暗記メーカー
ログイン
혼공 산림기능사 필기 1회 빈출모의고사
  • Hyeoung Park

  • 問題数 60 • 3/14/2024

    記憶度

    完璧

    9

    覚えた

    21

    うろ覚え

    0

    苦手

    0

    未解答

    0

    アカウント登録して、解答結果を保存しよう

    問題一覧

  • 1

    묘포의 입지를 선정할 때 고려해야 할 요건별 최적 조건으로 짝지은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토양 : 질땅

  • 2

    다음 중 무배유 종자는?

    밤나무

  • 3

    대패형 톱날의 창날각도로 가장 적당한 것은?

    35도

  • 4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벌채 방법은? 숲을 띠모양으로 나누고 순차적으로 개벌해 나가면서 갱신을 끝내는 방법으로 이때, 띠모양의 구역을 교대로 벌채하여 두 번 만에 모두 개벌 하는것

    교호대상개벌작업

  • 5

    종자의 저장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냉동저장

  • 6

    플라스틱 수라의 속도 조절 장치를 설치하는 종단 경사로 가장 적당한 것은?

    50 ~ 60%

  • 7

    1PS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75kg를 1초에 1m 들어 올린다.

  • 8

    치수 무육(어린나무 가꾸기)작업의 가장 큰 목적은?

    불량목을 제거하여 치수의 생육 공간을 충분히 제공하기 위함이다.

  • 9

    기계톱 운전, 작업 시 유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벌목 가동 중 톱을 빼낼 때는 비틀어서 빼낸다.

  • 10

    조림지의 숲 가꾸기 순서로 옳은 것은?

    풀베기 - 제벌 - 간벌

  • 11

    일반적으로 가지치기 작업 시에 자르지 말아야 할 가지의 최소 지름의 기준은?

    5cm

  • 12

    초보자가 사용하기 편리하고 모래 등이 많이 박힌 도로변 가로수 정리용으로 적합한 체인톱 톱날의 종류는?

    대패형 톱날

  • 13

    다음 중 우량묘의 조건으로 틀린 것은?

    침엽수종의 묘에 있어서는 줄기가 곧고 측아가 정아보다 우세한 것

  • 14

    산림작업에 사용하는 식재도구로 옳지 않은 것은?

    재래식 낫

  • 15

    나무줄기에 뜨거운 직사광선을 쬐면 나무껍질의 일부에 급속한 수분 증발이 일어나거나 형성층 조직이 파괴되고, 그 부분의 껍질이 말라죽는 피해를 받기 쉬운 수종으로 짝지어진 것은?

    오동나무, 호두나무, 가문비나무

  • 16

    우량묘목의 구비조건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직근이 측근 또는 잔뿌리의 발생보다 양호할 것

  • 17

    벌목조재 작업 시 다른 나무에 걸린 벌채목의 처리로 옳지 않은 것은?

    걸려있는 나무를 토막내어 넘긴다.

  • 18

    소나무 혹병의 중간기주는?

    졸참나무

  • 19

    다음 중 바이러스에 의하여 발생되는 수목 병해로 옳은 것은?

    모자이크병

  • 20

    어꺠걸이식 예불기를 메고 바른 자세로서 손을 떼었을 때 지상으로부터 날까지의 가장 적절한 높이는 몇 cm 정도인가?

    10 ~ 20

  • 21

    벌채구를 구분하여 순차적으로 벌체하여 일정한 주기에 의해 갱신작업이 되풀이되는 것은 무엇이라 하는가?

    회귀년

  • 22

    일반적으로 밑깎기 작업에 적당한 계절은?

    여름

  • 23

    가지치기의 목적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경제성 높은 목재 생산

  • 24

    동력가지치기톱 사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작업 진행 순서를 나무 아래에서 위로 향한다.

  • 25

    체인톱에 상요하는 연료로 휘발유와 윤활유를 혼합 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비율(휘발유 : 윤활유)로 가장 적당한 것은?

    25 : 1

  • 26

    다음 해충 중 주로 수목의 잎을 가해라는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솔알락명나방

  • 27

    간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임관을 울폐시켜 각종 재해에 대비하고자 한다.

  • 28

    농약 주성분의 농도를 낮추기 위하여 사용하는 보조제는?

