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세포, 조직, 기관, 기관계로 조직화된 신체적 구조를 가진다.
⭕️
2
세포는 모든 살아있는 생물의 기본단위로, 끊임없이 증식, 발육, 생식을 되풀이한다.
⭕️
3
조직은 구조와 기능이 비슷한 세포가 모여 특별한 활동을 하는 집단으로, 상피, 근육, 신경조직의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
4
기관은 두 가지 이상의 세포가 모여 실질적인 생리기능을 하는 단위이다.
❌
5
기관계통은 같은 기능을 하는 여러 개의 기관이 모여 일정한 배열을 이루어 신체의 복잡한 기능을 수행하는 일련의 체계로, 주된 기관계통은 8가지 이다.
❌
6
혈액은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으로 구성된 혈구 55%와 혈장 45%로 구성된다.
❌
7
태아의 조혈부위는 난황주머니, 간, 뼈속질이며, 특정 뼈에 국한되어 혈액생성이 이뤄진다.
❌
8
피는 적혈구에 호흡색소인 혈색소가 함유되어 붉게 보인다.
⭕️
9
백혈구는 호산구, 호염기구, 호중구의 무과립구와 림프구, 단핵구의 과립구로 구분된다.
❌
10
혈소판은 혈액응고의 1차적인 역할과 지혈작용을 한다.
⭕️
11
혈장은 물 90%와 혈장단백 7-8%로 구성된다.
⭕️
12
혈장단백 중 글로불린은 크기가 작고 수가 많아 혈액 삼투압을 조절하는데 작용한다.
❌
13
혈액응고는 트롬보플라스틴의 방출, 프로트롬빈에서 트롬빈으로의 전환, 섬유소원의 섬유소 생성의 단계를 거친다.
⭕️
14
A형은 응집원 A, 응집소 β를 가지며, 응집소 α를 만날 경우, 응집반응이 발생한다.
⭕️
15
태아 적혈모구증은 어머니가 Rh+, 태아가 Rh-일 경우 발생하며 출생 직후 Rh항체를 주입하여 예방할 수 있다.
❌
16
소화계통에는 입, 인두, 식도, 위, 소장, 대장이 있으며, 이자, 간, 쓸개 등의 부속기관을 가진다.
⭕️
17
섭취된 음식물의 고분자 영양소는 세포막을 통과할 수 없어 체내에서 흡수할 수 있도록 기계적, 화학적 소화를 통해 저분자의 영양소로 분해된다.
⭕️
18
섭취된 음식물은 입안 > 인두 > 식도 단계를 거쳐 위에 도달하고, 염산이 대부분인 위액과 섞인 후, 한꺼번에 소장으로 보내진다.
❌
19
쓸개는 쓸개즙을 생성하고 생성된 쓸개즙은 간에 저장되고 농축된다.
❌
20
용종은 소장에 많이 생기며, 대부분 증상이 없으나 일부는 출혈, 점액 생성, 복통을 유발하기도 한다.
❌
21
호흡계통은 코, 인두, 후두, 기관, 기관지, 폐로 구성되며 폐포를 둘러싼 모세혈관에서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교환이 발생한다.
⭕️
22
호흡은 외호흡과 내호흡으로 구분되며 외호흡은 조직세포와 모세혈관에서의 교환이며, 외호흡은 폐포와 폐를 둘러싼 모세혈관에서의 가스교환이다.호흡은 외호흡과 내호흡으로 구분되며 외호흡은 조직세포와 모세혈관에서의 교환이며, 외호흡은 폐포와 폐를 둘러싼 모세혈관에서의 가스교환이다.
❌
23
들숨 시, 갈비뼈는 위로, 횡격막은 수축하여 아래로 내려가 가슴 안 압력이 감소하는 반면, 날숨 시 갈비뼈는 아래로, 횡격막은 이완하여 위로 올라가 가슴 안 압력이 증가한다.
⭕️
24
가스교환은 분압이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이동하는 확산에 의해 발생한다.
