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묘포의 입지를 선정할 때 고려해야 할 요건별 최적 조건으로 짝지은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토양 : 질땅
2
다음 중 무배유 종자는?
밤나무
3
대패형 톱날의 창날각도로 가장 적당한 것은?
35도
4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벌채 방법은? 숲을 띠모양으로 나누고 순차적으로 개벌해 나가면서 갱신을 끝내는 방법으로 이때, 띠모양의 구역을 교대로 벌채하여 두 번 만에 모두 개벌 하는것
교호대상개벌작업
5
종자의 저장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냉동저장
6
플라스틱 수라의 속도 조절 장치를 설치하는 종단 경사로 가장 적당한 것은?
50 ~ 60%
7
1PS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75kg를 1초에 1m 들어 올린다.
8
치수 무육(어린나무 가꾸기)작업의 가장 큰 목적은?
불량목을 제거하여 치수의 생육 공간을 충분히 제공하기 위함이다.
9
기계톱 운전, 작업 시 유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벌목 가동 중 톱을 빼낼 때는 비틀어서 빼낸다.
10
조림지의 숲 가꾸기 순서로 옳은 것은?
풀베기 - 제벌 - 간벌
11
일반적으로 가지치기 작업 시에 자르지 말아야 할 가지의 최소 지름의 기준은?
5cm
12
초보자가 사용하기 편리하고 모래 등이 많이 박힌 도로변 가로수 정리용으로 적합한 체인톱 톱날의 종류는?
대패형 톱날
13
다음 중 우량묘의 조건으로 틀린 것은?
침엽수종의 묘에 있어서는 줄기가 곧고 측아가 정아보다 우세한 것
14
산림작업에 사용하는 식재도구로 옳지 않은 것은?
재래식 낫
15
나무줄기에 뜨거운 직사광선을 쬐면 나무껍질의 일부에 급속한 수분 증발이 일어나거나 형성층 조직이 파괴되고, 그 부분의 껍질이 말라죽는 피해를 받기 쉬운 수종으로 짝지어진 것은?
오동나무, 호두나무, 가문비나무
16
우량묘목의 구비조건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직근이 측근 또는 잔뿌리의 발생보다 양호할 것
17
벌목조재 작업 시 다른 나무에 걸린 벌채목의 처리로 옳지 않은 것은?
걸려있는 나무를 토막내어 넘긴다.
18
소나무 혹병의 중간기주는?
졸참나무
19
다음 중 바이러스에 의하여 발생되는 수목 병해로 옳은 것은?
모자이크병
20
어꺠걸이식 예불기를 메고 바른 자세로서 손을 떼었을 때 지상으로부터 날까지의 가장 적절한 높이는 몇 cm 정도인가?
10 ~ 20
21
벌채구를 구분하여 순차적으로 벌체하여 일정한 주기에 의해 갱신작업이 되풀이되는 것은 무엇이라 하는가?
회귀년
22
일반적으로 밑깎기 작업에 적당한 계절은?
여름
23
가지치기의 목적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경제성 높은 목재 생산
24
동력가지치기톱 사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작업 진행 순서를 나무 아래에서 위로 향한다.
25
체인톱에 상요하는 연료로 휘발유와 윤활유를 혼합 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비율(휘발유 : 윤활유)로 가장 적당한 것은?
25 : 1
26
다음 해충 중 주로 수목의 잎을 가해라는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솔알락명나방
27
간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임관을 울폐시켜 각종 재해에 대비하고자 한다.
28
농약 주성분의 농도를 낮추기 위하여 사용하는 보조제는?
증량제
29
수목의 주요 병원체가 균류에 의한 병은?
잣나무털녹병
30
4행정 엔진의 작동순서로 옳은 것은?
흡입 - 압축 - 폭발 - 배기
31
다음 중 산림 무육도구가 아닌 것은?
양날괭이
32
뛰어난 번식력으로 인하여 수목 피해를 가장 많이 끼치는 동물로 올바르게 짝지은 것은?
산토끼, 들쥐
33
다음 중 방화림 조성용으로 가장 적합한 수종은?
가문비나무
34
다음 수종 중 암수 딴 구루인 것은?
은행나무
35
임업용 트랙터를 사용하는데 있어 집재목과 트랙터간의 허용각도와 안전각도로 옳은 것은?
허용각도 = 최대 15도, 안전각도 = 0~10도
36
숲의 작업종 중 모수작업에 의하여 조성되는 후계림은 어떤 형태인가?
동령림
37
참나무 시들음병을 매개하는 광릉긴나무좀을 구제하는 가장 효율적인 방제법은?
피해목 벌목후 벌목재 살충 및 살균제 훈증처리
38
해충저항성이 발생하지 않고 해충을 선별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방법은?
생물적 방제법
39
유관속 시들음병의 기주 및 전파경로로 짝지어진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감나무 시들음병 - 뿌리
40
사과나무 및 배나무 등의 잎을 가해하고 성충의 날개 가루나 유충의 털이 사람의 피부에 묻으면 심한 통증과 피부염을 유발하는 해충은?
독나방
41
종자를 채취하여 즉시 파종하여야 하는 것은?
포플러류
42
다음 중 조림지의 풀베기를 실사하는 시기로 가장 적합한 것은?
6~8월
43
일정한 면적에 직사각형 식재를 할 때 묘목수의 계산은?
조림지면적 / (묘간거리 x 줄사이거리)
44
외기온도에 따른 윤활유 점액도로로 올바르게 짝지은 것은?
-25도 ~ 15도 : SAE 20W
45
리기다소나무 1년생 묘목의 곤포당 본수는?
2000본
46
체인톱 엔진 회전수를 조정 할 수 있는 장치는?
스로틀레버
47
다음 중 조파에 의한 파종으로 가장 적합한 수종은?
아까시나무
48
일반적인 침여수종에 대한 묘포의 가장 적당한 토양 산도는?
pH 5.0 ~ 6.5
49
해충의 월동 상태가 옳지 않은 것은?
대벌레 : 성충
50
다음 일반적인 산림무육 목적의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병해충 방지
51
다음 중 가선 집재기계로 옳지 않은 것은?
하베스터
52
종자의 성숙기가 6~7월인 수종은?
벚나무
53
소나무, 해송과 같은 양수의 수종에 적용되는 풀베기 방법은?
전면깎기
54
살충제 중 유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포장, 우송, 보관이 용이하며 경비가 저렴하다.
55
어린 묘목을 재배하는 양묘장에서 겨울철에 저온의 피해를 막기 위항 주풍방향에 나무를 심어 바람을 막아주는 것은 무엇이라 하는가?
방풍림
56
산림작업 안전사고 예방수칙으로 옳지 않은 것은?
안전사고 예방을 위하여 가능한 혼자 작업할 것
57
기계톱 체인에 오일이 적게 공급될 때 예상되는 고장 원인으로 옳지 않은 것은?
기화기내의 연료체가 막혀 있다.
58
모수작업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갱신에 필요한 종자공급보다 갱신된 어린나무의 보호를 위한 작업이다.
59
삼층수관을 강하게 벌채하고 3급목을 남겨서 수간과 임상이 직사광선을 받지 않도록 하는 간벌 형식은?
D종 간벌
60
다음에 해당하는 톱으로 옳은 것은?
무육용 이리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