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정비주기 - 주전원공급기는 0시간 / 0간 먼저 도래한 것을 기준으로 정비한다
정비주기 - 주전원공급기는 250시간 / 연간 먼저 도래한 것을 기준으로 정비한다
2
예방정비간 운용전 점검을 실시하고 0분 가동 후 장비점검을 실시한다.
예방정비간 운용전 점검을 실시하고 5분 가동 후 장비점검을 실시한다.
3
영상포착기 습도표시기(0%) 무슨색, 무슨색일시 질소를 보충한다
영상포착기 습도표시기(10%) 흰색, 연 분홍색 일시 질소를 보충한다
4
체계축전지, 축정지상자 전압점검시 0V이상 인지 점검한다.
체계축전지, 축정지상자 전압점검시 11V 이상 인지 점검한다.
5
포탑해치 0도, 0도 개방되며 0도 개방시 핀과 리미트스위치 0~0mm 접점간극을 확인한다(간극게이지로 점검)
포탑해치 45도, 120도 개방되며 120도 개방시 핀과 리미트스위치 0.5~1.0mm 접점간극을 확인한다(간극게이지로 점검)
6
유압펌프 장치 -> 유량조절 압력 게이지 확인 -> 전원인가 후 최초 0~0bar 확인 -> 0bar 도달시 작동이 멈추는 지 확인한다. 고압필터 -> 비정상: 무슨색 정상 :무슨색 / 저압필터 -> 비정상 : 00 , 정상 : 00
유압펌프 장치 -> 유량조절 압력 게이지 확인 -> 전원인가 후 최초 80~90bar 확인 -> 160bar 도달시 작동이 멈추는 지 확인한다. 고압필터 -> 비정상: 적색 정상 :녹색 / 저압필터 -> 비정상 : 돌출 , 정상 : 비돌출
7
고각완충기 : 0mm / 저각 완충기 :0mm
고각완충기 38mm / 저각 완충기 78mm
8
추적기 -> 영상포착기->질소 보충시 00식 실시 / 시스템제어기 -> 0식 계기검사 실시.
추적기 -> 영상포착기->질소 보충시 시간합계식 실시 / 시스템제어기 -> 시간합계식식 계기검사 실시.
9
커플링 조립체 링피더 검사 0kg-m / 0 IN-LB
커플링 조립체 링피더 검사 1.3kg-m / 1.4 IN-LB
10
조준감사경 질소 투입방법 -> 00 포터나사 품 -> 0psi 질소 압력 주입 -> 0초간 배출 -> 00 포터나사 잠금 -> 0psi 질소 보충
조준감사경 질소 투입방법 -> 배출 포터나사 품 -> 5psi 질소 압력 주입 -> 45초간 배출 -> 배출 포터나사 잠금 -> 5psi 질소 보충
11
유압장치 오일 교환 -> 0L 주입되며 최초 0시간 운용후 교환해주어야 하며, 그 이후 0년동안 0회 교환실시, / 유면계 0/0채워야한다
유압장치 오일 교환 -> 20L 주입되며 최초 50시간 운용 후 교환해주어야 하며, 그 이후 1년동안 1회 교환실시, / 유면계 2/3채워야한다
12
주전원공급기 -> 00 여과기 필터 엘리먼트 교환 -> 레코딩 유닛 작동시간 0시간 -> 물빼기 / 0시간에 교체
주전원공급기 -> 유체용 여과기 필터 엘리먼트 교환 -> 레코딩 유닛 작동시간 250시간 -> 물빼기 / 500시간에 교체
13
냉각장치 고장코드 A1~A12 / LOW TEMP 무엇인가요?
A1 - 기화기1 송풍기 고장 A2 - 기화기 2 송풍기 고장 A3 - 응충기 송풍기 고장 A4- 온도센서1 고장 A5- 온도센서 2고장 A6- 압축기 고장 A7- RS -485통신고장 A8- 전원카드 고장 A9- 고압발생 A10- 저압발생 A11- 솔 밸브 고장 A12- RS-232 통신 고장 LOW TEMP -저온운용 14도 이하시.
