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수사와 수 관형사의 차이는?
수사는 뒤에 조사가 오고, 수 관형사는 조사 없이 뒤에 오는 체언을 수식
2
여러 종류의 관형사가 있을 때, 가장 맨 앞에 쓰이는 부사는?
지시관형사
3
앞말이 일정한 자격을 갖게 하는 조사는?
격조사
4
"이/가, 께서, 에서" 는 어떤 격조사 인가?
주격 조사
5
'형은 곧 대학생이 된다' 에서 보어와 보격 조사는?
대학생, 이/가
6
부사격 조사가 아닌 것은?
의
7
보조사와 접속 조사의 각각의 의미는?
보조사는 앞말에 특별한 의미를 덧붙여 주는 조사이고, 접속 조사는 두 단어를 같은 자격으로 이어주는 조사
8
보조사가 아닌 것은?
와/과, (이)랑/나, 하고
9
감정 감탄사와 입버릇 감탄사의 차이는?
감정 감탄사는 상대방을 의식하지 않고 감정을 표출함, 입버릇 감탄사는 입버릇이나 의미없는 소리를 나타냄
10
조사끼리 결합할 수 있는가?
O
11
가변어가 아닌 것은?
동사, 형용사, 서술격 조사
12
형용사와 관형사의 유의점은?
체언을 꾸미지 않아도 어떤 성질/상태의 뜻이 있는 단어면 형용사고, 그렇지 않고 체언을 수식하며 체언의 특징을 나타내면 관형사다
13
'텅 빈 강의실'에서 '빈'이 형용사가 아니고, '붉게 물든'이 관형사가 아닌 이유는?
빈은 동사인 비다 의 관형사형이다. 붉게는 형용사고 물든은 동사인 물들다 의 관형사형이다
14
형용사가 관형사형으로 쓰이면 형용사인가, 관형사인가?
형용사
15
형태소의 뜻은?
뜻을 가진 가장 작은 말의 단위
16
형태소를 분류하는 기준과 종류는?
자립성 유무 -> 자립/의존형태소 실질적 의미 유무 -> 실질/형식형태소
17
다음 중 틀린 것은?
조사는 홀로 쓰일 수 없는 형식 형태소라 단어로 인정되지 않는다
18
어근의 뜻은?
단어의 실질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단어의 중심부분
19
어간의 뜻은?
용언이 활용될 때 형태가 변하지 않는 부분
20
접사의 뜻과 종류는?
띄워쓰기 없이 어근의 앞이나 뒤에 붙어서 의미를 강조하거나 다른 의미를 더하는 부분, 접미사/접두사.
21
한 단어를 일차적으로 둘 로 나누었을 때 나누어지는 두 요소는?
단어의 직접 구성 요소
22
다음 중 혼자서만 다른 성질인 것은?
단일어(하나의 어근)
23
반의어에 대한 옳은 설명이 아닌 것은?
비슷한 의미를 가지므로 서로 교체해서 사용할 수 있으나, 문맥상 안되는 경우도 있다
24
문법 단위를 전부 고르시오
어절, 절, 구, 문장
25
어절의 특성은?
문장 성분의 가장 작은 단위이고 띄어쓰기 단위와 일치한다
26
구와 절의 공통점 및 차이점은?
구와 절 모두 두 개 이상의 어절이 모여 단어의 기능을 하는 것이고, 절은 구와 달리 어절이 주어와 서술어의 관계를 갖췄다
27
문장 성분이 아닌 것은?
품사
28
관형어의 종류가 아닌 것은?
독립어
29
부사어가 아닌 것은?
보어
30
겹문장과 홑문장의 차이는?
겹문장은 한 문장에서 주어와 서술어의 관계가 두 번 이상 나타나고(주어 1개와 서술어 2개, 주어 2개와 서술어 1개도 포함), 홑문장은 한 번 나타남
31
안은문장의 유형이 아닌 것은?
형용사절을 가진 안은문장
32
대등하게 이어진문장의 관계를 나타낸 것읏?
나열, 선택, 대조
33
조건,원인,양보,의도,배경,시간 의 관계를 나타내는 겹문장은?
종속적으로 연결된 이어진문장
34
종결 표현의 기능은?
화자의 의도를 드러내고 문장의 종류를 결정한다(문장의 종류는 의미나 기능이 아닌 문장의 형식이 결정).
35
다음 중 주체 높임과 관련 없는 것은?
객체 높임, 상대 높임
36
피동 표현의 실현 방법은?
피동 접미사와 결합하거나(파생적 피동), -아/-어지다(통사적 피동)와 결합
37
피동 접미사 이,히,리,기 또는 되다에 아/어지다를 겹쳐쓰는 문법에 어긋난 표현의 이름은?
이중 피동
38
주동 표현에 대응되는 표현은?
사동 표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