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잠재적 교육과정으로 무리짓기, 칭찬하기, 학교권력을 주장한 학자는?
잭슨
2
잠재적 교육과정으로 독립심, 성취감, 성인의 권위수용을 주장한 학자는?
드리븐
3
탈학교론을 주장한 학자는?
일리치
4
잠재적 교육과정을 자본가에 의해 숨겨진 교육과정으로 본 학자는?
보울스와 진티스
5
영 교육과정의 개념을 제시한 학자는?
아이즈너
6
사회중심 교육과정 학자로 학교는 아동이 성인세계에 적응할 수 있도록 준비시키는 기관이라고 본 학자는?
보비트
7
학문중심 교육과정 학자로 나선형교육과정을 제시한 학자는?
브루너
8
경험중심 교육과정 학자로 교육목적이 아동의 발달이고 경험을 중시하는 학자는?
듀이
9
KDB모형을 제시한 학자로 핵심개념이나 빅 아이디어를 중심으로 교과의 통합을 시도한 학자는?
드레이크
10
합리적 교육과정 개발모형을 제시한 학자로 학습경험의 선정기준으로 기회, 만족, 가능성, 다성과, 다경험의 원리를 제시한 학자는?
타일러
11
교육과정을 지적영역과 정의적 영역으로 구분한 학자는?
블룸
12
행동용어라는 개념을 제시하고 종착행동, 조건, 기준의 개념을 제시한 학자는?
메이거
13
교사참여 교육과정 개발모형을 제시한 학자는?
타바
14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모형으로 학교 구성원에 의해 편성되고 운영되며 지역과 학교의 실정을 반영하고 학생들의 요구를 수용하는 모형을 제시한 학자는?
스킬벡
15
백워드 모형을 제안한 학자는?
위긴스와 맥타이
16
토대다지기, 숙의, 설계로 이루어지는 교육과정을 제시한 학자는?
슈왑
17
교육과정의 예술적 접근모형으로 교육적 감식안과 교육비평을 주장한 학자는?
아이즈너
18
인간의 해방을 제시하고 쿠래레 방법론을 제시하는 학자는?
파이나
19
학교는 잠재적 교육과정을 통해 그 사회가 갖는 기존의 권력관계를 유지시키는데 기여한다고 본 학자는?
애플
20
경제적인 측면에서 잠재적 교육과정을 분석한 학자는?
보울스와 진티스
21
지배적인 헤게모니에 대한 비판을 제시하면서 대항 헤게모니를 형성할 것을 주장한 학자는?
지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