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우량한 종자의 채집을 목적으로 지정한 숲은?
채종림
2
산림갱신을 위하여 대상지의 모든 나무를 일시에 베어내는 작업법은?
개벌작업
3
다음이 설명하고 있는 줄기접 방법으로 옳은 것은? <줄기접 시행순서> 1. 서로 독립적으로 자라고 있는 접수용 묘목과 대목용 묘목을 나랍히 접근 2. 양쪽 묘목의 측면을 각각 칼로 도려냄 3. 도려낸 면을 서로 밀착시킨 상태에서 접목 끈으로 단단히 묶음
기접
4
낙엽이 쌓이고 분해된 성분으로 구성된 토양 단면 층은?
유기물층
5
임지 보육상 비료목으로 적당한 수종은?
오리나무
6
산성토양을 중화시키는 방법으로 가장 표과가 빠른 것은?
석회를 사용한다.
7
다음 설명하는 용어로 옳은 것은? 발아된 종자의 수를 전체 시료종자의 수로 나누어 백분율로 표시한다.
발아율
8
종자의 결실량이 많고 발아가 잘 되는 수종과 식재 조림이 어려운 수종에 대하여 주로 실시하는 조림 방법은?
직파조림
9
우리나라의 산림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난대림, 온대림, (아)한대림으로 구분된다.
10
곰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암수딴그루이다.
11
한 나무에 암꽃과 수꽃이 달리는 암수한그루 수종은?
상수리나무
12
접목을 할 때 접수와 대목의 가장 좋은 조건은?
접수는 휴면상태이고, 대목은 생리적 활동을 할 때
13
군상 식재지 등 조림목의 특별한 보호가 필요한 겅우 적용하는 풀베기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둘레베기
14
갱신기간에 제한이 없고 성숙 임목만 선택해서 일부 벌채하는 것은?
택벌작업
15
다음 중 생 가지치기로 인한 부후의 위험성이 가장 높은 수종은?
벚나무
16
윤벌기가 80년이고 벌채구역이 4개인 임지에서의 회귀년의 기간으로 알맞은 것은?
20년
17
인공조림과 천연갱신의 설명을 옳지 않은 것은?
인공조림은 기후, 풍토에 저항력이 강하다.
18
밤나무를 식재면적 1ha에 묘목간 거리를 5m로 정사각형 식재할 때 소요되는 묘목의 총 본수는?
400본
19
음수 갱신에 좋으며 예비벌, 하종벌, 후벌의 3단계로 모두 벌채되고 새로운 임분이 동령림으로 나타나게 하는 작업종으로 옳은 것은?
산벌작업
20
종자를 미리 건조하여 밀봉 저장할 때 다음 중 가장 적정한 함수율은?
약 5~10%
21
묘목의 뿌리가 2년생, 줄기가 1년생을 나타내는 삽목묘의 연령표기가 옳은 것은?
1/2묘
22
곰속 1 -1 묘의 지상부 무게 27g, 지하부 무게 9g일 떄 T/R율은?
3.0
23
일정한 규칙과 형태로 묘목을 식재하는 배식설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정육각형 식재
24
조림지에 침입한 수종 등 불필요한 나무 제거를 주목적으로 하는 작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어린나무 가꾸기
25
점파로 파종하는 수종으로 옳은 것은?
은행나무 호두나무
26
곤충의 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대부분의 곤충은 배에 각 1쌍씩 모두 6개의 다리를 가진다.
27
수정된 난핵이 분열하여 각각 개체로 발육하는 것으로서 1개의 수정난에서 여러개의 유충이 나오는 곤충의 생식방법은 무엇인가?
다배생식
28
산림환경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혼효림은 구성 수종이 다양하여 특정병해의 대면적 산림피해가 발생하기 쉽다.
29
잣나무털녹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송이풀 제거작업은 9월 이후 시행해야 효과적이다.
30
볕데기 현상의 원인은 무엇인가?
급격한 온도변화
31
어린 묘가 땅 위에 나온 후 묘의 윗부분이 썩는 모잘록병의 병증을 무엇이라 하는가?
수부형
32
솔나방 발생 예찰(유충 밀도조사)에 가장 적합한 시기는?
10월 중
33
솔잎혹파리는 일반적으로 1년에 몇 회 발생하는가?
1회
34
대기오염에 의한 급성피해증상이 아닌 것은?
엽맥 황화현상
35
아황산가스에 강한 수종만으로 올바르게 묶인 것은?
은행나무, 향나무, 가시나무
36
향나무 녹병균이 배나무를 중간숙주로 기생하여 오렌지색 별무늬가 나타는 시기로 가장 옳은 것은?
6월 ~ 7월
37
솔나방의 월동형태와 월동장소로 짝지어진 것 중 옳은 것은?
유충 - 낙엽 밑
38
기상에 의한 피해 중 풍해의 예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묘목 식재 시 밀식 조림한다.
39
성충으로 월동하는 것끼리 짝지어진 것은?
소나무좀, 오리나무잎벌레
40
기주교대를 하는 수목병이 아닌 것은?
오동나무 탄저병
41
도끼날의 종류별 연마 각도로 옳지 않은 것은?
장작패기용(침엽수) : 25~30
42
기계톱 체인의 깊이제한부 역할은?
절삭 두께를 조절한다.
43
다음중 양묘용 장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닌 것은?
지조결속기
44
체인톱의 안내판 1개가 수명이 다하는 동안 체인은 보통 몇 개 사용할 수 있는가?
3개
45
다음 중 기계톱의 체인을 돌려주는 동력전달장치는?
원심클러치
46
기계톱의 연료와 오일을 혼합할 때 휘발유 15리터이면 오일의 적정량은 얼마인가? (단, 오일은 특수오일이 아님)
0.6리터
47
엔진이 시동되지 않을 경우 예상되는 원인이 아닌 것은?
오일탱크가 비어 있다.
48
기계톱 최초 시동 시 쵸크를 닫지 않으면 어떤 현상 때문에 시동이 어렵게 되는가?
공기 내 연료비가 낮기 때문이다.
49
기계톱 작업자를 위한 안정장치로 옳지 않은 것은?
스프로킷 덮게
50
기계톱의 사용 시 오일함유비가 낮은 연료의 사용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옳은 것은?
엔진 내부에 기름칠이 적게되어 엔진을 마모시킨다.
51
다음 중 집재용 장비로만 묶어진 것은?
윈치, 스키더
52
기계톱 출력의 표시로 사용되는 단위로 옳은 것은?
HP
53
체인톱니의 피치(pitch)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리벳 3개의 간격을 2등분하여 표시한 것
54
기계톱을 이용한 벌목작업에서 안전상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쐐기는?
철재 쐐기
55
4행정 엔진과 비교할때 2행정 엔진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무게가 가볍다.
56
기계톱에 사용하는 연료는 휘발유 20리터에 휘발유와 오일은 25 : 1의 비율로 혼합하려고 한다. 다음 중 오일의 양은 얼마인가?
0.8리터
57
4행정 싸이클 기관의 작동순서로 옳은 것은?
흡입 - 압축 - 폭발 - 배기
58
우리나라 여름철에 기계톱 사용 시 혼합유 제조를 위한 윤활유 점도가 가장 알맞은 것은?
SAE30
59
벌목작업 시 다른 나무에 걸린 벌채목의 처리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기계톱을 이용하여 토막낸다.
60
다음 중 벌도, 가지치기 및 조재작업 기능을 모두 가진 장비는?
하베스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