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다음중 동물보건사가 수행하는 신체검사 목적이 아닌 것은?
동물의 질병에 대한 원인 판단과 이를 규명하기 위함이다.
2
“손과 손가락의 감각을 통한 환자의 평가”는 어떤것인가?
촉진
3
다음 중 수의테크니션 임상 모델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테크니션 처방
4
개의 체온 (Temperature) 측정에 있어서 가장 일반적인 장소는?
항문
5
개의 정상체온 (Temperature) 으로 옳은 것은?
38.5도
6
개의 정상 1분당 맥박수 (Purse rate)로 옳은 것은?
60~120
7
개의 정상 1분당 호흡수 (Respiratory rate)로 옳은 것은?
15~30
8
개의 정상 호흡수는?
16~32 bpm
9
고양이의 정상 호흡수는?
20~42 bpm
10
고양이의 정상 심박수는?
140~220 bpm
11
고양이의 정상 체온은?
38.9도
12
사진의 개들의 BCS는?
BCS 1
13
사진의 개들의 BCS는?
BCS 5
14
개의 영구치의 치식은?
I 3/3, C 1/1, P 4/4, M 2/3
15
개의 치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치아의 대부분은 단단한 시멘트질 (백악질)이 구성하여 튼튼하게 보강한다.
16
고양이의 영구치의 치식은?
I 3/3, C 1/1, P 3/2, M 1/1
17
개의 유치의 치식은?
I 3/3, C 1/1, P 3/3, M 0/0
18
고양이의 유치의 치식은?
I 3/3, C 1/1, P 3/2, M 0/0
19
개의 유치의 개수는?
28
20
개의 영구치의 개수는?
42
21
고양이의 유치의 개수는?
26
22
고양이의 영구치의 개수는?
30
23
청진기가 없을 경우, 뒷다리 안쪽에 손을 대고 맥박수를 측정할 수 있는 혈관은?
넙다리 동맥 (Femoral artery)
24
다음 중 탈수 (dehydration)의 평가 항목이 아닌 것은?
코에서 흘러나온 분비물의 정도
25
신체검사 항목 중 갈비뼈의 만져짐, 허리모양 등으로 동물의 체형(비만도)를 1에서부터 9까지 (또는 1에서 부터 5까지) 평가 하는 항목은?
BCS
26
1~5단계로 나뉘는 신체충실지수의 기준으로 분류할 때, 고도비만 환자의 Score 로 적당한 것은?
5
27
활력징후의 관찰 항목으로 옳지 않은 것은?
BP : 환경에 따라 다른 값이 나올 수 있어 여러 번 측정해야 한다.
28
모세혈관 재충만 시간 (CRT) 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탈수에 의해 시간이 단축된다.
29
다음중 체순환(대순환)의 경로를 순서대로 나열하면?
좌심실 -> 대동맥 -> 모세혈관 -> 대정맥 -> 우심방
30
심장에서 시작한 혈액의 순환으로 폐까지만 갔다가 다시 심장으로 돌아오는 순환을 뜻하는 폐순환 (소순환)의 경로를 <보기>에서 순서대로 올바르게 나열 한 것은? [보기] ㄱ. 좌심방 ㄴ.폐동맥 ㄷ.폐 ㄹ.폐정맥 ㅁ. 우심실
ㅁ -> ㄴ -> ㄷ -> ㄹ -> ㄱ
31
간문맥 순환에 대해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좌심실 -> 동맥 -> 모세혈관 -> 정맥 -> 우심방으로 이어지는 일반 적인 순환이다.
32
다음중 간문맥 순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앞, 뒤 장간막의 정맥은 대정맥으로 연결된다.
33
다음중 태아순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체순환이 불필요하고, 폐순환에 대한 우회로를 가지고 있다.
34
심전도 검사를 받을 때 환자는 어떤 자세를 취해야 하는가?
우측 외측면으로 눕힌다
35
심전도에서 P파가 의미하는 것은?
심방의 탈분극화
36
심전도 검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이마, 가슴, 배, 꼬리의 순서로 리드를 장착한다.
37
심장의 박동조율기 (pacemaker)에 해당하는 것은?
굴심방결절 (동방결절 sinoatrial node)
38
정상상태의 심전도 (ECG) 에서, QRS 파는 어느 심장주기 (cardiac cycle)에 해당되는가?
심실의 탈분극
39
다음 중 심전도 검사의 목적이 아닌 것은?
심장질환의 악화에 따른 폐부종, 흉수, 복수를 확인할 수 있다.
40
심전도 검사의 방법과 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검사는 1시간 이상 소요된다.
41
개의 심장사상충 감염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감염이 확인되면 당일 바로 성충구제제 (immiticide)를 투여한다.
42
개의 심장사상충 감염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심장사상충 키트 검사는 분변을 샘플로 한다.
43
개의 심장사상충 치료에 사용되는 치료제 중 자충 치료제에 해당하는 것은?
Ivermectin
44
심장사상충 성충 치료시 나타날 수 있는 일반적인 합병증은?
객혈, 호흡곤란
45
다음중 심장사상충 예방약이 아닌것은?