14
전원발생장치 고장코드 G1 ~ G18
G1~3 - 발전기 출력 과전압. 저전압, 과전류 G4~6 - 인버터 출력 과전압, 저전압, 과전류 G7- 전자제어기 결함 G8- 캐패시티 뱅크 과전류 G9- 캐패시티 뱅크 저전압 G10- IGBT 결함 G11- 발전기 회전 결함 G12-발전기 회전 과속 결함 G13-발전기 회전 저속 결함 G14- BSS 통신응답 결함 G15- CSS 통신 응답 결함 G16- RUN 신호 응답결함 G17 - 발전기 고온 결함 G18 - 전자제어기 고온결함
15
축전지를 충전기로 충전방법 0도 되면 송풍기 덮개를 0/0 닫는다 -> 0도 되면 덮개를 조절한다 -> 단 덮개는 완전한 밀폐는 허용되지 않는다 -> 0도 이상되면 송풍기 덮개를 완전히 개방한다.
축전지를 충전기로 충전방법 -5도 되면 송풍기 덮개를 1/2 닫는다 -> 20도 되면 덮개를 조절한다 -> 단 덮개는 완전한 밀폐는 허용되지 않는다 -> 0도 이상되면 송풍기 덮개를 완전히 개방한다.
16
기준선 정렬 방위각 조준감사경 편차는 0mil 이내여야 한다. -> 고정용구멍 위치 -> 0도 (0mil) 고각 조준감사경 편차는 0mil 이내여야 한다. -> 고각 기준선 정렬은 방위각 조준선 정렬이 완료되면 곧바로 시행한다. 링피더 나사 0kg-m(0LB-IN)
기준선 정렬 방위각 조준감사경 편차는 0.2mil 이내여야 한다. -> 고정용구멍 위치 -> 20.3도 (360.9mil) 고각 조준감사경 편차는 0.3mil 이내여야 한다. -> 고각 기준선 정렬은 방위각 조준선 정렬이 완료되면 곧바로 시행한다. 링피더 나사 1.3kg-m(1.4LB-IN)
17
영상포착기 - 질소 충전 방법 질소 충전용 압력계기 동작범위 온도는 0~0도 이다 고순도 질소를 주입한다 (99.999%) 0.000mpa + - 0.000mpa -> 10% 연 하늘색이 되도록 주입하고 -> 0.000mpa을 0분간 주입하고 잠근다 정화 작업은 0.000mpa + - 0.000mpa 0시간 주입한다
영상포착기 - 질소 충전 방법 질소 충전용 압력계기 동작범위 온도는 -10~40도 이다 고순도 질소를 주입한다 (99.999%) 0.041mpa + - 0.003mpa -> 10% 연 하늘색이 되도록 주입하고 -> 0.013mpa을 2분간 주입하고 잠근다 정화 작업은 0.041mpa + - 0.003mpa 4시간 주입한다
18
레이저 거리 측정기는 0M 근거리 반사물체를 피해야하고 / 0KM 위험범위를 가지고 있다
레이저거리 측정기는 200m 근거리 반사물체를 피해야하고 5km 위험범위를 가지고 있다.
19
유도탄 장착시 포드에 00,00 -> 00, 00(c801l,c802r)을 분리 해야한다.
유도탄 장착시 포드에 어댑터캡조립체, 연결기용덮개, -> 가스주입어댑터, 배선장치 (C801L, C801R)을 분리해야한다.
20
유도탄 이동시 -> 이동시 0 보호덮개를 장착 -> 00를 주의 / 유도탄포드에 유도탄을 장탈착할때 00, 00를 보호하기 위해 수평으로 한다
유도탄 이동시 -> 이동시 탐색기 보호덮개를 장착 -> 항력감쇄기를 주의 / 유도탄포드에 유도탄을 장탈착할때 탐색기보호덮개, 항력감쇄기를 보호하기 위해 수평으로 한다
21
유도탄 구역 1구역 -> 00(0M / 0도) 2구역 -> 00(0M / 0도) 3구역 -> 00(0M / 0도) 4구역 5구역->00 (00M, 00M미터), 00 (400M)
유도탄 구역 1구역 -> 발사모터 화염(10M / 20도) 2구역 -> 발사모터 후폭풍(30M / 60도) 3구역 -> 소음 구역(40M / 360도) 4구역 5구역-> 발사모터 폭팔로 인한 파편노출 타원형 (130M, 100M미터), 원형 (400M)
22
유도탄 최대 낙하높이 00CM
유도탄 최대 낙하높이 76m
23
유도탄 장착전 점검사항 00조립체에서 00스위치를 눌러 00 식별띠까지 위치하는지 확인한다.
