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1. 다음 중 지구대기의 에너지 균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지구는 장파인 자외선 에너지를 방출한다.
2
1. 다음 중 공기괴층(기단)의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요인은?
1. 하부로부터의 냉각
3
1. 지구 기온의 일변화 크기에 영향을 주는 요소 중 아닌 것은 무엇인가?
1. 풍향
4
1. 다중세포 뇌우에서 돌풍전선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해주는 구름은?
1. 선반구름
5
1. 다음 중 국지풍 개념에 대한 설명 중 아닌 것은 무엇인가?
1. 해풍의 경우 육지에서 상승하는 대기 위에 구름 소멸과 해양에서 침강하는 대기에서는 구름이 생 성된다.
6
1. 아열대 고압대와 위도 60도 사이에 형성되는 간접 순환이 무엇인가?
1. 패렐 순환
7
1. 다음 중 기단의 변질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온난한 기단이 한랭한 지역을 지나면 아래층의 대기가 먼저 냉각됨으로 기단이 불안정해진다.
8
1. 다음 중 국지풍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
1. 경도풍
9
1. 시정이 10km 이상이고 CAVOK(ceiling And Visibility OK)이 적용되는 예보상태가 아닐 때 시정값은 무엇인가?
1. 9999
10
1. 구름표시 방법 중 적란운이 없을 것으로 예상되고 5,000피트나 최저구역고도 중 높은 쪽 고도 아래에 구름이 없을 것으로 예상될 때 사용하는 용어는 무엇인가?
1. NSC
11
1. 결빙 온도 이상을 보이는 얕은 층, 또는 지표면에서는 결빙 이하의 낮은 기온을 보이는 두꺼운 층에서 발생하는 강수현상은 무엇인가?
1. 싸라기눈
12
1. 대류성 스톰(뇌우)의 하부에서 갑자기 발생하는 강력한 윈드시어는 무엇인가?
1. 마이크로버스트
13
1. 다음에 제시된 바람 관측 전문 해석이 잘못된 것은? 1. SPECI RKSI 311125Z 27010G23KT 240V310
1. 풍향이 동풍이다.
14
1. TAF에서 사용되는 변화군 중 변동시간은 각각 1시간 미만이고, 각 변동시간의 합이 정한 시간의 1/2 미만일 것으로 예상될 때 사용하는 용어는 무엇인가?
1. TEMPO
15
1. 우리나라에 주로 장마기와 가을에 영향을 미치는 한랭다습한 기단은 무엇인가?
1. 오호츠크해 기단
16
1. 다음 그림에서 실링(Ceiling) 고도는 몇 피트(feet) 인가?
1. 7,000 피트
17
1. 공항으로 접근하는 항공기의 조종사가 활주로 상의 특정한 장비나 활주로 유도등의 밝은 불빛을 확인할 수 있는 수평거리를 무엇이라 하는가?
1. 활주로 가시거리
18
1. 지구는 구형이고, 자전축이 기울어져 있으며, 자전을 함으로써 발생하는 지구의 열적 불균형 중 아닌 것은 무엇인가?
1. 고도와 지형에 따라 기온변화를 초래함
19
1. 단독세포 뇌우의 생애 중에서 상승기류와 하강 기류가 동시에 존재하고 지상에 비와 돌풍전선이 형성되는 시기는?
1. 성숙기
20
1. 지구 기온의 변화가 작게 나타나게 영향을 주는 요인 중 아닌 것은 무엇인가?
1. 강한 바람
21
1. 현재의 기상현상의 상태를 나타내는 용어 중에 소낙성 작은 우박과 눈싸라기를 포함하고 있을 때 사용하는 용어는?
1. SHGS
22
1. METAR에서 온도에 관한 전문을 작성하려고 한다. 기온이 영상 1˚C이고 노점온도가 영하 12˚C라면 어떻게 표시하는가?
1. 01/M12
23
1. 다음 중 경향예보에 사용되는 용어로 어떤 기상 조건이 특정한 기준에 규칙적이거나 또는 비규칙적으로 도달하거나, 기준을 초과할 경우를 의미하는 것으로 그 변화가 경향예보를 하는 전체 기간 동안 내에 시작해서 끝나는 경우를 의미하는 지시자는?
1. BECMG
24
1. 거대세포 뇌우와 단일세포 뇌우를 구분해주는 가장 대표적인 현상은?
1. 중규모 저기압
25
1. 지구 기온의 변화가 크게 나타나게 영향을 주는 요인 중 아닌 것은 무엇인가?
1. 높은 위도
26
1. 다음 중 산들바람의 설명 중 아닌 것은 무엇인가?
1. 산골짜기에서 볼 수 있는 약한 내리 바람
27
1. 물의 상태 변화에 따라 발생 또는 흡수되는 열을 잠열이라 한다. 다음 중 잠열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무엇인가?
1. 물의 위상을 변화시키며, 이 때 물의 온도는 변화 위상에 따라 변한다.
28
1. 구름의 보고 형식 중에서 운량을 표시할 때 구름이 하늘을 덮고 있는 양이 3/8에서 4/8인 상태를 무엇이라고 부르는가?
1. SCT
29
1. 항공기상관측의 기본적인 형태로 매 시간 공항의 기상상태를 관측해서 정해진 포맷으로 보고하는 것은 무엇인가?
1. METAR
30
1. 다음 중 일반적으로 뇌우의 적운 단계와 관련 있는 것은?
1. 지속적인 상승기류
31
1. 항공기상관측의 기본적인 형태로 매 시간 비행장의 기상상태를 관측해서 정해진 포맷으로 보고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METAR
32
1. 한랭한 공기가 온난한 공기 밑으로 파고 들어갈 때 생성되는 전선은 무엇인가?
1. 한랭전선
33
1. 공항관측지점으로부터 해수면까지를 국제표준대기로 가정하여 해면 경정한 기압값으로, 이 값을 기준으로 항공기가 공항의 공식표고지점 위에 있을 때 기압고도계의 시도가 공항의 공식표고 값을 나타내는 고도 수정값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QNH
34
1. 공항관측지점으로부터 해수면까지를 국제표준대기(ISA) 온도로 가정하여 해면경정한 기압값으로, 이 값을 기준으로 세팅한 항공기가 공항의 공식표고 지점 위에 있을 때 기압고도계의 시도가 공항의 공식표고 값을 나타내는 고도계수정치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QNH
35
1. 다음 중 정시관측 이외에 특별관측(SPECI)을 실시하여야 할 경우가 아닌 것은?
1. 조종사의 현재 기상보고 요구가 있을 때
36
1. 다음 중 구름의 명칭에 사용되는 접미사 ‘nimbus’는 무엇의 의미로 올바른 것은?
1. 비구름
37
1. 지구대기의 열적 불균형을 일으키는 요소가 아닌 것은 무엇인가?
1. 대륙과 해양의 분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