    증량제

  • 29

    수목의 주요 병원체가 균류에 의한 병은?

    잣나무털녹병

  • 30

    4행정 엔진의 작동순서로 옳은 것은?

    흡입 - 압축 - 폭발 - 배기

  • 31

    다음 중 산림 무육도구가 아닌 것은?

    양날괭이

  • 32

    뛰어난 번식력으로 인하여 수목 피해를 가장 많이 끼치는 동물로 올바르게 짝지은 것은?

    산토끼, 들쥐

  • 33

    다음 중 방화림 조성용으로 가장 적합한 수종은?

    가문비나무

  • 34

    다음 수종 중 암수 딴 구루인 것은?

    은행나무

  • 35

    임업용 트랙터를 사용하는데 있어 집재목과 트랙터간의 허용각도와 안전각도로 옳은 것은?

    허용각도 = 최대 15도, 안전각도 = 0~10도

  • 36

    숲의 작업종 중 모수작업에 의하여 조성되는 후계림은 어떤 형태인가?

    동령림

  • 37

    참나무 시들음병을 매개하는 광릉긴나무좀을 구제하는 가장 효율적인 방제법은?

    피해목 벌목후 벌목재 살충 및 살균제 훈증처리

  • 38

    해충저항성이 발생하지 않고 해충을 선별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방법은?

    생물적 방제법

  • 39

    유관속 시들음병의 기주 및 전파경로로 짝지어진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감나무 시들음병 - 뿌리

  • 40

    사과나무 및 배나무 등의 잎을 가해하고 성충의 날개 가루나 유충의 털이 사람의 피부에 묻으면 심한 통증과 피부염을 유발하는 해충은?

    독나방

  • 41

    종자를 채취하여 즉시 파종하여야 하는 것은?

    포플러류

  • 42

    다음 중 조림지의 풀베기를 실사하는 시기로 가장 적합한 것은?

    6~8월

  • 43

    일정한 면적에 직사각형 식재를 할 때 묘목수의 계산은?

    조림지면적 / (묘간거리 x 줄사이거리)

  • 44

    외기온도에 따른 윤활유 점액도로로 올바르게 짝지은 것은?

    -25도 ~ 15도 : SAE 20W

  • 45

    리기다소나무 1년생 묘목의 곤포당 본수는?

    2000본

  • 46

    체인톱 엔진 회전수를 조정 할 수 있는 장치는?

    스로틀레버

  • 47

    다음 중 조파에 의한 파종으로 가장 적합한 수종은?

    아까시나무

  • 48

    일반적인 침여수종에 대한 묘포의 가장 적당한 토양 산도는?

    pH 5.0 ~ 6.5

  • 49

    해충의 월동 상태가 옳지 않은 것은?

    대벌레 : 성충

  • 50

    다음 일반적인 산림무육 목적의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병해충 방지

  • 51

    다음 중 가선 집재기계로 옳지 않은 것은?

    하베스터

  • 52

    종자의 성숙기가 6~7월인 수종은?

    벚나무

  • 53

    소나무, 해송과 같은 양수의 수종에 적용되는 풀베기 방법은?

    전면깎기

  • 54

    살충제 중 유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포장, 우송, 보관이 용이하며 경비가 저렴하다.

  • 55

    어린 묘목을 재배하는 양묘장에서 겨울철에 저온의 피해를 막기 위항 주풍방향에 나무를 심어 바람을 막아주는 것은 무엇이라 하는가?

    방풍림

  • 56

    산림작업 안전사고 예방수칙으로 옳지 않은 것은?

    안전사고 예방을 위하여 가능한 혼자 작업할 것

  • 57

    기계톱 체인에 오일이 적게 공급될 때 예상되는 고장 원인으로 옳지 않은 것은?

    기화기내의 연료체가 막혀 있다.

  • 58

    모수작업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갱신에 필요한 종자공급보다 갱신된 어린나무의 보호를 위한 작업이다.

  • 59

    삼층수관을 강하게 벌채하고 3급목을 남겨서 수간과 임상이 직사광선을 받지 않도록 하는 간벌 형식은?

    D종 간벌

  • 60

    다음에 해당하는 톱으로 옳은 것은?

    무육용 이리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