暗記メーカー
ログイン
BIM+
  • 롱패딩

  • 問題数 42 • 12/15/2024

    記憶度

    完璧

    6

    覚えた

    16

    うろ覚え

    0

    苦手

    0

    未解答

    0

    アカウント登録して、解答結果を保存しよう

    問題一覧

  • 1

    프로젝트 영향곡선

    A - 비용 절감 기회곡선

  • 2

    시설물의 생애주기 동안 발생하는 모든 정보를 3차원 모델 기반으로 통합하여 건설 정보와 절차를 표준화된 방식으로 상호 연계하고 디지털 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디지털 전환체계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 3

    BIM 도입 목적

    Better, Cheaper, Faster, Green, Safer 저비용, 친환경적, 품질좋은 시설물을 빠르고 안전하게 구축하여 높은 이윤 창출

  • 4

    BIM 관련 기술

    Parametric 3D 모델링 BIM to 2D도면 추출 4D 시뮬레이션(시간) 5D 시뮬레이션(비용) - QTO, Vico Office 에너지 시뮬레이션 Generative Design - AI 활용 자동화 설계 BIM 라이브러리 간섭검토 GIS 공간정보 통합 품질검토 - Solibri Model Checker 클라우드 기반 BIM 플랫폼 - Projectwise

  • 5

    WBS 구성

    1-도로 2-구조물공 3-시설물 4-방향공간 5-확장공간 6-작업관리 7-세부작업관리

  • 6

    -협업을 위해 발생되는 다양한 이슈 데이터 등의 상호 교환을 위한 개방형 포맷 -bSI(bulidingSMART International)에 의해 개발된 BIM 모델 간의 통신을 위한 표준 -협업 환경에서 소프트웨어 간에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을 제시

    BCF (BIM Collaboration Format)

  • 7

    -건설 자산의 유지관리에 필요한 공간 및 장비를 포함하는 자산정보를 정의한 국제표준 -기하학적 모델이 아닌 자산 데이터 전달에 초점을 맞춘 BIM의 상호 운용성을 가능하게 하는 개방형 표준 양식 -설비 구축 프로젝트의 파트로 전달되는 자산 정보를 정의 -BIM 프로세스에 대한 데이터를 문서화하는 데 사용 -STEP 물리적 파일 형식 외에도 스프레드시트 형식과 트랜잭션 XML 스키마로 데이터를 제공 -NBIMS-US™V3

    COBie (Construction-Operations Building Information exchange)

  • 8

    -건설 또는 설비관리 산업 분야의 다양한 참여자가 사용하는 소프트웨어 간에 교환·공유되는 BIM 데이터의 공개 국제표준 -건설 시설의 수명주기 동안 필요한 데이터를 다루는 정의를 포함 -소프트웨어 간 BIM 모델의 상호운용 및 호환을 위해 개발한 국제표준(ISO 16739)기반의 데이터 포맷 -공개된 표준규격 범위 내에서 BIM 모델의 공유·교환·활용에 사용 -동일한 목적 달성을 위해 사용하는 응용프로그램들 간의 정보호환성을 위한 미리 정의된 정보 구조 -프로젝트에 필요한 정보를 담을 수 있는 미리 약속된 정보 구조

    IFC (Industry Foundation Classes)

  • 9

    -부위별 분류, 시설물 완성에 필요한 세부공종과 내역을 결합시키는 정보분류체계 -프로젝트 목표를 달성하고 필요한 결과물을 도출하기 위해 실행하는 작업을 계층 구조로 세분해 놓은 것 -건설사업 업무를 분야별로 분류한 것 -업무역할과 BIM 모델작성의 영역을 구분하는 기준 -기획, 설계, 시공 및 유지관리 단계로 분류 -건설관련 주체는 공사관련 문서의 작성 및 건설관련 정보시스템의 정보분류 등 사업단위를 구분하기 위한 코드를 활용

    WBS (Work Breakdown Structure)

  • 10

    -사업수행자가 수행한 모든 작업·서비스를 포함하는 작업분류체계의 실제 비용 구조 -원가분류에 필요한 공사정보 분류를 근거로 공정, 비용, 기술을 통합한 체계, 수량 및 공사비 산출 시 활용

    CBS (Cost Breakdown Structure)

