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쇠고기를 통해 감염되며 머리 부분에 갈고리가 없는 기생충 (이름 두 가지)
무구조충, 민촌충
2
쇠고기촌충에 감염 되었을 경우, ( )를 복용해야함
구충제
3
쇠고기촌충은 머리 부분에 4개의 ( )이 있다.
흡반
4
돼지고기를 통해 감염되며 머리 부분에 갈고리가 있는 기생충 (2가지 이름)
유구조충, 갈고리촌충
5
돼지, 쥐에 의해 일어나며 해당 피낭유충을 함유한 고기를 익히지 않은 상태로 섭취하였을 때 감염되는 기생충
선모충
6
감염된 고양이의 체내에 있는 낭포체가 배설물과 함께 다량으로 배출, 덜익은 고기를 섭취하거나 고양이의 배설물에 오염된 음식을 섭취한 경우 감염되는 기생충
톡소포자충
7
제1중간숙주가 쇠우렁이, 제2중간숙주가 붕어, 잉어등의 민물고기
간흡충, 간디스토마
8
제1중간숙주 다슬기, 제2중간숙주 게, 가재 등의 갑각류, 최종 숙주 사람인 기생충
폐흡충, 폐디스토마
9
제1중간숙주 다슬기, 제2중간숙주 은어, 잉어
장흡충, 요코가와흡충
10
제1중간숙주 물벼룩, 제2중간숙주 연어, 송어, 농어등의 담수어
광절열두조충, 긴촌충
11
제1연장숙주 크릴새우 등의 해산갑각류, 제2연장숙주 대구, 고등어, 갈치, 오징어 등 해산어류 및 연체류,제3최종숙주 해산포유류
아니사키스
12
제1중간숙주 물벼룩, 제2중간숙주 가물치, 뱀장어, 미꾸라지 등의 민물어류, 종말숙주 개나 고양이
유극악구충
13
선충류 중 가장 크며 경구감염시 간문맥과 심장 거쳐 폐로 이동, 65도 이상에서 10분이상 가열하면 사멸, 채소를 가열하거나 차아염소산용액으로 소독해 섭취
회충
14
인체내에서 분변과 함께 충란이 배출되며 소장상부, 특히 공장 상부에 기생함, 채소는 가열 혹은 소독 후 섭취, 경구 감염시 채독증 발생
구충(십이지장충)
15
채찍과 같은 모양으로 채소를 가열해 섭취하거나 차아염소산용액으로 소독후 섭취
편충
16
소형 기생충으로, 밤에는 항문 주위로 나와 산란하는 기생충
요충
17
주어진 감염병의 매개체 : 렙토스피라증, 페스트, 발진열, 선모충
쥐
18
1) 꼬리가 몸길이와 비슷하고 귓바퀴가 둥글다, 몸집이 아주 작다 2) 꼬리가 몸길이보다 길며 귀가 크다, 집쥐보다 몸집이 작다 3) 집쥐류 중 가장 크다. 꼬리가 몸길이보다 조금 짧거나 같고 귀가 두껍고 작다.
생쥐, 곰쥐, 시궁쥐
19
해당 질병의 매개체 : 장티푸스, 파라티푸스, 이질, 콜레라
파리
20
해당 질병의 매개체 : 말라리아, 사상충증, 뎅기출혈열, 지카바이러스, 일본 뇌염
모기
21
쥐로 인해 발생하는 감염병 ( ) : 발진열, 쯔쯔가무시 ( ) : 선모충 ( ) : 렙토스피라증, 페스트, 살모넬라
리케차, 기생충, 세균
22
파리의 구제 방법 ( ) : 파리알의 영양물질 섭취 ( ) : 유충의 서식처 제거
기생벌, 풍뎅이
23
바퀴벌레 ( )바퀴 : 소형, 밝은 황갈색, 흑색 두줄 종대 ( )바퀴 : 대형, 광택, 적갈색, 황색균상, 가운데 흑색 ( )바퀴 : 대형, 광택, 암갈색, 반원형, 반점 없음 ( )바퀴 : 중형, 흑갈색, 요철면, 날개 짧음
독일, 이질(미국), 검정(먹), 일본(집)
24
( )는 불완전변태를 하며 알에서 부화 후 3쌍의 다리를 갖는 유충을 거쳐 4쌍의 다리를 갖는 자충을 발육하여 성충이 된다.
진드기
25
( ) : 해충의 천적으로 이용하기도 함, 설탕이나 식품을 훔쳐 농업상 해를 미침 ( ) : 쌀, 보리, 밀, 수수, 옥수수 등 곡물 서식 ( ) : 쌀, 곡류 서식, 유충이 식품 속에서 발육하고 성충된 후 날게 됨
개미, 바구미, 나방
26
( )파리는 열대와 아열대 지역에서살고, 아프리카 수면병을 매개한다. ( )파리는 전 세계 분포하며 장티푸스, 소아마비 등을 전파한다.
체체, 집
27
( )모기 : 일본뇌염의 주 매개체 ( )모기 : 말라리아와 사상충증 주 매개체 ( )모기 : 사상충 매개 ( )모기 : 지카바이러스, 뎅기 바이러스 매개체
작은빨간집, 중국얼룩날개모기, 토고숲, 흰줄숲
28
다음 중 모기 매개 질병이 아닌 것을 모두 고르시오
파라티푸스, 이질, 아프리카수면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