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1. 방공작전콘솔 필터단축버튼에서 저고도, 중고도, 고고도, 우군추정, 식별보류기에 대한 구분은 무엇 인가?
AL, AM, AH, A, P
2
방공작전콘솔에서 선택할 수 있는 심볼타입 3가지는 무엇인가?
2525B, 1477C, MCRC
3
방공작전콘솔 메뉴의 긴급폭파에 대해 서술하시오.
목적 : 발사된 유도탄을 폭파할 때 사용, 절차 : 1유도탄이 발사된 항정을 선택 2긴급폭파 누름 3유도탄 폭파여부 확인(유도탄 심볼 및 격추 예상지점 사라짐, 교전계획창이 정밀추적 또는 교전가능으로 변경)
4
방공작전콘솔 메뉴의 교전취소에 대해 서술하시오.
정밀추적중인 항적을 정밀추적중지하고 교전계획에서 위협목록으로 이동한다.
5
방공작전콘솔에서 다기능레이다의 ECCM 버튼에 대해 서술하시오.
다기능레이다 ECCM 기능을 사용하고자 할때 사용하며 다기능레이다가 RF송출 중일 경우에만 ECCM을 사용가능하며, 별도의 끔 기능은 없고 RF송출중지시 자동으로 끔 상태가 된다.
6
방공작전콘솔 설정모드에서 최소위험 경로란에 입력하는 것은?
최저고도, 최고고도, 발효시간, 해제시간, 폭(KM), 좌표
7
방공작전콘솔 영역설정 시 영역종류에 대해 설명하시오.
방공경보구역, 방공작전구역, 방공포병벨트, 최소위험경로, 해상한전귀한경로, 사격금지구역, 전술조치선, 식별작동라인, 금지공역, 위치기반식별영역, 방어자산영역
8
적.아식별기의 동작모드 설정 시 종류에 대해 쓰시오.
자동, 반자동, 수동
9
방공작전콘솔 강우모드에서 탐지/추적거리 100km 기준시 단계별 표적 탐지/ 추적 거리에 대해 기술하시오.
1단계 : 84.7km, 2단계 : 84.1km, 3단계 : 78.2km, 4단계 : 58.7km, 5단계 : 48.5km
10
천궁 유도탄 오발방지 5단계를 쓰시오.
1단계 : 방어작전콘솔 금지/허용SW 금지 및 안전덮개 닫힘, 2단계 : 방어작전콘솔 발사버튼 안전덮개 닫힘, 3단계 : 발사대제어기 유도단 전원공급기 좌/우 SW 끔, 4단계 : 발사통제기 안전/무장 선택키 안전, 5단계 : 발사대 자체/원격 SW 자체
11
STS(Static Transfer Switch)란 무엇을 뜻하는가.
순간정전 없이 전원이동이 가능하다는 뜻이며, 무중단전원체계에서 두개의 전원 중 하나의 전원이 이상이 생겼을 경우 아주빠른시간에 다른전원으로 순간 이전시켜 전원이 끊임없이 전환되는 장치
12
교전통제소 교전모드 4가지를 쓰시오.
자동, 수동, 반자동#1, 반자동#2
13
교전통제소 운용모드 4가지를 쓰고 간단하게 설명하시오.
작전모드 : 방공작전 수행, 설정모드 : 포대 설정 제원 변경, 점검모드: 교전통제소 다기능레이다 발사대 점검, 훈련모드 : 운용자 훈련 지원
14
방공작전콘솔 데스크 조립체의 '비상폭파' 스위치의 기능을 쓰시오.
교전통제소에서 발사된 모든 유도탄을 폭파 시킬때 사용
15
방공작전콘솔 테스크 조립체의 '금지/허용' 스위치의 기능을 쓰시오.
금지 : 유도탄 발사 신호가 차단되어 발사절차 진행 불가, 허용: 유도탄 발사 신호가 연결되어 발사절차 진행 가능
16
통제관의 임무에 대해 쓰시오.
교전통제(교전 항적 선정, 발사대 할당,유도탄 발사), 전투대기 돌입 준비상황보고, 우군기 보호, 포대 작전 통제 및 식별, 장비고장 전파/보고
17
다기능레이다의 레이다 RF송출(빔방사) 안전거리에 대해 쓰시오.
정지모드 255m 회전모드 15m
18
다기능레이다 RF송출(빔방사) 제한구역과 금지구역의 차이점을 쓰시오.
제한구역은 탐색빔에 대한 빔방사를 금지하는 기능으로 이미 빔방사 허용구역에서 탐지된 항적이 이 영역으로 진입시 추적이 지속적으로 가능하며 유도탄의 포착 및 추적이 정상수행되어 정상적인 표적교전이 수행되나 금지영역은 모든빔(탐색, 추적, 적아식별, 유도탄의 포착/추적)에 대한 할당을 금지하는 기능으로 이 영역에서는 표적과 유도탄의 탐지가 수행되지 않고 추적중인 항적에 대해서도 추적을 종료하여 정상적인 교전이 불가하다
19
다기능레이다의 각 모드별 레이다 가동 영역에 대해 쓰시오
회전 전고도 운용(방위각360도, 고각80도), 회전 저고도 운용(방위각 360도, 고각20도 이하), 정지 전고도 운용(방위각 90도, 고각 80도),정지저고도운용(방위각 90도,고각 20도이하)
20
사격중지 명령 수신하는 방법에 대해 쓰시오.
