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최초사격요구 중 ( )은 관측자와 사격지휘소 간의 통신망을 확립하는 단계이다. *예시) 기러기 여기는 갈매기
관측자식별
2
기지점전이를 이용한 표적위치결정 시 방위각은 ( )단위, 수평전이량은 ( )단위, 사거리전이량은 ( )단위, 수직전이량은 ( ) 단위로 결정한다.
10밀, 10m, 100m, 5m
3
표적위치는 관측자가 표적위치 결정방법에 의해 결정한 표적제원을 사격지휘소에 전파하고, 사격지휘소는 ( )을 산출한다.
사격제원
4
( )는 표적에 대한 공격방법 및 통제방법을 결정한 후 관측자에게 통보하는 내용이다.
사격지휘통보
5
T각이 ( )이상일 때 통보하는 이유는 T각이 커질수록 관목선상 사거리 수정량이 포목선상에서는 편의 수정량으로 적용되므로, 경험인수를 고려하여 사탄 판정하라는 뜻으로 통보한다.
500밀
6
관측자에게 가장 중요한 고려사항은 모든 표적에 정확한 ( )을 실시하는 것이다.
기습사격
7
사격지휘소에서는 사거리 공산오차가 ( )이상일 때 관측자에게 이를 통보한다.
38m
8
조명탄은 구경에 따라 성능이 다르나, 105밀리 조명탄 기준 ( )간 반경 ( )지역을 조명할 수 있다.
1분, 400m
9
공산오차의 종류는 사거리, 편의, 파열시간, 파열고, 파열거리 공산오차가 있으며, 이중 공산오차 수치가 가장 큰 것은 통상 ( )이다.
사거리 공산오차
10
사전에 알고 있는 지점과 표적과의 위치를 비교하여 제원을 산출하는 표적위치결정 방법은?
기지점 전이
11
탄착중심을 기준해서 사격방향상으로 어느 지점을 초과하는 발수와 초과하지 않는 발수가 동일할 때 그 지점까지의 거리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사거리 공산오차
12
도북에서 자북에 이르는 우회수평각은?
정량편차
13
포구로부터 수평점( )까지 포탄이 날아가는 시간은?
비과시간
14
관측자가 기동부대와 합류하기 전 대대 통신장교로부터 확인 및 조치해야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5. 포병지원계획
15
다음 중 관측소 점령보고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3. 적 전투현황
16
기계화장비 탑승 전투간 관측자 제한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
4. 기동부대와 무선통신 제한
17
탄착중심으로부터 30m 지점을 기준으로 50%가 30m이내 사거리에 탄착되고, 50%가 30m이상 사거리에 탄착된 경우 이때, 4사거리 공산오차는 몇 m인가?
120m
18
관측자로부터 표적까지 거리가 700m 일 때, 관목인수는 몇인가?
0.7
19
관측소의 표고가 +150m이고, 표적의 표고가 +120m 일 때 수직전이량은?
-30m(낮춰 30)
20
기지점전이를 이용한 표적위치결정 시 관측소 표고가 +130m, 표적의 표고가 +100m, 기지점의 표고가 +110m 일 때 수직전이량은?
-10m(낮춰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