  • 11

    -BIM 객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객체관점의 공간·시설·부위 단위의 위계 구조 -BIM 모델을 각종 업무에 활용하기 위하여 시설물 전체를 대상으로 건설정보분류체계의 관점에서 객체단위를 분리하거나 조합하여 체계적으로 분류한 것 -시설물 객체에 속성을 구성하기 위한 객체별 속성분류로 식별, 형상, 재료 및 코드 등의 특성을 포함

    OBS (Object Breakdown Structure)

  • 12

    -OGC(Open Geospatial Consortium)에서 개발한 측량, DTM, 선형, 횡단 객체를 엔지니어링이 가능한 정도로 표현한 정보 모델 -토지개발·운송 산업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토목공학 및 조사 측정 데이터를 포함하는 특수 XML 데이터 파일형식

    LandXML (Land extensible markup language)

  • 13

    개방형 표준 종류

    -IFC -COBie -BCF -bSDD -LandXML -InfraGML 1.0 (OGC) -GSA Design to Spatial Program Validation -gbXML11 -CDE(ISO19650-1,2) -PDF

  • 14

    지침 구성 및 위계

    (국토부) 1-1 건설산업 BIM 기본지침 1-2 건설산업 BIM 시행지침 (발주처) 2-1 분야별 BIM 적용지침 [필수] 2-2 분야별 BIM 실무요령 [선택]

  • 15

    - 모델 안에서 시설물을 구성하는 단위 객체 - 여러 프로젝트에서 공유·활용할 수 있도록 제작한 객체 정보의 집합

    BIM 라이브러리

  • 16

    BIM 활용목적, 적용대상·범위, 데이터 작성·납품 요구사항 등 발주자가 과업에 필요한 사항을 정의한 문서

    BIM 과업지시서

  • 17

    발주처가 BIM 적용 업무수행에 충족되어야 할 요구사항을 전체적으로 정의한 문서

    BIM 요구정의서 (BIM Requirement)

  • 18

    수급인이 BIM 적용업무의 수행계획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문서

    BIM 수행계획서 (BEP, BIM Execution Plan)

  • 19

    BIM 데이터의 상호운용성 확보를 위해 ISO·buildingSMART에서 제정한 국제표준 규격의 BIM 데이터를 체계적인 절차에 따라 다양한 주체들이 서로 원활하게 공유·교환함으로써 BIM 도입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는데 활용하는 개념

    개방형 BIM (Open BIM)

  • 20

    -업무수행 과정에서 다양한 주체가 생성하는 정보를 중복·혼선이 없도록 공동으로 수집, 관리·배포하기 위한 환경 -관리 프로세스를 통해 각 정보 컨테이너를 수집, 관리 및 배포하기 위해 주어진 프로젝트 또는 자산에 대해 합의된 정보

    CDE (Common Data Environment)

  • 21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BIM 모델의 상세수준 -형상정보와 속성정보가 연계되어 단계를 거치면서 최종 준공모델로 생성되는 수준

    LOD (Level of Development)

  • 22

    -분류와 그 속성, 허용된 값, 단위 및 번역을 호스팅하는 온라인 서비스 -데이터 품질과 정보의 일관성을 보장하기 위해 표준화된 워크플로우를 제공 -데이터베이스 내부의 모든 컨텐츠를 연결 -건설객체의 개념, 속성, 분류체계를 다양한 언어로 정의한 것 -ISO12006-3: 2007

    bSDD (buildingSMART Data Dictionary)

  • 23

    BIM 수행계획서(BEP) 최소 요구사항

    - BIM 기술환경 확보계획 수립 - BIM 협업계획 수립 - 파일교환 요구사항 - 보안계획 및 저작권·소유권 명시

  • 24

    모델 작성기준 필수 요구사항 - 좌표계 및 표고

    UTM84-52S

  • 25

    BIM 모델상세수준에 대한 설명

    하나의 시설은 단계별로 시설 전체에 동일한 상세수준 적용

  • 26

    BIM 데이터 품질검토 원칙

    물리적 품질 (객체간 충돌 여부, 허용오차 값 제시) 논리적 품질 (설계요구조건 만족여부) 속성데이터 품질 (속성 값의 존재 여부 및 정확성)

  • 27

    BIM 모델상세수준 종류

    -LOD (Level of Development) -BIL (Building Information Level) -LOIN (Level of Information Need)

  • 28

    CDE (ISO 19650-1, ISO 19650-2) 의미

    ISO19650-1: 구축된 자산의 수명주기 동안 정보의 관리 및 생산을 지원하기 위해 빌드 환경 분야 전반의 비즈니스 프로세스에 대한 개념과 원칙을 설정

