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15세 여자가 물체가 여러 개로 보인다고 왔다. 신체진찰에서 앞을 보라고 했을 때 사진과 같은 눈동자가 보였고, 그 원인이 뇌줄기신경아교종이라는 것을 알아내었다. 이 종양에 의해서 손상 받은 뇌신경은?
E
2
속귀의 구조 중 바깥 림프액이 존재하는 공간은?
고실계단
3
속귀에 있는 달팽이의 단면이다. 청각을 담당하는 별표 부분의 이름은?
나선기관
4
11세 남아가 맛을 느끼는 감각에 이상이 생겨 병원에 왔다. 혀 앞쪽의 넓은 부분에서 맛감각은 소실되었으나, 통증감각과 혀운동, 혀의 뒷부분에서 맛 감각은 정상이다. 이 환자의 미각 손실의 원인으로 추정되는 신경은?
CN7 얼굴신경
5
어깨관절의 회돌림에 작용하는 근육이 아닌 것은?
큰마름근
6
목정맥구멍 속에 위치한 신경들이 압박되는 경우 생길 수 있는 증상은?
발성 및 음식물 삼킴 장애
7
17세 남자가 팔꿈치를 다져 병원에 왔다. 엄지를 모으지 못하였다. 단순방사선촬영검사에서 위팔뼈 안쪽위관절융기의 골절을 확인하였다. 손상이 의심되는 신경은?
자신경
8
위팔뼈의 외과목이 골절되었을 때 손상될 수 있는 구조물은?
나, 라
9
2세 남아가 38도가 넘는 고열로 응급실에 왔다. 해열제를 투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열이 떨어지지 않아 뇌수막염을 의심하고 척수천자를 시행하였다. 바늘 끝이 위치하고 있는 공간과 직접 연결되어 있는 뇌 막사이공간은?
거미막밑공간
10
눈확 안에 분포하는 신경 중 부교감신경과 관련된 것은?
눈돌림신경
11
다음 중 손목굴증후군에서 나타나는 증상들로 맞게 짝지어진 것은?
가, 나, 다
12
간접샅굴 탈장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조합은?
가, 다
13
60세 여자에게 수술 중 소변배출을 위해 폴리도뇨관을 장치하려고 한다. 관을 끼워 넣는 곳은?
E
14
식도와 위의 이행부, 위와 십지이장의 이행부, 항문관 조임근 부위에는 장관의 근육층 중 내돌림층이 두꺼워져 있다. 큰창자의 바깥세로근육층은 세 부분에서 두꺼워져 세 개의 긴 띠모양으로 두드러지게 관찰된다. 작은창자에서는 볼 수 없는 이 구조물의 명칭은?
잘록창자띠
15
47세 남자가 혈변과 복수가 생겨 병원에 왔다. 과거력에서 만성B형 간염이 있었으나, 치료는 받지 않았다. 간생검 결과 광범위한 간실질의 손상, 섬유성증식 및 간세포의 재생결절혀성이 관찰되었다. 다음 중 이러한 간의 변화에 의해 혈관 내 압력이 증가되는 혈관은?
지라정맥
16
18세 남자아이가 철봉에서 떨어져서 오른팔 위팔뼈가 부러졌다. 손목을 굽힐 수는 있지만 펼 수 없었고, 감각은 손등 가쪽부분에서 사라졌다. 이 환자의 손상부위와 손상된 신경을 짝지은 것으로 맞는 것은?
위팔뼈 외과목 - 노신경
17
41세 여성이 오른쪽 넓적다리 뒤쪽의 통증 때문에 병원에 왔다. 2일 전 양쪽 다리를 뻗고 바닥에 앉아 손을 발끝에 대는 스트레칭을 하던 도중 뒷다리에서 통증이 느껴졌다. 오른쪽 넓적다리 뒤쪽에서 통증이 느껴졌으며 이 부위에 며칠 동안 까만 멍이 들었고, 걷기 불편했다. 다음 중 손상 되었을 것으로 예상되는 근육의 시작 부위는?
궁둥뼈결절
18
31세 여자가 출산 이후 하지에 통증과 마비를 호소하였다. 출산 중에 태아의 머리가 산모의 신경을 압박하여 lumbosacral plexopathy를 일으킨 것으로 생각된다. 산모의 출산시 압박을 받았을 가능성이 높은 신경은?