유도탄 장착전 점검사항 탄구속해제조립체에서 수동개폐스위치를 눌러 탄구속푸쉬로드 식별띠까지 위치하는지 확인한다.
24
플레이어가 장착된 표적 사격방법 : 00, 00, 00
플레어가 장착된 표적 사격방법 : 차단스위치, 소형헬기 스위치, 퇴각스위치
25
선택된 유도탄 자체점검시 점검하는 구성품 : 00, 00
선택된 유도탄 자체점검시 점검하는 구성품 : 유도제어부, 신관
26
사격중 사격이 멈추지 않을때 응급조치사항 5가지
1. 안전방향 지향 2.사격안전스위치 :안전 3. 포선택스위치 : 소등 4. 포탑구동스위치 : 대기점등 5. 일부링크가 끊어져 탄이 다발사 될때까지 기다린다 / 후 고장배제 실시
27
개방 / 잠금방향 냉매압력조절기 : 시계 :00 / 반시계 00 가스통 : 시계 : 00 / 반시계 00
개방 / 잠금방향 냉매압력조절기 : 시계 :개방 / 반시계 잠금 가스통 : 시계 : 잠금 / 반시계 개방
28
체계 전압 00V DC, 00VDC 사항 체계전압 00V DC 일시 강제로 즉시 강제 전원이 차단된다 체계전압 00V DC 일시 0분간 지속시 자동전원차단이 된다
체계 전압 18V DC, 20VDC 사항 체계전압 18V DC 일시 강제로 즉시 강제 전원이 차단된다 체계전압 20V DC 일시 3분간 지속시 자동전원차단이 된다
29
탐지 능력 탐지 - 00KM, 고도 0km, 반사면적 0, 포착률 00% /
탐지 능력 탐지 - 21KM, 고도 3km, 반사면적 2m2, 포착률 80% /1x10-6
30
포 : , 발사 속도 : 최대사거리 유효사거리 강선수 : 강선각도: 포구속도: 작동방식 냉각방식 주퇴거리
포 : 가스작용식, 자동식 발사 속도 : 분당 600발 + - 100 최대사거리 : 8.800 유효사거리 : 3,000 강선수 : 18조 우선 강선각도: 6도 포구속도: 1080m/s 작동방식 :가스작용식 냉각방식 : 공랭식 주퇴거리 : 36~50mm
31
주전원공급기 고장나면 저전압 운용 00 축전지 -> 00v dc 조합
주전원공급기 고장나면 저전압 운용 포탑 축전지 -> 48v dc 조합
32
진북탐지기 1. 자이로 00 -> 00를 기준으로 00 측정 2. 00센서 -> 00 탐지, 00 측정 3. 0-00-> 00설정값 00보상
진북탐지기 1. 자이로 컴파스 -> 자이로를 기준으로 진북방위각 측정 2. 3축관성센서 -> 항법자료 탐지, 감지기오류 측정 3. 폐-회로-> 초기설정값 차이보상
33
유도탄 포드전원은?
+ - 22 VDC, +24V DC
34
유도탄 전방 00 보호, 전원공급전 00보호를 위한 00구속링 제공
유도탄 전방 항력감쇄기보호, 전원공급전 자이로보호를 위한 자이로구속링 제공
35
레이더세트 구성품은?10개
1. 신호처리기, 송수신기, 안테나, 정비제어판 유도탄레이더제어콘솔, 신호분배기-차체포탑, 전원분배기 - 차체포탑, 질문기(피아식별장비)
36
육안조준기 고각 구동범위는?
-10~60도
37
사격통제장치 구성품은?
1. 사격통제콘솔, gps 안테나, 전원스위치 상자
38
추적기 = 열상장치 - 00가 갖고있는 00에너지를 검출 -> 00신호로 처리 tv 장치 - 000000ccd이용 -> 00빛을 이용 -> 00신호로 처리
추적기 = 열상장치 - 물체가 갖고있는 고유의 복사 에너지를 검출 -> 전기적신호로 처리 tv 장치 - 전하결합소자ccd이용 -> 가시광선 빛 을 이용 -> 전기적신호로 처리
39
육안조준기는 00조준경이며, 조준경상부조립체 000, 000있고 모든전기적신호는 00, 광학계 -> 망원조준경조립체 00에서, 00신호로 변환 -> 00 유닛에 전시한다
육안조준기는 회전식조준경이며, 조준경상부조립체 광학계, 야시계가 있고 모든전기적신호는 육안조준전자, 광학계 -> 망원조준경조립체 접안렌즈에서, 전기적신호로 변환 -> 영상전시기 유닛에 전시한다
40
사격원리 7가지의 원리는?
