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아시촌 소경
지증왕
2
법상종
진표
3
평제탑
정림사지 5층석탑
4
강서대묘, 쌍영총, 무용총, 각저총
굴식돌방무덤
5
원융사상
의상
6
승려 혜랑을 국통으로 삼음
진흥왕
7
남조(양나라)에 고구려 격파 서신을 보냄
무령왕
8
발해의 왕 말갈복속, 요동진출
선왕
9
백률사 석당 (이차돈 순교비)
헌덕왕
10
금관가야는 ( ) 지역에서 성장
변한
11
급찬 숭정을 발해 사신으로 보냄
헌덕왕
12
17관등, 공복제정
법흥왕 (율령반포)
13
발해 영광탑은 ( ) 양식이다.
당나라
14
태평송
진덕여왕
15
안압지, 임해전 건설
문무왕
16
쇼토쿠 태자 스승
혜자 (영양왕)
17
울진 봉평비
법흥왕
18
전연 모용황 침입
고국원왕 (이후 근초고왕에 사망)
19
국호 발해로 변경
고왕
20
모란꽃
선덕여왕
21
이두 정리, <화왕계>
설총
22
화랑도에 관한 내용이 포함된 최치원 비석
난랑비서문
23
가야 진출, 섬진강 일대 확보
무령왕
24
경, 품주 설치
진흥왕
25
포상 8국의 난으로 국력이 쇠퇴
금관가야
26
왕토사상을 배경으로, 국가가 토지를 직접적인 지배하는 시스템
정전
27
안민가
경덕왕
28
계단식 돌무지무덤(백제 한성 시기)은 어느나라 영향
고구려
29
금마저(익산)에 안승 보덕국 건국 >>> ( ) 부흥운동
고구려
30
모줄임 천장은 ( ) 양식이다.
고구려
31
6좌평, 16관등
고이왕
32
집사부/창부 개편
진덕여왕
33
도교 수용 (당나라로부터)
연개소문
34
황남대총, 호우총, 천마총, 서봉총
돌무지‘덧널’무덤
35
9주(행정)에 파견
도독
36
국가에 큰 공을 세운 자에게 지급, 계급 상관X
식읍
37
김대문 활동 시기
성덕왕, 경덕왕
38
마한 정복
근초고왕
39
서안평 공격
동천왕
40
대부분의 말갈을 복속, 요동 진출
선왕
41
발해 관리 감찰 기관
중정대
42
낙랑 대방 공격
고이왕
43
중흥 연호 사용
성왕 (백제)
44
발해 국왕 책봉
문왕
45
우륵 출신 국가
대가야
46
발해 재정담당 기관
사장시
47
미륵 신앙
진표
48
요서 진출 백제 왕
근초고왕
49
일즉다 다즉일
의상
50
법성종
원효
51
무령왕릉 관의 재료는 ( )에서 가져온 금송이다.
일본
52
창왕명석조사리감
성왕
53
문왕 시기 신라 왕 (쭉 나열하기)
경혜선원
54
불교 최초 유입
눌지마립간
55
1. 고구려 멸망 (평양성 함락) 2. 3. 매소성/기벌포 전투 (당나라)
사비성 탈환, 소부리주 설치
56
비유왕 + ( )의 동맹
눌지마립간
57
국통, 주통, 군통을 두어 승려와 사찰을 관리
진흥왕
58
일본 다마카쓰 무덤의 벽화는 ( )의 영향을 받음.
고구려
59
종이, 먹 제조기술 전파
담징
60
전국 군현의 이름을 중국식으로 변경 (=9주 명칭 중국식으로 변경)
경덕왕
61
후연, 숙신, 비려 정벌
광개토대왕
62
국호를 신라로 확정
지증왕
63
인도에 간 우리 승려들이 배워서 들여온 종교
교종
64
대야발 직계는 ( )부터이다
선왕
65
발해 왕명 출납 및 작성
중대성
66
3성 6부 체제 확립
문왕
67
당나라에 만불상 헌상
경덕왕
68
태화 폐지, 영휘 사용
진덕여왕
69
?
무왕
70
현존 최고 비석
포항 중성리비 (지증왕)
71
침류왕, 아신왕 시기 고구려 왕
광개토대왕
72
사택지적비
의자왕
73
일본에 삼론종 전파
혜관 (영류왕)
74
이중기단에 3층탑 양식은 어느 나라 문화
통일신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