엉치신경얼기
19
64세 남자가 소변이 자주 마렵고, 뜸을 들여야 소변이 나오는 증상, 아랫배에 힘을 주어야 소변이 나오는 증상 및 소변이 가늘고, 잔뇨감이 있다하여 병원에 내원하였다. 환자의 직장수지검사상 결절이 만져졌으며, 전립선 조직생검을 시행한 결과 전립선 비대증으로 진단이 되었다. 전립샘비대증 치료를 위해 약물요법을 받고 호전되었으나 한 달 정도 지나 소변보기가 다시 힘들고, 혈뇨가 나와 내원하였다. 다음 중 의사가 경요도전립샘적출술을 하려고 할 때 전립샘의 위치 파악에 도움이 되는 구조물로 사정관이 열리는 부위는?
요도둔덕
20
63세 여자가 질출혈을 호소하며 병원에 왔다. 질경검사에서 가벼운 자극에도 쉽게 출혈이 발생하였다. 자궁목 조직생검 결과 암세포가 발견되었고, 골반컴퓨터단층촬영(CT)에서 림프절 전이가 관찰되었다. 의사는 자궁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환자가 넓다리 모음근의 통증과 경련, 넙다리 안쪽의 감각마비를 호소한다. 이때 손상이 의심되는 신경은?
폐쇄신경
21
20세 남자가 모터사이클을 타다 중심을 잃고 사진과 같은 자세로 도로에 떨어졌다. 목과 어깨사이가 과도하게 당겨졌다. 이로 인해 팔신경얼기의 위쪽 뿌리들이 손상되었다면 저하될 수 있는 움직임은?
위팔 벌림, 아래팔 굽힘
22
45세 여자가 교통사고를 당해 왼쪽 아홉째와 열째갈비뼈가 부러져 복강내출혈이 생겼다. 검사과정에서 진행성저혈압이 관찰되었고 저혈량쇼크로 의식을 잃었다. 손상이 의심되는 장기는?
지라
23
Sphenoid bone body양쪽에 위치하며, sella turcia의 앙쪽에 위치하는 구조물로 cerebral vein과 ophthalmic vein, emissary vein등에서 피가 모여드는 구조물은 무엇인가?
해면정맥굴
24
빙판에 미끄러져 엉덩이 쪽에 멍이 든 64세 여성이 병원을 내원하였다. X-ray 검사상 볼기뼈절구의 위뒤쪽 모서리가 골절된 경우 관여된 뼈는?
엉덩뼈와 궁둥뼈
25
뇌의 동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중간대뇌동맥은 대뇌동맥고리를 형성하는데 관여한다.
26
61세의 환자가 편도를 절제한 후, 혀 뒤쪽 1/3의 맛감각을 잃었다. 가장 손상을 받았을 가능성이 큰 신경은?
혀인두신경
27
식도의 구조에 대한 다음 설명 중 맞는 것은?
위세로칸에서는 앞쪽이 기관과 접하고 뒤세로칸에서는 앞쪽이 심장(막)뒷면과 접한다.
28
오른 허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심장패임으로 인한 혀구역이 형성되어 있다.
29
32세 산모가 자연 분만 도중 골반가로막이 손상되었다. 손상될 가능성이 가장 큰 근육은?
항문올림근
30
사람의 발생과정 중 2차 난모세포가 형성된 시기는?
배란 직전
31
머리 회전에 따른 평형감각을 감지하는 기관은?
반고리관
32
내부에 바깥림프가 들어있는 부분은?
안뜰계단
33
35세 교사가 수업 중 반복해서 보드마커를 떨어뜨리는 증상으로 병원에 왔다. 환자는 2주전 길거리에서 서있다가 달려가는 행인에게 뒤에서 부딪혀 머리가 뒤로 강하게 젖혀진 적이 있다고 하였다. 모고가 등의 뭉친 듯 한 느낌 외엔 큰 불편함이 없었다고 했다. 가운데와 새끼손가락을 만지는 것을 느낄 수 있었으나 엄지손가락을 만지는 느낌을 잘 느낒 못하였다. 만일 목척추사이 원반탈출증이 원인이라면 병변 부위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곳은?
C5~C6
34
직선 가속에 따른 평형감각을 감지하는 기관으로 맞게 짝지어진 것은?
타원주머니, 둥근주머니
35
21세 남자가 야구경기 도중 왼쪽 무릎관절의 아래가쪽에 심각한 충격을 받아 발처짐이 관찰되었다. 종아리 X선 사진은 다음과 같다 손상이 예상되는 신경의 이름은?