상부체계로부터 사격중지 명령을 수신한다. 사격중지 명령의 내용을 확인한 후 기능키조립체의 확인버튼을 누른다.
21
상부체계로부터 사격금지 명령을 수신할 때 나타나는 증상에 대해 쓰시오.
방공작전콘솔 하단전시기에 명령수신 팝업창이 전시되며 항적 주변에 추가번호가 전시된 상태로 점멸한다.
22
사격금지 결과 확인에 대해 쓰시오.
위협목록에서 대상 항적이 삭제되며 상황전시면의 해당 항적 주변에 녹생 삼각형 추가 기호가 전시된다.
23
다기능레이다의 추적기능에 대해 쓰시오.
최대 8대의 표적을 정밀추적 할 수 있다.
24
항적경보 설정 시 해당항적이 특별기로 표시되는 이유에 대해 쓰시오.
항적 전시창에 나타난 항적중 교전통제소에서 바상보고 혹은 강제보고를 수행하거나 타체계에서 비상보고 혹은 강제보고를 수행하였을때 해당 항적이 특별기로 표시된다.
25
항적정보 전시형태중 항적관령 정보 T,E,Y,S에대하여 설명하시오.
T는 항적의 위협치로 1~3사이의 1의 자리 숫자로 1인 항적일 경우는 전시된 항적의 심볼이 점멸한다. E는 항적과의 교전상태를 전시하며 영문자로 A는 할당 T는 정말추적 F는 유도탄 발사를 의미하며 -는 교전상태가 아님을 의미 Y는 연관항적 설정여부를 전시하며 Y는 연관이 설정됨을 N은 연관이 미설정됨을 의미함 S는 모의항적 설졍여부를 전시하며 R은 실항적 S는 모의 항적을 의미함
26
EW항적전시정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방위각 : EW항적이 탐지된 체계를 중심으로 한 방위각 전시 2고각 : EW항적이 탐지된 체계를 중심으로 고각을 전시 3항적번호 전시 4항적모의여부 : R 실항적 S모의항적 단 EW항적은 항상 R로 전시
27
1사격 및 연발 명령 수신시 2엄호명령 수신시 3교전취소명령 수행중일 때 전시 4사격금지 항적 의미 5정밀추적중일때 전시
28
발사대 요약정보에서 우측 상단에는 발사대 (?)이 전시되며, 발사대에 (?)없이(?)만이 적재되었을 경우에는 (?)만이 전시되며, 모의탄이 연결되었을 경우에는(?)에(?)/(?)의 형태로 전시된다.
유도탄의 총수량, 모의탄, 실 유도탄, 총 유도탄 수량, 유도탄의 총 수량, 총 유도탄 수량, 모의탄 수량
29
1사격통제명령이 수신되었을 경우 체계와 항적간 연결하는 교전 지시선 2사격통제명령 수신 시 수락하였을경우 체계와 항적간 연결하는 교전 지시선 3 항적관 연관설정시 또는 해당 항적이 정밀추적일 경우 전시되는 교전 지시선 4 교전통제소 및 인접교전통제소와 EW항적을 이어주는 교전지시선 5교전통제소 또는 인접교전통제소에서 유도탄을 발사하였을 경우 대상항적과 해당 교전통제소를 연결하는 교전지시선
30
교전통제소에서 "통합항적관리개수"를 초과할 경우 항적 삭제 기준 및 통합항적관리 개수에 대하여 각각 적성하시오. 1통합항적 관리 개수 2항적삭제 기준
1원격 144개 자체 60개 2교전통제소에서 먼 항적,교전통제소와 동일 거리일 경우 우군기 먼저 삭제
31
15 300 최소 : 회전모드 빔방사 안전거리 30 유선 1200 무선5000 최소 : 유도탄 발사시 탄지지대 비산거리 고려 30 1500 최소 : 유도탄 발사시 탄지지대 비산거리 고려, 최대 : MFR-ECS-VLS간 이격거리(케이블 거리) 고려 30 유선 2400 무선 10000 최소 : 유도탄 발사시 탄지지대 비산거리 고려, 최대 : VLS-ECS-VLS 각 유선 및 무선별 이격거리 고려 30 전원케이블 길이 고려 25 전원케이블 길이 고려
32
교전통제소 교전모드에 대하여 작성하시오.
1 자동모드 : 운용자의 개입없이 교전통제소에서 자동으로 항적교전을 수행 2 반자동1 : 교전할 항적은 운용자가 선정 교전은 자동으로 수행 3 반자동2 : 교전항적 선정은 자동, 유도탄 발사는 운용자가 수행 4 수동 : 교전항적 선정 및 유도탄발사 모두 운용자가 수행
33
교전통제소는 전시 화생장비 작동후 (?)이내에 "집단보호장비제어패널""화생장비"의 (?)표시창에 (?)이상으로 표시되지 않으면 방동면을 착용한다.
수초, 양압, 1.5mb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