사격준비상태(급탄,장전) / 사격인가(약실안으로 탄장입) / 잠금, 격발 / 풀림 주퇴 탄피추출 탄피방출 / 주퇴종료 및 완충 / 사격정지
41
구동브래킷 -> 00 및 00 운동에 기인하고 레버 -> 00 근원력을 제공한다
구동브래킷 -> 주퇴 및 복좌 운동에 기인하고 레버 -> 자동송탄의 근원력을 제공한다
42
포의 주퇴운동 -> 00 1/5바퀴 복좌운동 -> 00 회전
포의 주퇴운동 -> 구동기어 1/5바퀴 복좌운동 -> 깔쭉톱니바퀴 회전
43
00 실린더 : 포 전체를 후방으로 밀어주고 00 실린더 : 노리쇠를 후방으로 밀어주어 장전
장전기 실린더 : 포 전체를 후방으로 밀어주고 노리쇠작동기 실린더 : 노리쇠를 후방으로 밀어주어 장전
44
리미트스위치 , 근접스위치 -> 00 신호 전달
리미트스위치 , 근접스위치 -> 포제어기 신호 전달
45
포제어기의 역활은 ? : 00,00, 00, 00, 00
포제어기의 역활은 ? = 송탄, 급탄, 포몸통후퇴, 노리쇠뭉치 후퇴, 레이더 섬/누움
46
유압장치 : 00bar -> 00 스위치 작동 00 bar -> 00 스위치 작동
유압장치 : 160bar -> 고압필터 스위치 작동 110 bar -> 저압필터 스위치 작동
47
전원제어기의 5가지의 기능은?
1. 전원분배 및 보호회로기능 2. 주전원공급기 켬/끔 지시기능 3 보호기능 4. 저전압구동기능 5. 유도탄포드 비상전원공급기능
48
체계 축전지와 차량축전지가 따로 있는 이유는? 선길이에 따른 00, 연결기에 의한 00을 최소화하여 00가 없도록 안정된 00을 공급하기 위하여
체계 축전지와 차량축전지가 따로 있는 이유는? 선길이에 따른 선저항, 연결기에 의한 접촉저항을 최소화하여 전압강하가 없도록 안정된 제어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49
교류발전기 : 00 00 직류발전기 : 00 00
교류발전기 : 115/200v ac 400hz, 25kva 3상 4선식 직류발전기 : 28v dc 7.5kw
50
전원제어기의 고장 코드
1. cpu결함 2. 아날로그 입출력 결함 3. 속도센서결함 4. 온도센서결함 5. 서보밸브결함 6. 온도밸브결함 7. 드레인밸브결함 8. 점화결함 9. 저속결함1 10. 저속결함2 11. 과속결함 12 고온결함 13. 속도신호결함 14. 윤활유 저압 결함 15. 교류과전압 16. 교류과부하
51
정류기 200v ac -> 160v dc를 변환하기위한 00 정류를 위한 00 리플을 최소화하기 위한 00, 00 , 00 3가지는 무저껀 외우자
정류기 200v ac -> 160v dc를 변환하기위한 변압기 정류를 위한 고속스위치용 다이오드 리플을 최소화하기 위한 인덕터, 캐패시터 , 저항 3가지는 무저껀 외우자
52
전원분배기 체계의 모든 00의 기준 000을 실시하고 차체, 포탑, 체계 축전지를 00시킨다 ----------전원 00 기능----------- 00전원을 감시하고 -> 00v dc이상시 해당 발전기가동을 중지시킨다 고압지시등 점등 하고 00vdc 이하시 자동 소등된다
전원분배기 체계의 모든 전원의 기준 접지점을 실시하고 차체, 포탑, 체계 축전지를 충전시킨다 ----------전원 분배 기능----------- 직류전원을 감시하고 -> 30v dc이상시 해당 발전기가동을 중지시킨다 고압지시등 점등 하고 30v dc 이하시 자동 소등된다
53
방전모듈 1. 00구동제어전원제어기능 -> 포탑동작신호, 00와 00, 00 이용하여 전원을 서보증폭기로 인가한다 2. 과전압 방지기능 -> 190v dc이상시 00 00 작동 -> 00을 이용하여 과전압을 0로 변환한다 170v dc이하 시 00 00 작동을 정지한다. 3. 구동전원 안정화 -> 00을 이용한다. 4. 자체점검 및 전시기능