온종아리신경
36
21세 남자가 자전거를 타다가 넘어져 오른쪽 머리를 바닥에 부딪쳐 응급실에 내원하였다. 머리 부딪친 부위에 찰과상 및 출혈이 있다가 몇 분 후 지혈되었으나 30분 후에 의식을 잃고 쓰러졌다. 머리 부위 전산단층촬영 결과는 다음과 같다. 출혈이 일어났을 가능성이 가장 높은 혈관은?
중간뇌막동맥
37
24세 남자가 축구하며 골키퍼 역할을 수행하던 도중 날아오는 공을 막으려다 골포스트에 왼쪽 윗팔 부분을 강하게 부딪쳤다. 이후 손목이 처지는 현상이 생겼고 손의 감각에 이상이 왔다. 응급실에서 X선 사진은 아래사진과 같았다. 이때 손상될 수 있는 신경은?
노신경
38
55세 여자가 2주일 전부터 물건을 들면서 배에 힘을 주거나 하면 소변이 샌다고 병원에 왔다. 검사 결과 요도조임근 기능 부전이 원인인 요실금으로 진단되었다. 바깥요도조임근을 지배하는 신경은?
음부신경
39
27세 남자 프로골퍼가 훈련 도중 왼쪽 엉덩이부터 허벅지 뒷면으로 전해지는 통증과 저림을 느꼈다. 신체검사에서 궁둥구멍근의 뭉침으로 유발된 궁둥구멍증후군이 의심되었다. 이때 궁둥구멍근의 바로 아래를 통과하는 신경의 압박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근육은?
반힘줄근
40
47세 남자가 4개월 전부터 왼쪽 코에서 코피가 자주 나고 코가 자주 막히며, 왼쪽눈을 뜨는 것이 불편하여 병원에 왔다. 최근에는 자주 두통에 시달린다고 한다. 뇌 자기공명영상에서 침습성 뇌하수체샘종이 나비굴까지 확산된 것을 알 수 있었다(사진 화살표). 침습 받은 구조는?
터키안장
41
움직임이 적고 뼈사이 공간이 없으며 연골 성분으로 이루어진 관절은?
척추사이원반
42
다음은 어깨뼈의 등면이다. 그림 A 부분의 손상이 있을 때 마비가 일어날 수 있는 근육은?
가시위근
43
척골신경(자신경)의 지배를 받는 근육으로, 다음 설명에 맞는 손 근육은?
등쪽뼈사이근
44
심장의 동맥분포가 정상일 경우, 왼심장동맥의 휘돌이가지가 혈전에 의해서 막히게 되면 어느 부위의 심근의 혈액공급에 장애가 오겠는가?
왼심실의 뒷부분
45
직장과 항문의 혈액공급을 하는 동맥혈관과 그 주행으로 맞게 짝지어진 것은?
아래창자간 동맥에서 나온 위곧창자동맥
46
미주신경이 손상되었을 때 영향을 받는 잘록창자는?
오름잘록창자와 가로잘록창자
47
허파와 가슴막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허파신경얼기의 교감신경은 기관지 근육을 이완시켜 기관지를 확장시키고 허파혈관을 수축시키고 기관지샘의 분비를 감소시킨다.
48
53세 여성이 손 저림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주부로 최근에 이사 및 집 정리 등으로 손목을 많이 사용하였다고 하였다. 증상은 약 두 달 전부터 시작되었으며 손목이 저리고 손끝에 전기가 흐르는 듯한 느낌이 있었으며 손바닥과 엄지, 검지, 중지, 약지의 절반 정도에 감각이 무뎌짐을 호소하였다. 환자의 증상과 관련된 공간을 지나는 구조물로 맞게 짝지워진 것은?
정중신경, 장모지굴근건, 심지굴근건
49
55세 남자가 소변을 자주 누고,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다고 왔다. 전립샘에 문제가 의심되어 손가락으로 전립샘 가까이에서 촉진하려고 한다. 적절한 검사 위치는?
곧창자 속
50
15세 여자가 12시간 동안 지속된 배의 통증으로 병원에 왔다. 통증은 배꼽주위에서 시작되어 배의 오른아래사분역(RLQ)으로 옮겨갔으며, 오른옆구리부위에 압통이 있었다. 급성막창자꼬리염으로 진단하고 절제술을 하기 위해 개복하였으나, 막창자꼬리가 관찰되지 않았다. 막창자꼬리의 위치를 찾기 위한 방법은?