아폭솔레이너 (Afoxolaner)
46
심장은 나이에 의해 영향을 받는 기관이다. 만성 판막질환은 심장 판막이 두꺼워져서 발생한다. 가장 많은 영향을 받는 환자는?
노령견 (특히 소형견)
47
만성 이첨판 질환은 나이가 들수록 증가한다. 개에서 1/3 이상이 만성 이첨판 질환을 갖게 되는 평균 나이는?
10년
48
이첨판 폐쇄부전증을 가지고 있는 환자가 호흡곤란으로 응급 내원할 경우, 1차적으로 취해야 할 응급조치가 아닌 것은?
요도카테터 장착
49
다음중 심장질환 환자의 치료 및 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적극적인 다량의 수액처치가 필요하다.
50
다음 보기의 상황과 연관된 내과질환과 올바른 간호법이 알맞게 짝지어 진 것은? [보기] 6살된 고양이가 한쪽 뒷다리 통증호소 및 마비로 응급 내원하였다. 신체 검사상 마비된 뒷다리의 냉감 및 발바닥의 색변화(청색)이 확인되었으며, 대퇴동맥의 맥박이 느껴지지 않았다. 또한 항진된 호흡수 및 개구호흡이 관찰되었다.
고양이 비대성 심근증 (HCM) – 산소처치, 진통, 진정
51
고양이 확장성 심근병증의 유병률은 1987년 이후 현저하게 감소했으며, 이 영양소의 결핍이 주요 원인임이 나중에 밝혀졌다. 이 영양소의 이름은?
타우린
52
다음의 영양요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고양이 사료에는 타우린이 포함되어 있어야 하며, 결핍시 심장질 환과 안과질환 발생 가능성이 있다.
53
확장성 심근병증 또는 만성 판막질환 진단을 받은 개에게 사용했을 때 생존시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지방산은?
오메가 3
54
다음 약물의 투여방법중 동물의 혈관으로 직접 투여하는 방법은?
정맥 (Intravenous) 투여
55
다음중 약물의 생체이용률 (bioavailability)이 가장 높은 주사는?
정맥 (Intravenous) 투여
56
다음중 근육투여 경로를 의미하는 의학용어는?
IM
57
[보기]에서 설명하는 주사방법의 명칭으로 옳은 것은? [보기] 약물을 피부아래의 결합조직으로 직접 주사하는 방법으로써, 흡수는 느리지만 일정하게 흡수된다. 강아지 및 고양이의 종합백신을 비롯하여, 동물병원에서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투여경로의 일종이다.
Subcutaneous injection
58
다음중 모세혈관 재충만 시간을 의미하는 것은?
CRT
59
요측피정맥 정맥 카테터 장착을 위한 보정시 보정자는 채혈할 앞다리를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하며, 엄지와 검지로 앞다리 굽이(Elbow)를 감싼다. 이후 엄지에 부드럽게 힘을 주고, 약간 바깥쪽으로 회전하는 이유는?
혈관을 노장하는 역할을 하여, 혈관확보시 잘 보일수 있게 한다.
60
정상상태의 심전도 (ECG) 에서, P파는 어느 심장주기 (cardiac cycle)에 해당되는가?
심방의 탈분극
61
심장 전도 시스템을 아래 <보기> 중에서 순서대로 나열해 보면? <보기> A. 히스다발 (bundle of His) B. 푸르킨예 섬유 (purkinje fibers) C. 방실결절 (atrioventricular node) D. 동방결절 (sinoatrial node) E. 오른쪽 왼쪽 다발 가지
D-C-A-E-B
62
약물을 기화기 또는 분무기를 사용하여 액체 형태를 기체형태로 전환함으로써 약물을 호흡을 통한 흡기 공기로 환자에게 전달하는 투여경로는?
흡입 (Inhalation) 투여
63
다음 중 폐활량의 정의로 옳은 것은?
최대들숨 (흡기) 후 최대날숨 (호기)로 내보낼 수 있는 공기의 총량
64
다음중 남은공기량 (잔기량)의 정의로 옳은 것은?
강제호기 후 남은 양
65
다음중 흡기(들숨) 시 발생하는 내용과 관련되어 틀린것은?
늑간근이 이완한다.
66
다음중 호기(날숨) 시 발생하는 내용과 관련되어 틀린것은?
늑간근이 수축한다.
67
다음 사진의 방사선 촬영시, 촬영이 이루어져야 하는 시기는?
최대흡기
68
흉부 방사선 촬영의 노출적기는 언제인가?
최대흡기 (at maximum inspiration)
69
다음중 기침반사를 일으킬 수 있는 상태와 거리가 먼 것은?
장내 이물 (Intestinal foreign body)
70
아래의 <보기>의 빈칸에 들어가는 질환의 명칭은? <보기> ( )은 기관을 구성하는 물렁뼈가 약해져서 기도가 눌려서 발생 하는 질환으로써, 호흡곤란과 기침, 경련이 주 증상이며, 노령견 및 요크셔테리어 품종에서 자주 발병한다.