방전모듈 1. 포탑구동제어전원제어기능 -> 포탑동작신호(gtsd on), 주전원계전기 k-1와 캐패시터, 초기충전계전기 k-3을 이용하여 전원을 서보증폭기로 인가한다 2. 과전압 방지기능 -> 190v dc이상시 전력용 트랜지스터 작동 -> 제동저항 r1을 이용하여 과전압을 열로 변환 170v dc이하 시 전력용 트랜지스터 작동을 정지한다. 3. 구동전원 안정화 -> 캐패시터을 이용한다. 4. 자체점검 및 전시기능
54
화재감지기 / 자동소화장치 개수와 흐름은? / 감지기 감지 거리 00.00 기준
화재감지기 6개 (승무원실4,- 포탑승무원포함1) 엔진실2개 감지기 -> 전자제어증폭기 -> 솔레노이드케이블 -> 소화기 1차 자동소화 2차 수동소화(자동소화조종패널) 15.24cm -> 담배불시작으로 x2x4x10
55
진북탐지기의 구성품 및 기능은 ? 00 기준기 : 전후좌우 00, 차량의 00, 00 감지 , 00속도값을 사통콘에 전달 00 표시기 : 00공급, 00자료 입출력 00 측정기 : 00속도계 케이블과 연결되어 00적인 입력신호를 00신호로 변환 00 표시기 : 00점과 00지점의 00와 방위각을 표시한다
진북탐지기의 구성품 및 기능은 ? 진북 기준기 : 전후좌우 경사각, 차량의 위치, 방위를 감지 , 차량속도값을 사통콘에 전달 운항 표시기 : 전원공급, 항법자료 입출력 거리 측정기 : 차량속도계 케이블과 연결되어 기계적인 입력신호를 전기적인신호로 변환 방향 표시기 : 목표점과 통과지점의 거리와 방위각을 표시한다
56
서보제어기 기판은 ?? 1. 00기판 : 모든 00을 제어하고 00와 00를 제어한다 2. 00인터페이스 기판 : 000의 위치정보를 00기판에 제공하고 / 00센서를 디지털로 변환하여 00기판에 전달하고 / 00기판과 00증폭기 의 명령 및 응답의 통신을 수행한다 3. 00 인터페이스 기판 : 000의 위치정보를 00기판에 제공하고 / 00 00 00센서를 디지털로 변환하여 00기판에 전달하고 / 00기판과 00증폭기의 명령 및 응답통신을 수행한다 4. 00인터페이스 기판 : 00기판과 00의 명령 및 응답의 통신을 수행한다 5. 00공급 기판 : 28v dc를 공급받아 +- 0v dc, +0v dc를 내부전원으로 사용한다
서보제어기 기판은 ?? 1. 주제어기판 : 모든 연산을 제어하고 위치와 속도를 제어한다 2. 포탑인터페이스 기판 : 부호기의 위치정보를 주제어기판에 제공하고 / 속도센서를 디지털로 변환하여 주제어기판에 전달하고 / 주제어기판과 서보증폭기 의 명령 및 응답의 통신을 수행한다 3. 포드 인터페이스 기판 : 부호기의 위치정보를 주제어기판에 제공하고 / 제어식 전동기 속도 센서를 디지털로 변환하여 주제어기판에 전달하고 / 주제어기판과 서보증폭기의 명령 및 응답통신을 수행한다 4. 사격통제콘솔인터페이스 기판 : 주제어기판과 사격통제콘솔의 명령 및 응답의 통신을 수행한다 5. 전원공급 기판 : 28v dc를 공급받아 +- 15v dc, +5v dc를 내부전원으로 사용한다
57
00000 28v dc를 공급받아 +15vdc를 내부전원으로 사용한다 포탑/포 /포드 -> 대기, 동작, 브레이크 풀림/잠김을 수행한다
00 000 28v dc를 공급받아 +-0vdc를 내부전원으로 사용한다 포탑/포 /포드 -> 대기, 동작, 브레이크 풀림/잠김을 수행한다
58
펄스폭 변조된 전압/ 리플을 감소시켜 서보증폭기 전력스위칭반도체 igbt를 보호하는 구성품은?