  • 29

    BIM 협업 대상

    발주자 건설사업관리자 수급인

  • 30

    BIM 협업 절차

    모델작성 - 이슈발생 - 의사결정 - 모델조정 - 협업관리

  • 31

    BIM 협업 시스템 선정 기준

    -협업 시스템 기능 (BIM 모델관리, 객체관리, 간섭 및 충돌 검토, 데이터백업, 도구 지원) -개방형 표준 형식 반영 -확장성 -연계성

  • 32

    BIM 적용절차 - 발주자

    조직구성 사업계획수립 BIM 요구사항 정의 공고 평가 및 선정 품질검토 성과품관리

  • 33

    BIM 적용절차 - 수급인

    BIM 업무조직구성 BIM 수행계획작성 계약 BIM 기술환경확보 BIM 모델 작성 BIM 성과품 작성 자체 품질 검토 BIM 성과품 제출

  • 34

    드론 매핑 소프트웨어의 종류

    - PIX4D Mapper (Pix4d) - ContextCapture (Bentley) - Reality Capture (Epic) - Recap Photo (Autodesk) - Metashape (Agisoft) - AiMAPS (무한정보기술)

  • 35

    지상 표본 샘플링 거리(GSD) 공식

    GSD = (SW * H * 100) / (ImW * F)

  • 36

    균일한 GSD 값을 얻기 위해서 가장 높은 비행고도와 낮은 비행고도는 O배를 초과하지 않도록 비행해야 한다

    2배

  • 37

    -대상 표면에 투사한 레이저의 간섭,반사 이용 -점 데이터 형태의 Point Cloud 형성하여 3차원 공간정보 취득하는 기술

    3D Laser Scan

  • 38

    간섭검토 해결방안

    1. 철근 배치 수정: 간섭이 발생하는 철근의 배치를 수정하여 간섭을 제거 (철근 간격 조정, 방향 변경, 크기 조정 등) 2. 구조물 설계 수정: 간섭이 발생하는 구조물의 설계를 수정 (구조물의 형태나 크기 변경, 구조물의 위치 조정) 3. 철근 절단 및 연결: 간섭이 발생하는 철근을 절단하고 연결 (철근의 강도와 내구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연결 방법 사용) 4. 철근 우회: 간섭이 발생하는 철근을 우회하여 다른 경로로 배치 (우회하는 철근이 구조물의 안전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함) 5. 추가 철근 배치: 간섭이 발생하는 부분에 추가 철근을 배치하여 간섭 제거 (추가 철근이 구조물의 안전성과 내구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적절한 위치와 간격으로 배치)

  • 39

    공정 시뮬레이션을 통한 공정계획 최적화 방안 -BIM을 활용하여 토공 설계와 물량산출 데이터를 기반으로 공정 시뮬레이션을 구현함으로써, 공정계획의~

    1. 정확성: 공사 기간과 비용을 예측하여 공정계획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음 2. 유연성: 상황 변화에 따른 신속한 대응 가능, 공사 지연이나 중단 등의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음 3. 효율성: 작업시간과 이동거리 최소화, 작업자 간의 협업을 촉진하여 작업 효율성 향상 가능 4. 안전성: 작업자의 안전성을 고려한 공정계획 수립할 수 있음. 사고 예방, 안전관리에 대한 역량 강화 5. 공정계획 최적화 가능, 공사 기간과 비용 절감하고 공사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음 6. 공정계획의 지속적인 개선 가능, 공사 진행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필요한 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 있음 7. 신뢰성: 공사 관계자들 간의 원활한 소통과 협력을 이끌어낼 수 있고 성공적인 공사 수행을 위한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음

  • 40

    유지관리단계 BIM에서 설계방식, 역설계방식 차이

    -설계방식: 준공 BIM (as-built) -역설계방식: Scan to BIM

  • 41

    QTO 계산 (체적,중량)

    체적= 항목면적 *0.05 중량= 항목면적 *0.05 *2.35

  • 42

    Civil 3D 모델링 워크플로우

    ① 프로젝트 템플릿 작성 ② 원지형 작성 ③ 지층 작성 ④ 평면선형 작성 ⑤ 종단선형 작성 ⑥ 표준횡단 작성 ⑦ 코리더 작성 ⑧ 계획지표면 작성 ⑨ 단면검토선 작성 ⑩ 도면 및 토공량 산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