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법률적 측면에서 할만의 정의는?
선박의 정박장소+ 수륙교통 연락 + 여객 승하선 및 화물 적양하 서비스 + 항만관리자의 관리하
2
항만의 중요성은?
1. 해운의 선행조건 2. 효율적 국제물 류 연결 3. 항만멸망=생필품 가격상승 4. 경제발전 기여
3
지주항이란?
항만관리주체는 최소한 시설 제공 민간윤영주체가 하역시설 및 서비스 제공 즉, 민영화한 항만
4
지주항의 추세는?
물동량 늘고 배수량 늘어나며 더 큰 항만이 필요하기 때문에 자본조달 위해 점점 늘어나는 추세. 항만 공공성에 대한 문제 제기
5
도구항이란?
민간운영주체의 참여 제한적. 항만관리주체가 기본시설 및 하역사설 제공 운영 자체는 민간이 함
6
운영항이란?
민간의 운영참여 없음 일원적인 항만관리 서비스 제공
7
지역항이란?
중심성 부족(배후지 존재유무) 중계성 부족(환적 및 육상연계 용이성) 배후지 소규모 화물만 취급
8
지역중심항이란?
중심성 부족(배후지 존재유무) 중계성 높음(환적 및 육상연계 용이성) 환적화물 취급 비중 큼
9
지역거대항이란?
중심성 높음(배후지 존재유무) 중계성 부족(환적 및 육상연계 용이성) 거대 생산지 또는 소비지를 배후지로 둬서 자국화물 처리 비중 높음
10
거대중심항이란?
중심성 높음(배후지 존재유무) 중계성 높음(환적 및 육상연계 용이성)
11
항만산업의 사업분류 기준은?
항만운송사업법
12
항만운송사업이란? 그리고 그 예시는?
영리목적 관계 없이 항만운송 항만하역사업 검수 사업 감정사업 검량사업
13
항만운송관련사업이란? 그리고 그 예시는?
한만에서 선박에 물품이나 역무를 제공하는 사업 항만용역업 선용품공급업 선박연료공급업 선박수리업 및 컨테이너수리업
14
항만클러스터란?
한만가치사슬에서 운영되고 지리적으로 집중되어 있는 상호 의존적인 조직 집단
15
한만클러스터에서 볼 수 있는 항만의 기능변화는?
단순하역 및 보관 -> 생산기지, 물류기지
16
제1차 항만기본계획의 목적은?
항만시설 부족 해소 위한 항만시설 확보, 민영화 통한 효율성 확보
17
제2차 항만기존계획의 목적은?
동북아 경제성장 전망을 기반으로, 항만산업을 화물유통 중심에서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국가산업으로 육성
18
제2차 수정 한만기본계획의 목적은? 그 배경은?
수출입화물 증가율 둔화 및 환적 화물 불확실성 증가. 양정 성장에서 질적 성장으로 항만정책 패러다임 전환
19
제3차 항만기본계획의 목적은?
항만기능 다양화 및 부가가치 창출
20
제4차 항만기본계획의 목적은?
스마트항만 실현, 항만기능 다양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