방전모듈
59
방전모듈 00변조된 전압 / 00을 감소시키고 서보증폭기 00( )을 보호한다
방전모듈 폴스폭 변조된 전압 / 리플을 감소시키고 서보증폭기 전력스위칭반도체 igbt를 보호한다
60
부호기 부호기 -> 백래쉬 00 기어 사용하여 정확한 위치를 감지한다
부호기 부호기 -> 백래쉬 방지 기어 사용하여 정확한 위치를 감지한다
61
EMI필터 :00을 통해 전달되는 00 차단 유도탄 발사 통제기 : 0/0마개 제어 , 00핀 구속 및 해제. 00장치 제어 및 00확인, 00판단, 00계산 전방용 마개조립체 : 전방 00보호, 00구속링 장착(00보호)
EMI필터 :전원선을 통해 전달되는 노이즈 차단 유도탄 발사 통제기 : 전/후방마개 제어 , 탄구속핀 구속 및 해제. 질소가스공급제어 및 압력확인, 표적포착판단, 선도각 계산 전방용 마개조립체 : 전방 항력감쇠기보호, 자이로구속링 장착(자이로보호)
62
00 :전원선을 통해 전달되는 노이즈 차단 00 : 전/후방마개 제어 , 탄구속핀 구속 및 해제. 질소가스공급제어 및 압력확인, 표적포착판단, 선도각 계산 00 : 전방 항력감쇠기보호, 자이로구속링 장착(자이로보호)
EMI필터 :전원선을 통해 전달되는 노이즈 차단 유도탄 발사 통제기 : 전/후방마개 제어 , 탄구속핀 구속 및 해제. 질소가스공급제어 및 압력확인, 표적포착판단, 선도각 계산 전방용 마개조립체 : 전방 항력감쇠기보호, 자이로구속링 장착(자이로보호)
63
냉방장치 구성품은 4가지 와 냉각은 어떻게 이루워지나요? 냉매 :
냉방장치 구성품은 4가지 전원발생장치, 정지형전력용변환기, 기화기 1,2 흐름은 ? 냉동용 압축기에서 저온저압 기체를 고온고압 기체로 만들어 냉각용콘덴서코일로 보내서 냉각용콘덴서코일에서 저온고압액체로 만들고 냉매용축압기로보내서 축압기는 기화기1,2로 보내서 계통용압력밸브, 기계식냉동장치 교축작용을 통해 저온저압액체로 만들고, 증발식/공기식 냉각기임 SOL 오픈, 체크밸브를 통해서 저온저압액체를 고온고압기체와 혼합되지 않게한다. 냉매 : R22
64
레이저무시조건 1 ~ 8가지
1. 레이저전원차단 2. tv 및 열상장치 전원꺼짐 3. 대기점멸 4. 수동점멸 5. 시험점멸 6. 편류보상 7. 지역점멸(지역설정) 8.탐색설정(자동탐색)
65
레이저 관련 수명보호 1. 00검사 : 2. 00사거리 외 00표적에는 발사하지 않는다 3. 사격 후 00 및 00이탈시 에는 발사하지 않는다. 4. 00포착이 풀리면 즉각 00을 실시하고 00이탈시 미발사한다. 5. 00추적, 00추적 외 운용방법에서 00초 발사된다 LASER WANING - 00분00초 점멸 / 00분 점멸속도 증가 -> 00분대기 한번 발사시 0배 대기 / 1회 발사시간 최대 00분 / 스위치키고 0초 대기
레이저 관련 수명보호 1. 기능검사 : 단발사로 실시하고 필요시 연속발소 5초이내로 실시한다 2. 유효사거리 외 퇴각표적에는 발사하지 않는다 3. 사격 후 격추 및 사거리이탈시 에는 발사하지 않는다. 4. 표적포착(자동추적)이 풀리면 즉각 재포착을 실시하고 사거리이탈시 미발사한다. 5. 자동추적, 강제기억추적 외 운용방법에서 30초 발사된다 LASER WANING - 4분30초 점멸 / 5분 점멸속도 증가 -> 45분대기 한번 발사시 9배 대기 / 1회 발사시간 최대 5분 / 스위치키고 10초 대기
66
열상대기그룹 00기->00기->00순
열상대기그룹 (17.5V DC) 냉각기->감지기->차단순
67
포탑구동장치 구동차단 5가지 는?