막창자에서 잘록창자띠(teniae coli)를 따라가기
51
46세 남자가 최근 땀을 많이 흘리고, 잠 잘 때 코를 심하게 골며, 무릎과 발목이 아파서 왔다. 종종 두통에 시달리기도 한다. 육체노동을 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손가락 관절이 커져 결혼반지가 맞지 않았고, 이전에 신었던 신발도 작아서 맞지 않았다. 혈액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호르몬 검사에서 특정 호르몬의 수치가 비정상적으로 높았다. 뇌 자기공명영상에서 뇌하수체 비대가 확인되었다. 기능 이상이 생긴 세포는?
성장자극세포(somatotropes)
52
40세 남자가 6개월간 지속된 속쓰림과 복통으로 병원에 왔다. 갑자기 격렬한 통증을 호소하고, 선홍색 피를 토하며 응급 위내시경을 시행하였다. 검사결과 위궤양 출혈로 진단되어 응급으로 온간동맥을 묶었다. 이 때 혈류가 차단되는 혈관들은?
오른위그물동맥과 오른위동맥
53
30세 남자가 자전거 사고 후, 변덕스럽고 공격적이며 참을성 없는 사람이 되었다. 그림에서 손상된 부위는?
C
54
45세 남자가 직장에서 발표를 하던 중 갑자기 의식을 잃어서 병원에 왔다. 뇌영상검사 사진이다. 왼쪽 대뇌 부위(화살표)에 광범위한 경색이 확인된다. 나타날 수 있는 임상증상은?
운동실어증
55
발생 8.5주의 사람 뇌와 뇌실의 발생을 나타낸 그림이다.(A : 관상면, B : 정중시상면). 화살표가 가리키는 영역(초록색)에서 발달하는 핵은?
적색핵
56
속요도조임근의 수축을 억제하여 배뇨를 촉진하는 신경은?
골반내장신경
57
볼거리로 진단받은 9세 남아가 입마름을 호소하였다. 영상검사 결과 귀밑샘의 부종과 염증 소견이 관찰된다. 증상과 관련 있는 부교감신경의 신경절은?
귀신경절
58
16세 남자가 전동킥보드를 타다가 넘어진 후, 갑자기 다리에 감각이 사라지는 증상이 나타났다. 뇌줄기 단면에서 증상과 관련있는 구조물은?
D
59
자기공명영상 사진에서 시상은?
D
60
60세 남자가 갑자기 발생한 시야결손으로 병원에 왔다. 시야검사에서 왼쪽 시야의 같은쪽 반맹이었다. 그림에서 손상된 부분은?
5
61
빨간 점선에서 관상 절단한 사람 뇌 단면 사진과 해당 단면의 모식도이다. 화살표로 가리킨 구조는?
맥락얼기
62
29세 여자가 등과 가슴 부위의 심한 통증으로 병원에 왔다. 진찰 결과, 왼쪽 등에서 젖꼭지까지 대상포진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발진이 관찰되었다. 바이러스가 존재하는 위치는?
Dorsal root of T4
63
뇌섬엽을 덮고 있는 이마덮개와 마루덮개를 제거하여 뇌섬엽을 노출하였다. 위가쪽에서 보았을 때, 관자엽 윗면에서 가로로 달리는 이랑 A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영역은?
일차청각영역
64
60세 남자가 교통사고로 왼쪽 눈 주변을 크게 부딪혀서 응급실에 왔다. X선 사진에서 눈확을 이루는 뼈의 골절이 확인된다. 진찰 결과 그림처럼 왼쪽 위눈꺼풀이 쳐지고, 눈알은 아래쪽과 바깥쪽을 향한 채 움직이지 않으며 동공은 확장되어 있다. 손상 가능성이 가장 큰 신경은?
3번 뇌신경
65
속귀의 모식도이다. 안뜰창으로 전달된 역학에너지는 파동에너지로 바뀌어 A를 따라 진행하다 C로 전달되어 바닥막을 진동시킨다. 바닥막 위에 놓여 있는 D 세포의 섬모가 B에 닿으면서 신경자극이 발생한다. B의 이름은?