❌
25
호흡곤란은 힘을 쓰지 않으면서도 호흡이 곤란한 것을 의미하며 혈중 이산화탄소 분압이 상승했을 때 나타난다.
⭕️
26
질소노폐물 중 암모니아는 독성이 강해 주로 간에서 요소로 전환되어 배출된다.
⭕️
27
콩팥은 여과, 재흡수, 분비를 통해 오줌을 생성하고, 요관, 방광, 요도를 통해 오줌을 배출한다.
⭕️
28
항이뇨 호르몬은 체액의 양이 과다할 경우, 분비가 증가하며 수분을 재흡수하는 역할을 하여 항상성을 유지한다.
❌
29
방광의 총 용적은 500mL 정도로, 꽉 채워져야 요의를 느끼며, 남성의 요도가 여성의 요도보다 길다.
❌
30
콩팥 기능이 저하된 경우, 인공콩팥(투석) 또는 콩팥이식으로 치료할 수 있으며, 1개의 콩팥만 가지고 있는 경우, 콩팥기능을 유지하기 어렵다.
❌
31
심장은 혈액을 내보내는 심방 2개, 혈액을 받아들이는 심실 2개, 심방과 심실 사이의 방실판막 2개, 심실과 큰 동맥 사이의 반월판막 2개로 구성되어 있다.
❌
32
심장은 스스로 흥분하는 능력(자동능)을 가지고 있으며 자극 전도계는 동방결절, 방실결절, 방실다발, 심장전도근육섬유로 구성된다.
⭕️
33
동맥은 심장에서 박출되는 혈액을 운반하여 두껍고 탄력성이 있으며, 정맥은 심장으로 들어오는 혈액을 운반하고 전체 혈액의 75%를 수용할 수 있다.
⭕️
34
심장동맥은 폐똥맥의 밑뿌리에서 갈라져 좌우 한 쌍을 이루며 심장근육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고, 림프는 혈관 바깥의 체액으로서 림프구와 림프장으로 구성된다.
❌
35
혈압이 높아질 경우, 심장박동을 위해 필요한 에너지와 심장근육의 긴장이 증가되어 심장질환을 유발한다.
⭕️
36
면역이란 외부물질이 침입 시 체내세포가 제거 혹은 해독하려는 반응으로, 면역체계는 체내에 들어온 이물질(항원)의 정체를 파악해 방어물질(항체)을 생산하는 방어체계를 의미한다.
⭕️
37
면역에는 피부, 점막 등에 의해 감염인자를 차단하거나 체내로 들어온 병원체를 큰 대식세포 등이 즉시 파괴시키는 비특이성면역과 이로 막지 못한 경우에 발생하는 특이성 면역이 있다.
⭕️
38
큰 포식세포는 단핵구가 조직에 들어가 분화한 세포이며, 자연살해세포는 병든 세포를 인식하여 제거하는 역하을 수행하고 항원특이성을 가진다.
❌
39
자가면역반응은 인체 내에서 자가항원에 대항하는 자가항체를 형성하여 신체를 공격하는 것이며, 면역결핍증에는 선천적으로 발생하는 유전적 이상이 있고, 후천적으로 사람면역결핍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AIDS가 있다.
⭕️
40
종양세포가 생성되면 면역계 세포들에 의해 인지되어 면역학적 공격을 일으키지만 종양세포가 항원을 변이하여 면역계에 인지되지 않거나 종양을 가진 숙주 또는 종양세포 자체가 면역억제물질을 분비하여 숙주의 면역반응을 억제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
41
뼈의 기능에는 지지, 운동, 보호, 조혈작용, 무기질 저장이 있으며, 뼈는 35%의 무기질, 45%의 유기질, 20%의 물로 구성되어 있다.
❌
42
뼈의 내부는 치밀뼈, 표면은 해면뼈로 구성되어 외부를 뼈막이 감싸고 있으며, 골수는 조혈기능을 하는 적색골수와 양분을 저장하는 황색골수로 나눌 수 있다.