1. 자체점검 2. 포탑구동장치 전원차단 3. 포탑잠금장치 잠금 4. 전원차단과정 5. 조종수해치 열림
68
레이더 주파수 거리 채널수 / 거리 안테나 회전 강제종료 조건 00->00 00전원차단 00열림 00도 이상
4,5,6,9 / 1000/500/150/30 안테나 회전 강제종료 조건 00->00 00전원차단 00열림 00도 이상
69
점사크기선택스위치 : 00거치지 않고 00바로간다
점사크기선택스위치 : 사격통제콘솔거치지 않고 포제어기로 바로간다
70
산악용 - 상관추적방식 획득창 크기조절하는 스위치는?
탐색속도스위치
71
자이로 / 구속해제스위치 점멸조건 1. 00지향(포드) 2. 00이 00, 포착 가능한 상태 3. 00이동00가 00가능한상태 사격스위치 점등 : 00포착, 00준비완료, 00스위치 00
자이로 / 구속해제스위치 점멸조건 1. 표적방향지향(포드) 2. 열원이 탐지, 포착 가능한 상태 3. 표적이동속도가 사격가능한상태 사격스위치 점등 : 표적포착, 사격준비완료, 사격안전스위치 사격
72
00 : 시간과 공간의 밝기량으로 추적 00 : 표적의 중심을 추출하고 중심의 변화로 검출 및 추적
상관추적방식 중심추적방식
73
상관추적방식 : 00와 00의 00으로 추적 중심추적방식 : 표적의 00을 추출하고 중심의 00로 00 및 00
상관추적방식 : 속도와 공간의 밝기량으로 추적 중심추적방식 : 표적의 중심을 추출하고 중심의 변화로 검출 및 추적
74
전시거리선택스위치 0/0/0/0 /// 거리환 1.5km표적이내왔을때 0km바꾼다
전시거리선택스위치 5/10/20/30 1/2/10/10 거리환 1.5km표적이내왔을때 5km바꾼다
75
클러터필터를 제어한다 : 스위치는?
클러터필터를 제어한다 : 우천시스위치
76
선형/원형편파스위치 : 바꾸는데 몇초걸린다. / 그몇초 걸리는동안 송신펄스는 미방사
2초
77
점검신호스위치 : 00회전, 레이더 00시 활성화된다 - 0km -> 0km 전시된다(00 00색) - 0km -> 0km 전시된다(00 00색) 00모드에서는 사용을 하지 않는다
점검신호스위치 : 안테나회전, 레이더 빔방사시 활성화된다 - 5km -> 4km 전시된다(원형 노란색) - 10km -> 9km 전시된다(원형 노란색) 우천시모드에서는 사용을 하지 않는다
78
육안조준기 교전스위치 : 표적발견해서 00에게 알려주거나 , 추적이 양호한상태에서 00운용방법에서 사격통제콘솔에서 00을 지시할때 영상전시기 유닛 - 사거리 : 00에 의해 측정된 거리 방위각표시 : 00을 기준으로 한 방위각 00:영상전시기유닛 고장 00 : 야시카메라고장 00:헤드미러조립체 고장
육안조준기 교전스위치 : 표적발견해서 추적기에게 알려주거나 , 추적이 양호한상태에서 표적지시운용방법에서 사격통제콘솔에서 탄도계산을 지시할때 영상전시기 유닛 - 사거리 : 광학추적기에 의해 측정된 거리 방위각표시 : 포탑을 기준으로 한 방위각 peu:영상전시기유닛 고장 ccd : 야시카메라고장 ham :헤드미러조립체 고장
79
전압 경고등 샤시 저전압 경고등 :00 축전지, 00축전지 00V DC 미만일때 점등 / 00V DC이상일때 소등 고전압 경고등 : 00VDC이상일때 점등 / 미만일때 소등 체계 저전압 경고등 : 00V DC미만일때 점등 - 0분간 지속시 전원자동차단 00V DC미만일때 강제전원차단 - 00, 00, 00, 00 고전압 경고등 : 00V DC이상일때 점등 회로차단기 : 00,00,00,00,00
전압 경고등 샤시 저전압 경고등 :차체 축전지, 포탑축전지 20V DC 미만일때 점등 / 20V DC이상일때 소등 고전압 경고등 : 30VDC이상일때 점등 / 미만일때 점등 체계 저전압 경고등 : 20V DC미만일때 점등 - 3분간 지속시 전원자동차단 18V DC미만일때 강제전원차단 - 광학추적기, 육안조준기, 포탑구동장치, 사격통제콘솔 고전압 경고등 : 30V DC이상일때 점등 회로차단기 : 사격통제콘솔, 포드비상전원, 광학추적기, 육안조준기 포탑구동장치
