쁜 지역
차
15
한대 기후 지역
담백, 싱거움, 종류가 매우 적고 생선과 유제품 많이 사용
16
온대 기후
음식 종류와 조리법 다양, 가공 식품 발달, 곡류와 채소 이용, 향신료를 적당히 사용
17
열대 기후
기름을 이용한 조리법 발달, 풍부한 과일 이용, 향신료를 강하게 사용
18
힌두교
금기 음식 : 모든 고기와 술, 카스트 순위가 높을수록 육식 금지, 채식주의
19
불교 문화권 금기 음식
동물의 고기, 시장에서 만든 기성 식품, 더러운 음식
20
기독교 문화권 금기 음식
종파에 따라 술, 종파에 따라 채식주의
21
이슬람교 금기 음식
죽은 짐승의 고기와 피, 돼지고기, 목 졸려 죽은 고기, 단식 행사 기간 낮동안 모든 음식 금지
22
한복의 미적인 면
형태의 미, 색채의 미, 소재의 미
23
한복 기능적인 면
실용성, 활동성, 건강과 환경
24
한복의 변천 - 길이가 길고 소매통이 좁은 저고리와 통이 좁은 바지
삼국시대
25
중국의 영향을 받아 소매통과 바지통이 넓어졌고, 여자는 치마를 입게 되었다
삼국 시대 말
26
몽골의 영향을 받아 여자 저고리의 길이가 짧아져 옷도름이 생김
고려 후기
27
가체, 족두리, 연지 곤지 등이 들어옴
고려 후기
28
출신과 계급에 따라 한복 소매 색깔이 다름
고려 시대
29
여자 저고리가 매우 짧아져 허리띠를 차고 두르기도 함
조선 시대 후기
30
치마는 속옷을 여러겹 겹쳐 입어 하체를 풍만하게 보이도록 함
조선 시대
31
유교 통치 이념으로 복식에서 계층적 신분 질서 엄격히 유지
조선 시대
32
여자 저고리 길이가 다시 길어지고 품이 넉넉해졌으며 치마 길이가 짧아지고 치맛자락이 통으로 된 통치마가 등장함
개화기 이후
33
양복을 입기 시작하였으며, 마고자와 조끼가 생겨남
개화기 이후
34
중국 당나라 시대의 의상과 불교 영향
고구려
35
옷의 활동헝을 중요히 여겨 의복과 전투복이 크게 다르지 않음
고구려
36
당나라 복식 문화를 수용해 그 영향을 많이 받음
신라
37
화려하고 여성적인 옷
백제
38
고구려 백제 신라 의복 공통점
긴 저고리, 허리선, 통 큰 팔다리
39
속바지는 ( )보다 ( ) 입는다
속치마 2~3cm 짧게
40
치마는 ( )을 표시하는 수단이었으며 끝자락이 ( )쪽으로 여민다
신분 왼쪽
41
저고리는 계절에 따라
깨끼 저고리 적삼 저고리 생저고리
42
옷감의 배색 방법에 따라
민저고리 삼회장 저고리 반회장 저고리 색동저고리
43
방한용으로 저고리 위에 ( )를 덧입어 추위로부터 보호한다
배자 또는 마고자
44
( )는 여자는 ( ) 남자는 ( )으로 입는다
두루마기 방한용 외출용
45
옷고름을 여밀 때에는 ( )으로 고를 만들어 ( )쪽 방향으로 눕힌다
긴 고름 왼
46
다홍치마에 노랑 저고리
처녀
47
다홍치마에 연두저고리
신부
48
결혼을 하여 아들을 둔 부인이 남편과 아들이 있음을 표현하기 위해 다는
남색 끝동
49
저고리의 깃•끝동·겨드랑이·고름이 다른 색인 것을 젊은 부인이나 처녀들이 입었다
삼회장 저고리
50
어린 아이들이 입던 저고리
색동저고리
51
안에 솜을 두어 만든 저고리
솜저고리
52
아무 무늬도 없는 저고리
민저고리
53
저고리의 깃•끝동·고름이 다른 색인 것
반회장 저고리
54
패스트 패션과 대비되는 개념
슬로우 패션
55
산을 등지고 앞쪽을 바라보는 지세
배산임수
56
여름철에 마주보는 문을 열어 두면 앞마당과 뒤뜰의 공기가 대류에 의해 이동하면서 통풍이 잘되어 시원하다
대청마루
57
바닥에 쌓아 그 위에 집을 지어 땅으로부터 올라오는 습기를 줄이고 통풍을 원활하게 함
기단
58
지중해와 대서양을 접하고 있어 기후가 온화하고 농, 수, 축산물이 모두 풍부하여 다양한 음식 발달
프랑스
59
섬세한 조리 기술로 색, 모양, 맛의 화려함 추구
프랑스
60
다양한 향신료와 독창적인 소스 사용
프랑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