기관 협착증
71
일반적으로 최대흡기에 흉부 방사선을 촬영하지만, 흉부 방사선 촬영시 최대 흡기와 최대호기를 나누어서 모두 촬영해야 하는 질병의명칭은?
기관허탈
72
단두종 증후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셔틀랜드 쉽독, 도베르만 등에서 호발한다.
73
흉부 방사선의 VD 촬영시, 앞, 뒤쪽 보정자 별로 개를 잡는 부위가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앞쪽 보정자 - 뒤쪽 보정자
앞다리와 머리 - 뒷다리
74
링형태의 연골이 약해지거나 조직의 막이 느슨해져서 숨쉴때 기관이 튜브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납작해지는 상태와 관련된 질병은?
기관 협착증
75
퍼그, 페키니즈, 시츄, 보스톤 테리어, 잉글리쉬 불독과 같은 종류에서 다발하며, 해부학적 구조에 따른 기능이상으로 비공협착과 연구개 노장등이 나타나는 질환은?
단두종 증후군
76
호흡기계 질환 환자 간호시 고려사항으로 맞는 것은?
적정 체중을 유지하도록 BCS를 조절한다.
77
수액세트 20drops/ml 을 이용하여 300ml을 10시간동안 투여하고자 할 때 올바른 속도는?
10drops/분
78
4.5kg의 말티즈가 10% 탈수시 6시간동안 탈수 교정을 할때 투여하는 수액 의 총 양과 시간당 투여해야 하는 수액의 속도는? (ml/hr)
517.5ml, 86.25ml/h
79
5kg 의 말티즈가 지속적인 구토와 설사로 내원하였다. 신체검사상에서 피부탄력감소와 정상으로의 회복지연, 마른 점막등을 토대로 10% 탈 수로 판단하였다. 10시간동안 탈수교정을 위해 0.9% Saline을 투여하고자 할때, 투여하는 수액의 총 양과 시간당 투여하는 수액 속도는?
625ml, 62.5ml/h
80
소화기 질환으로 병원에 내원한 환자의 수술 8~10시간전 환자의 보호자에게 고지해야 할 필수 내용은?
금식
81
설사환자의 간호에 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분변은 발견즉시 모두 치워서 일반 쓰레기로 폐기한다.
82
탈수이면 CRT가 어떻게 될까?
늘어난다
83
다음중 <보기>의 밑줄 친 이 질환의 주요 관리법으로 옳은 것은? <보기> 이 질환은 식도 근육층이 약화됨으로써 식도가 늘어난 것이다. 늘어난 식도 부위에서 음식물이 위로 넘어가지 못하고, 식도에 정체되거나 역류하는 증상을 보인다.
목이 높은 자세로 식이급여 후 자세 유지
84
5kg의 개가 심한 구토와 설사로 내원하였다. 신체검사상 6%의 탈수로 추정된 경우, 12시간동안 6% 탈수를 교정하려는 경우에 적합한 수액 속도는? (단, 유지속도 = 체중 x 2.5ml/hr/kg)
37.5ml/h
85
다음중 수술 후 환자의 산소공급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비강 – 식도 튜브를 이용한 산소 공급
86
복강경 검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상대적으로 비침습적인 방법이므로 금식을 요구하지 않는다.
87
황달을 보이는 개에서 예상할 수 있는 내용이 아닌 것은?
혈액 검사시 저 빌리루빈 혈증이 예상된다.
88
혈청 화학검사의 빌리루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간에 특이적인 효소이다.
89
간의 병변이 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현상이 아닌 것은?
링형태의 연골이 약해져서 기관이 납작해져 호흡곤란이 발생한다.
90
간담도계 질환의 특이적인 임상증상이 아닌 것은?
비염
91
마이크로헤마토크리트 튜브에 원심분리된 혈청이 정상과 비교하였을때 누리끼리 한 황색(볏짚색상) 이거나 주황색이라면 무엇을 의미하는가?
황달
92
마이크로헤마토크리트 튜브를 원심분리 했을 때, 혈청이 붉은 색으로 보인다면 무엇을 의미하는가?
용혈
93
황달의 근본적인 원인은?
고빌리루빈혈증
94
혈액중의 총빌리루빈의 농도는 다음중 어떤 장기의 기능을 평가하는데 사용되는가?
간
95
총 빌리루빈 혈중 수치변화를 일으키지 않는 것은?
급성 췌장염
96
혈액이 간을 거치지 않고 전신으로 순환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질병이며, 요크셔테리어와 같은 소형견에서 다발하고, 선천성 이상의 경우 비정상적인 혈관을 수술적으로 결찰하는 수술을 제안하는 질병은?
간문맥전신단락증
97
다음중 구리독성은 구리가 어느곳에 축적되어 발생하는가?
간
98
개에서 대표적인 간독성 유발물질이 아닌것은?
오메가 6 지방산
99
고양이 간 지방증 (간지질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담낭 내에 끈적한 점액이 쌓이는 질환이다.
100
다음중 대칭성 탈모가 나타나는 개에서 의심할 것은?
내분비질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