80
냉방장치 보호 온도
14도
81
통과지점, 탑재차량 현 위치 기준으로 통과지점 진행방위각과 거리를 전시 - 00 통과지점 좌표 수정 / 64개까지 가능 - 자이로컴바스기준 정렬시 사용 - 00 진행방위각 수동갱신, 초기화시 사용 - 00
통과지점, 탑재차량 현 위치 기준으로 통과지점 진행방위각과 거리를 전시 - way point 통과지점 좌표 수정 / 64개까지 가능 - edit point 자이로컴바스기준 정렬시 사용 - nav init 진행방위각 수동갱신, 초기화시 사용 - maint
82
00지점, 탑재차량 현 00 기준으로 00지점 00과 00를 전시 - way point 00지점 00 수정 / 00개까지 가능 - edit point 00기준 정렬시 사용 - nav init 00 00갱신, 00시 사용 - maint
통과지점, 탑재차량 현 위치 기준으로 통과지점 진행방위각과 거리를 전시 - way point 통과지점 좌표 수정 / 64개까지 가능 - edit point 자이로컴바스기준 정렬시 사용 - nav init 진행방위각 수동갱신, 초기화시 사용 - maint
83
IGBT있는 구성품은? 또한 IGBT는 무엇인가요? 캐패시터는 무엇인가요?
방전모듈, 인덕터상자, 서보증폭기 IGBT는 전압이나 전류의 흐름을 조절하여 증폭 / 스위치역할 캐패시터 : 전기적 에너지를 저장하는 소자
84
방전모듈 동작 표시등 : 포탑00을 눌렀을때 (녹색) 과전압 표시등 : 00V DC 초과시 점등(적색) 저항고온표시등 : 00저항, 00저항, 00저항 r0,0 과열시 점등(적색) DRV고장표시등 : 00 드라이버, 00(00)고장시 점등(적색)
방전모듈 동작 표시등 : 포탑동작을 눌렀을때 (녹색) 과전압 표시등 : 200V DC 초과시 점등(적색) 저항고온표시등 : 초기충전저항, 방전저항, 제동저항 r1,2 과열시 점등(적색) DRV고장표시등 : 방전전력스위치 드라이버, 전력소자IGBT고장시 점등(적색)
85
방전모듈 00 : 포탑동작을 눌렀을때 (녹색) 00 : 200V DC 초과시 점등(적색) 00 : 초기충전저항, 방전저항, 제동저항 r1,2 과열시 점등(적색) 00 : 방전전력스위치 드라이버, 전력소자IGBT고장시 점등(적색)
방전모듈 동작 표시등 : 포탑동작을 눌렀을때 (녹색) 과전압 표시등 : 200V DC 초과시 점등(적색) 저항고온표시등 : 초기충전저항, 방전저항, 제동저항 r1,2 과열시 점등(적색) DRV고장표시등 : 방전전력스위치 드라이버, 전력소자IGBT고장시 점등(적색)
86
주간예방정비 : 항목은?
주간예방정비 : 조준감사, 조준경, 안테나검사, 안테나근무, 영상포착기 상부조립체 건조제습도표시기(10%) 영상포착기 덮개 및 외부창(아세톤, 렌즈용종이) , 육안조준기 외부창 및 접안렌즈 (영상전시기유닛 30초이내)
87
주전원공급기 시동간 주의 점 시동전 준비시간 : 시동 0회 초과금지 : 재시동시 00이 충분히 냉각후 (평상시 0분후) 재시동을 실시한다. 직류 / 교류 표시등 점등 :
주전원공급기 시동간 주의 점 시동전 준비시간 : 5~10초 시동 3회 초과금지 : 재시동시 제동저항이 충분히 냉각후 (평상시 5분후) 재시동을 실시한다. 직류 / 교류 표시등 점등 : 7~15초
88
유도탄포드 전원공급간 점검내용은? 4가지 운용자에 의한 점검내용 은?3가지
1. 전방마개조립체 2. 후방마개조립체 3. 유도탄발사통제기 4. 탄구속해제조립체 1. 전방마개조립체 2. 후방마개조립체 3. 탄구속해제조립체
89
한번써보자.
ㅇㅇ
90
전원차단 절차가 필요한 장비는 ? 4가지
1. 레이더 2추적기 3 사격통제콘솔 4 포탑구동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