덮개막
66
평소 고혈압이 있던 50세 여자가 갑자기 발생한 기억력 손상으로 병원에 왔다. 오래된 기억은 비교적 잘 떠올렸으나, 최근의 경험은 잘 떠올리지 못했다. 운동과 감각 기능은 정상이다. 그림에서 손상되었을 가능성이 높은 부위는?
E
67
40세 남자가 자전거를 타다 바닥에 머리를 부딪쳐 의식이 없는 상태로 병원에 왔다. 방사선 촬영 결과 머리에서 혈종이 확인되었다. 중간뇌막동맥 파열에 따른 출혈이 혈종의 원인으로 파악되었다. 혈종이 위치하는 공간은?
경막바깥공간
68
환자의 뇌 자기공명영상 사진이다. 영상의 아래쪽 뇌 영역에서 주변과 경계가 명확한 병변이 확인된다.(하얀부분)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는 증상은?
실명
69
사진은 물뇌증 환자의 자기공명영상 사진이다. (A)는 수평절단 뇌영상으로 양쪽 가쪽뇌실이 모두 크게 확장되어 있다. (B)는 정중시상절단 뇌영상으로 셋째뇌실은 크게 확장되었으나, 넷째뇌실은 정상이다. 뇌척수액 순환과 관련하여 어느 부분이 막힌 것을 생각되는가?
중간뇌수도관
70
뇌 관상단면 사진이다. 시상밑핵은?
B
71
50세 남자가 갑자기 발생한 얼굴마미 증상으로 병원에 왔다. 웃음짓짓는 표정으로 눈을 크게 떠보라고 시켰을 때의 모습(그림 1)이다. 그림 2에서 손상 가능성이 가장 큰 부위는?
A
72
20세 대학생이 중간고사를 치렀다. 시험이 끝나고 긴장감이 풀리면서 배뇨현상이 나타났다. 이때 방광을 수축시키는 신경은?
골반내장신경
73
43세 여자가 5주 전 운전 중 뒷차와 충돌하여 머리가 뒤로 젖혀지는 사고를 당해 응급실에 왔다. 환자는 엄지와 가운데 손가락을 만지는 것을 느낄 수 있었으나, 새끼손가락의 감각은 없었다. 목척추사이원반탈출증이 원인이라면, 병변의 부위는?
일곱째 목뼈와 첫째 등뼈 사이
74
바지 주머니에 손을 넣어 만져보면 500원짜리와 100원자리 동전을 구별할 수 있다. 그림에서 왼쪽 중간되 위둔덕 수준의 사진이고, 오른쪽은 이 부분의 구조물들을 나타낸 것이다. 주머니 속 동전을 구분할 수 있는 촉각과 연관된 것은?
D
75
18세 남자가 오토바이 교통사고로 목을 다쳐서 목소리가 잘 나오지 않는다고 병원에 왔다. 손상된 뇌신경은?
미주신경
76
35세 여자가 머리가 아프고 잘 보이지 않아서 병원에 왔다. 뇌 자기공명영상(MRI)에서 뇌종양으로 진단받았다. 뇌 자기공명영상 사진이다. 이 환자의 시야결손은?(색이 칠해진 부분이 보이지 않는 부분임)
B
77
교통사고 환자가 응급실에 왔다. 환자의 피부감각을 검사한 결과, 다리 앞쪽의 무릎 이하 부분과 다리 뒤쪽의 엉덩이 아래 전체에서 감각을 느끼지 못하였다. 그러나 항문과 엉덩이의 감각은 정상이었다. 손상된 척수의 분절은?
L4
78
둘레계통의 시상하부와 자율신경계통, 사이의 연결과 내분비계통에 대한 시상하부의 조절을 통해서 사람의 감정에 영향을 미친다. 뇌 자기공명영상(MRI) 사진에서 화살표가 가리키는 부분은 특히, 공포 분노와 관련된 부분이다. 이 부분은?
편도체
79
12세 남아가 두통으로 병원에 왔다. 뇌 자기공명영상(MRI) 사진에 보이는 종양으로 인해 압박 받는 뇌신경은?
후각신경
80
65세 남자가 뇌졸중으로 병원에 왔다. 왼쪽 중간대뇌동맥의 출혈이 있었다. 검사 결과, 언어 능력에 문제가 있었다. 상대가 하는 말을 이해는 하였으나, 명사나 동사를 한 단어씩 나열하는 등 문장의 형식으로 만들지 못하였고, 문법에도 맞지 않았다. 이 환자의 언어능력검사 결과 관련하여 뇌출혈로 인해 손상된 뇌 영역은?
