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다음중 뇌하수체 후엽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은?
옥시토신
2
뇌하수체가 항이뇨호르몬 (ADH)을 생성하지 못해서 발생할 수 있는 내분비 장애는 무엇인가?
요붕증
3
다음중 항이뇨호르몬 결핍시 나타나는 증상은?
요붕증
4
다음의 내분비 장애 중 다뇨증과 다음증을 볼 수 없는 것은?
부갑상선 기능항진증
5
T3, T4의 혈액 수치를 측정하여 그 기능을 평가할 수 있는 기관은?
갑상선
6
애디슨병의 또다른 명칭은?
부신피질기능저하증
7
다음 중 목에 위치한 내분비샘으로, 뇌하수체의 신호를 받아 요오드에 의해 만들어지는 호르몬을 분비하여, 우리몸의 기초대사와 성장 발육을 조절하는 기관의 기능이 과도하여, 다음, 다뇨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의 명칭으로 옳은 것은?
갑상선 기능항진증
8
다음중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이 아닌 것은?
칼시토닌
9
다음중 고양이에서 체중감소와 식욕증가를 유발하는 내분비 질환은 무엇인가?
부신피질 기능항진증
10
다음중 갑상선 기증저하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성욕증가로 인한 마운팅이 증가한다.
11
다음중 체중증가, 서맥, 운동불내성 및 강아지의 무기력을 증상으로 하는 내분비 질환은?
갑상선기능 저하증
12
다음중 무기력, 비만, 경미한 빈혈, 불임 및 탈모증을 보이는 동물의 혈액화학분석을 통하여 그 기능을 평가할 수 있는 기관은?
갑상선
13
다음중 췌장의 베타세포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은?
인슐린
14
다음중 포도당 (glucose)의 세포내 유입과 대사에 관여하는 호르몬은?
인슐린
15
십이지장과 위에 인접하고, 외분비 기능과 내분비 기능을 모두 가진 장기에 다양한 원인에 의해 질환이 발생하여 인슐린이 부족하거나 인슐린 저항성이 생겨 나타나는 질병의 이름은?
당뇨병
16
당뇨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혈당의 농도가 급격히 내려간다.
17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가장 활발하게 분비하는 기관은?
부신
18
다음중 신장의 머리쪽에 위치하며, 뇌하수체에서 분비된 자극호르몬에 의해 스테로이드 호르몬을 분비하는 기관의 호르몬이 과도하게 분비하여 발생하는 질병의 명칭으로 옳은 것은?
쿠싱증후군
19
다음중 개의 체중증가, 근육약화, 다뇨증, 다음증, 피부와 모발의 이상, 그리고 빵빵한 배 등의 임상증상을 나타내는 내분비 질환은?
부신피질 기능 항진증
20
오늘 내원한 10세의 말티즈의 보호자는 아이가 평소보다 물을 많이 마시고, 소변을 많이 보며, 헥헥거리는 것을 이야기 하였습니다. 신체검사시에 배가 불룩 나왔으며, 양측성으로 탈모를 보였습니다. 의심되는 질병은 무엇일까요?
부신피질 기능항진증
21
부신피질 기능항진증과 관련된 설명이 아닌 것은?
T3, T4의 농도가 증가한다.
22
8세의 개가 최근 피부병과 살이 찌는 히스토리로 내원하였으며, 혈액검사 상에서 T3, T4의 수치가 내려간 것이 확인 되었다. 이 개에서 예상되는 것으로 틀린 것은?
부신피질 기능 저하로 체중증가가 있을 것이다.
23
갑상선 기능저하증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비만, 불임, 무기력, 탈모가 발생할 수 있다.
24
13세의 고양이에서 최근 평소보다 물과 밥을 더 많이 먹고, 식욕은 증가한 것으로 보이나 눈에 띄는 체중감소와 활동량의 증가, 공격성의 증가를 보인다고 하였다.해당 고양이에게서 의심해 볼 수 있는 질병은?
갑상선기능 항진증
25
갑상선기능 항진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갑상선기능 항진증은 중년령의 개에서 다발한다.
26
부신피질기능항진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인슐린이 부족하거나 인슐린 저항성이 생기는 질병이다.
27
개에서 다음, 다뇨가 발생하고, 혈당이 높으며, 체중이 감소하는 질병이 발생하였다. 관련된 설명으로 틀린것은?
갑상선 기능저하로 인해 체중이 감소하였을 것이다.
28
당뇨병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것은?
합병증에 유의하여야 하며, 인슐린을 주사하여 관리한다.
29
다음중 쿠싱증후군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는 질병명은?
부신피질 기능항진증
30
다음중 예방접종 (백신)의 원리를 설명할 수 있는 것은?
인공 능동면역
31
아래의 제품은 어떤 동물을 위한 제품일까?
개
32
아래의 제품은 어떤 동물을 위한 제품일까?
고양이
33
다음중 고양이 3종백신으로 예방할 수 없는 질병은?
클라미디아 (Clamydia)
34
면역의 분류와 특징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후천면역 – 인공능동면역 – 인공적인 백신을 주사, 면역생성
35
백신의 종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불활화 백신 : 면역결핍 환자에서 병원체에 의한 발병 가능성 있음
36
백신스케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신생동물의 경우 면역력이 부족하므로 출생직후 바로 접종한다.
37
개 종합백신 항목중 인수공통 감염병은?
개 렙토스피라증
38
강아지 생후 초기1년동안 예방접종중에서, 접종권장 회수가 가장 많은 백신은?
종합백신 (DHPPL)
39
개 DHPPL 백신과 관련된 감염병이 올바르게 나열된 것은?
디스템퍼, 전염성간염, 파보, 파라인플루엔자, 렙토스피라
40
다음중 개 종합백신 (DHPPL)으로 예방할 수 없는 질병은?
개 허피스 바이러스 증 (Canine Herpes Virus)
41
다음 중 고양이 5종 종합백신으로 예방할 수 없는 질병은?
고양이 전염성 복막염 (Feline infectious Peritonit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