暗記メーカー
ログイン
기본간호
  • 강희재

  • 問題数 31 • 7/23/2024

    記憶度

    完璧

    4

    覚えた

    13

    うろ覚え

    0

    苦手

    0

    未解答

    0

    アカウント登録して、解答結果を保存しよう

    問題一覧

  • 1

    움직이지 못하고 장기간 누워서 지내는 환자에게 나타날 수 있는 비뇨계의 변화로 옳은 것은?

    요정체 및 방광 내 잔뇨량 증가

  • 2

    장기간의 부동 환자가 상태가 좋아져 움직이려고 할 때 주의해야 할 것은?

    체위 변경으로 인한 저혈량 쇼크

  • 3

    4주 이상 절대안정을 취하고 있는 환자에게 나타날 수 있는 건강 문제로 옳은 것은?

    신장결석

  • 4

    장기간 누워 있는 부동 환자에게 나타날 수 있는 증상으로 옳은 것은?

    발처짐(foot drop)

  • 5

    불용성 위축이나 경축을 모두 예방할 수 있는 운동으로 옳은 것은?

    능동운동

  • 6

    견인 환자처럼 관절의 움직임이 없고, 근육의 길이 변화도 없지만 의식적인 근육의 긴장으로 에너지를 소비하는 능동적인 운동은?

    등척성 운동

  • 7

    석고붕대를 하고 있는 다리의 등척성 운동 방법으로 옳은 것은?

    다리의 근육을 수 초간 조였다가 푸는 것을 반복한다.

  • 8

    교통사고로 다리에 석고 붕대를 한 환자가 등척성 운동을 하고 있다. 기대되는 효과로 옳은 것은?

    정맥울혈 예방

  • 9

    70세 노인이 대퇴골절로 내부고정술을 받은 지 2일째 침대에서 대퇴사두근 등척성 운동을 실시하고 있다. 그 운동 목적으로 옳은 것은?

    근육의 탄력 유지

  • 10

    왼쪽 대퇴관절에 견인장치를 한 환자의 왼쪽 다리에 근육의 힘과 긴장도를 유지시키기 위한 간호로 옳은 것은?

    등척성(isometric) 운동

  • 11

    골다공증환자의 근육 수축 운동으로 옳은 것은?

    등척성 운동

  • 12

    석고 붕대를 하고 있는 환자에게 하루 4회씩 등척성 운동을 하도록 교육한 경우 간호조무사가 기대할 수 있는 목표가 아닌 것은?

    관절 가동성 향상

  • 13

    등척성 운동에 해당되는 것은?

    벽밀기

  • 14

    침대에 누워 있는 환자에게 근력을 유지, 증가시켜 주기 위해 가장 격려해 줄 수 있는 운동은?

    등장성 운동

  • 15

    능동적 운동 범위(관절 가동 범위) 운동에서 팔꿈치를 구부려서 두 뼈 사이의 각도를 줄이는 움직임은?

    굴곡

  • 16

    머리와 목의 능동적 운동 범위(관절 가동 범위) 운동에서 과신전에 해당되는 것은?

    3번

  • 17

    다음과 같은 목관절 움직임에 해당되는 것은?

    측방 굴곡

  • 18

    다음의 어깨관절 움직임에 해당되는 것은?

    외회전

  • 19

    능동적 운동 범위(관절 가동 범위) 운동에서 어깨 운동 범위(관절 가동 범위) 운동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회내

  • 20

    앞을 똑바로 보는 자세에서 턱을 가슴 쪽으로 당기는 목의 관절 움직임으로 옳은 것은?

    굴곡

  • 21

    어깨 외전 운동을 시킬 때 수동으로 운동 보조 시 운동 범위(관절 가동 범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팔꿈치와 손목을 잡고 몸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들어올린다.

  • 22

    어깨의 능동적 운동 범위(관절 가동 범위) 운동에서 굴곡에 해당되는 것은?

    5번

  • 23

    전완부의 운동 범위(관절 가동 범위)로 옳은 것은?

    회외

  • 24

    다음 중 능동적 고관절의 운동 범위(관절 가동 범위) 운동에서 외전 운동에 해당하는 그림은?

    4번

  • 25

    무릎의 능동적 운동 범위(관절 가동 범위) 운동에서 신전에 해당되는 그림은?

    2번

  • 26

    손목의 능동적 운동 범위(관절 가동 범위) 운동에서 과신전에 해당되는 그림은?

    1번

  • 27

    능동적인 관절의 정상 가동범위로 옳은 것은?

    무릎관절굴곡 120°

  • 28

    수동적 운동 범위(관절 가동 범위) 운동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한 쪽을 끝낸 뒤 다른 쪽을 해준다.

  • 29

    수동적 운동 범위(관절 가동 범위) 운동 방법으로 옳은 것은?

    운동 범위(관절 가동 범위) 이상으로 무리하게 움직이지 않는다.

  • 30

    의식이 없는 환자에게 수동 운동 범위(관절 가동 범위) 운동을 실시할 경우 어깨운동 방법으로 옳은 것은?

    팔을 몸통으로부터 멀어지게 움직였다가 다시 몸통 옆에 놓는다.

  • 31

    수동적 운동 범위(관절 가동 범위) 운동을 도울 때 주의해야 할 사항은?

    운동시킬 관절 옆에 가까이 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