아래이마이랑
81
길동이는 해부학 실습시간에 '위궤양 때문에 위산 분비를 억제시켜야 한다. 위산을 분비하는 벽세포에 분포하는 자율신경을 절단하려 한다. 잘라야하는 신경을 찾으시오.' 라는 과제를 받고 사진에서 빨간 화살표가 가리키는 신경을 찾아 교수님의 칭찬을 받았다. 길동이가 찾은 이 신경은?
왼미주신경 가지
82
42세 남자가 뇌하수체 종양으로 시각교차가 완전히 눌렸다. 나타나는 시야결손은?(검은색 부분이 보이지 않는 부분)
2
83
21세 남자가 맛감각을 느낄 수 없다며 병원에 왔다. 혀 앞쪽에서 맛감각을 느낄 수 없었으나, 통증 감각과 혀의 운동은 정상이었다. 맛감각 소실의 원인이 되는 뇌신경은?
얼굴신경
84
다음 사진의 척수 부위 중 손상되었을 때 몸의 통증 및 온도 감각을 느낄 수 없는 부위는?
C
85
가로단면 사진 중에서 척수 목부분에 해당하는 것은?(사진의 weigert 염색법은 백색질을 검게 염색한다.)
5
86
50세 여자가 눈이 잘 보이지 않아, 뇌 컴퓨터단층촬영을 시행하였다. 사진과 같이 머리 인두종에 의한 뇌실 모양 변화가 관찰되었을 때 이 경우 종양에 의해 막힌 구조물은?
뇌실사이구멍
87
44세 남자 환자가 양쪽눈의 바깥쪽 시력상실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bitemporal hemianopa인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러한 시력이상의 원인이 되는 병터의 위치로 맞는 것은?
정중선에서의 시각교차의 절단
88
일차시각영역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뒤대뇌동맥의 가지가 분포한다.
89
70세 여자가 갑작스런 시각이상으로 왔다. 시야 검사에서 오른쪽 같은쪽 반맹으로 진단되었고, 뇌자기공명영상에서 뒤통수엽의 뇌경색증을 보였다. 뇌경색증을 일으킨 혈관은?
뒤대뇌동맥
90
소뇌겉질에서 소뇌핵으로 축삭을 보내는 신경세포는?
조롱박세포
91
신경전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전형적인 활동전위는 약 +40mV이다.
92
팔과 다리로부터의 식별촉각, 진동감각, 의식적 근육관절감각을 전달하는 뇌줄기의 신경다발은?
안쪽섬유띠
93
70세 남자가 숟가락으로 물을 떠서 입에 넣으라는 요구에 숟가락을 쥐고 있는 손이 떨려 제대로 응하지 못하였다. 걸음걸이는 넓게 발을 벌리고 앞으로 굽은 자세였으며, 손가락으로 자신의 코를 짚으라고 했더니 목표를 지나쳤다. 남자의 이상 소견과 연관이 큰 영역은?
소뇌
94
척수의 가쪽뿔에 위치하는 신경세포의 종류는?
신경절이전교감신경세포
95
바닥핵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꼬리핵의 머리는 조가비핵에 연결된다.
96
52세 남자가 추락으로 인해 머리 손상을 받은 후 동공이 확장되어 있었다. 손상 받은 뇌신경은?
눈돌림신경
97
63세 여자가 다식증, 얼굴의 다한증, 낮에도 자주 잠을 자는 수면과다증으로 왔다. 뇌 자기공명 영상에서 시상하부에 국한된 병변이 관찰되었다. 시상하부의 수면조절과 관련된 하루주기리듬을 담당하는 신경핵은?
교차위핵
98
다음 중 한쪽 대뇌겉질에서 반대쪽 대뇌겉질로 연결되는 섬유다발인 맞교차섬유에 속하는 것은?
뇌들보
99
49세 남자가 팔다리에 나타나는 빠른 경련같은 불수의적 운동장애로 왔다. 뇌 자기공명영상에서 바닥핵의 양쪽에서 병변이 관찰되었다. 시상겉질섬유의 활성을 조절하여 불수의운동을 초래하는 부위는?
줄무늬체
100
다음 중 다리뇌의 표면에서 관찰 할 수 있는 구조물은?
삼차신경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