❌
43
인체를 구성하는 뼈는 총 206개로, 머리뼈, 척주, 가슴우리를 포함하는 몸통뼈대와 팔다리뼈대로 나눌 수 있다.
⭕️
44
뼈의 형성과정은 결합조직에서 바로 뼈 조직으로 발생하는 막뼈되기와 유리질 연골에서 뼈 조직이 발생하는 연골뼈되기로 나눌 수 있는데 대부분의 긴뼈는 막뼈되기로 발생한다.
❌
45
뼈 질환 중 골다공증은 노화의 현사응로 특히 폐경기 여성에게 잘 생기며, 호르몬 치료로 예방 및 관리가 가능하다.
⭕️
46
관절은 뼈와 뼈 사이의 이음새 역할을 하며, 관절연골과 관절공간 내 윤활액이 마찰을 완화시켜준다.
⭕️
47
관절은 움직임이 거의 없는 섬유관절, 움직임이 제한된 연골관절, 움직임이 원활한 윤활관절로 분류된다.
⭕️
48
윤활관절의 관절주머니는 혈관과 신경종말이 풍부한 바깥층의 윤활막과 윤활액을 분비하는 안쪽의 섬유막으로 구성된다.
❌
49
어깨관절은 인체에서 가장 움직임이 큰 관절이며, 엉덩관절은 체중을 지지해야 하기 때문에 어깨관절보다 훨씬 강하고 안정적이다.
⭕️
50
근육과 힘줄의 수축에 의해 사지 운동이 제한된 상태는 관절굳음이며, 비가역적인 강축현상으로 관절이 고정된 상태는 구축을 의미한다.
❌
51
호르몬은 특정한 관을 통해 분비되며 특정세포마다 호르몬 수용기가 있어 '호르몬-수용체'복합체를 형성하여 선택적으로 생화학적 효과를 일으킨다.
❌
52
뇌하수체 앞엽은 다른 내분비샘의 기능을 조절하는 호르몬을 분비하여 시상하부의 호르몬에 의해 호르몬 분비가 자극되거나 억제된다.
⭕️
53
갑상샘은 신진대사율을 항진시키고 칼시토닌을 분비하여 혈중 칼슘을 증가시키는 반면, 부갑상샘 호르몬은 혈중 칼슘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한다.
❌
54
부신 겉질은 혈액량을 유지하는 광물코르티코이드와 항염증작용을 하는 글루코코르티코이드를 분비하며, 부신 속질은 자율신경 중 교감신경이 자극되었을 때 15%의 에피네프린과 85%의 노르에피네프린을 분비하는 작용을 한다.
❌
55
이자에서는 포도당을 글리코겐으로 저장하는 인슐린과 글리코겐을 포도당으로 분해하는 글루카곤을 분비한다.
⭕️
56
신경계통은 신체 각 부위 활동을 통합, 조절하며, 신체 내부 및 외부에서 지시를 받아 반응한다.
⭕️
57
신경세포는 신경세포체와 가시돌기, 축삭으로 구성되며, 신경아교세포는 혈관과 신경세포 사이에 위치하여 영양분을 제공하고 노폐물을 제거하며 신경세포를 지지하고 보호한다.
⭕️
58
흥분의 전달은 신경세포 내에서 자극이 이동하는 것이며, 흥분의 전도는 연접에서의 신경전달물질의 분비로, 한 신경세포에서 다른 신경세포로 자극이 이동하는 것이다.
❌
59
말초신경계통은 뇌신경 12쌍과 척수신경 31쌍으로 구성되는 몸 신경계통과 의지대로 조절할 수 있는 자율신경계통으로 구성된다.
❌
60
퇴행성 질환은 생리적 노화보다 느린 시기에 뇌/척수의 신경원이 위축, 소실되는 것을 의미하며, 거의 일정한 연령에서 급성으로 시작하여 빠르게 진행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