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기초 설명
건축물 최하부에서 건축물의 하중을 지반에 안전하게 전달하는 구조부
2
지정 설명
기초판을 지지하기 위해 그 아래에 설치하는 버림콘크리트, 잡석, 말뚝 등
3
강재말뚝 부식 방지 3가지
1. 도장법 2. 전기방식법 3. 판 두께 증가
4
기성콘크리트 말뚝을 타설할때 그 중심간격은 말뚝지름의 ( ) 배 이상 또한 ( ) mm 이상으로 한다.
2.5 750
5
PHC 파일을 만드는 과정에서는 ( ) 양생을 하고, ( ) 을 적용시켜 만든다.
오토클레이브 (고온, 고압) 프리텐셔닝
6
기성말뚝 타격공법에서 주로 사용하는 디젤해머 장점 3가지
1. 타격속도가 빠르다 2. 경비가 저렴하며 기동성 우수 3. 운전이 간단하며 시공성 우수
7
기성콘크리트 말뚝 무소음.무진동 공법 종류 4가지 및 설명
1. 압입공법 -유압기구를 갖춘 압입장치의 반력을 이용하는 방법 2. 수사법 (Water Jet) - 말뚝 선단부에 고압으로 물을 분사시켜 지반을 무르게한 후 말뚝을 박는 방법 3. 선행굴착공법 (Pre- Boring) - 오거로 미리 구멍을 뚫고 기성말뚝을 삽입 후 압입,타격하여 말뚝을 박는 방법 4. 중공굴착공법 - 말뚝 중공부에 스파이럴 오거를 삽입하여 굴착하면서 말뚝을 관입하고, 시멘트 밀크를 주입하는 방법
8
압입공법 말뚝 선단부 형상 2가지
1. 연필형태 2. 플랫형태
9
기성말뚝 이음의 종류 4가지
1. 충전이음 2. 용접이음 3. 볼트이음 4. 장부이음
10
마이크로 말뚝 정의와 장점 4가지
1. 정의 : 구조물의 기초, 기초보강, 리모델링 등 목적으로 사용되는 직경 30cm 이하의 강재 보강 비변위 말뚝 2. 장점 - 소형 장비를 사용하기 어려운 환경 시공가능 - 대부분의 토질 조건 적용 가능 - 진동과 소음이 작음 - 기존 말뚝공법 적용 불가한 소규모 현장 적용 가능
11
제자리콘크리트 말뚝시공 종류 5가지
컴프레솔 말뚝 프랭키 말뚝 페데스탈 말뚝 레이몬드 말뚝 심플렉스 말뚝
12
프리팩트 콘크리트 말뚝 종류 3가지
CIP말뚝, PIP말뚝, MIP말뚝
13
1.0~2.5ton의 3가지 추를 사용하며 천공하고 잡석과 콘크리트를 교대투입 후 다짐하여 콘크리트말뚝을 만드는 공법
컴프레솔 말뚝
14
철관을 쳐서 박아 넣고 그 속에 콘크리트를 부어 넣고 중추로 다짐하여 외관을 뽑아내는 공법
심플렉스 말뚝
15
외관에 심대를 넣고 박아 심대를 뽑고 콘크리트를 넣은 후 다짐을 실시하여 외관이 땅속에 남은 유곽 파일
레이몬드 말뚝
16
페데스탈 파일 시공순서 ① 내관을 빼낸다 ② 외관 내에 콘크리트를 넣는다 ③ 내관을 넣어 콘크리트를 다지며 외관을 서서히 빼 올리며 콘크리트를 구근형으로 다진다 ④ 외관과 내관의 2중관을 동시에 소정 위치까지 박는다
4 - 1 - 2 - 3
17
CIP 공법 콘크리트 말뚝지정 실시 순서 ① 자갈 다져넣기 ② 모르타르 주입 ③ 철근 주입 ④ 모르타르 주입용 파이프 설치
3 - 4 - 1 - 2
18
합성말뚝 설명
하부강재와 상부콘크리트와 같은 이질재료를 접합시킨 말뚝
19
제자리 콘크리트 말뚝 중 회전식 드릴링 버켓에 의해 지중에 필요 깊이까지 굴착하고, 그 굴착공에 철근을 삽입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말뚝을 조성하는 공법
어스드릴 공법
20
제자리 콘크리트 말뚝 중 특수 비트의 회전으로 굴착된 토사를 드릴 로드 내의 물과 함께 공외로 배출하여 침전지에 토사를 침전시킨 후 물을 다시 공내에 환류 시키면서 굴착한 후 철근망을 삽입하고 트레미관에 의해 콘크리트를 타설하면서 말뚝을 조성하는 공법
RCD 공법
21
제자리 콘크리트 말뚝 중 특수 고안된 케이싱 튜브를 좌회전과 우회전 운동의 반복에 의해 요동시키면서 지반의 마찰저항을 감소시켜 유압잭으로 압입하면서 공벽 파괴를 방지하고 해머그랩으로 굴착 후 철근을 삽입하고 콘크리트를 충전하면서 케이싱 튜브를 빼내면서 말뚝을 조성하는 공법
베노토 공법
22
베노토 공법 시공순서 5단계
1. 케이싱 튜브를 압입하고 해머그랩으로 굴착 2. 철근망을 삽입한다 3. 트레미관을 삽입한다 4.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5. 케이싱 튜브를 빼내고 말뚝을 만든다.
23
지하구조물이면서 흙막이 버팀대 역할을 하는 공법 3가지
개방잠함(오픈케이슨) 공법 우물통(월) 공법 용기잠함(뉴메틱케이슨) 공법
24
개방잠함 기초의 시공순서 ① 주변 기초 구축 ② 지하구조체 지상 구축 ③ 중앙부 기초 구축 ④ 하부 중앙흙 파내기
2 - 4 - 3 - 1
25
말뚝박기 시험에서 타격횟수 ( )회에 총관입량이 ( )mm 이하인 경우의 말뚝은 박히는데 거부현상을 일으킨 것으로 본다
5, 6
26
말뚝박기 시험에서 기초면적 ( )m2 까지는 2개의 단일 시험말뚝을, ( )m2 까지는 3개의 단일 시험말뚝을 설치한다.
1500, 3000
27
지하구조물 부력 부상 방지 대책 4가지 서술
1. 구조물의 자중을 증대시킨다. 2. 이중지하실을 설치하여 지하수를 유입한다. 3. 유입된 지하수를 강제 펌핑하여 외부로 배수시킨다. 4. 락 앵커 공법 등 지반정착 공법을 사용한다.
28
기초공사에서 플로팅 파운데이션(Floating Foundation) 설명
연약지반에 중량건축물 시공시 굴착한 흙의 중량과 건축물의 중량이 균형을 이루도록 만든 기초공법
29
지반개량공법에서 진동다짐 압입공법 종류 2가지
진동다짐공법, 다짐모래말뚝
30
약액주입공법 주입효과 판정 시험 3가지
육안확인 투수시험 강도확인시험
31
연약지반 개량공법 3가지
탈수공법 고결공법 치환공법
32
점토지반 개량공법 3가지 종류 및 설명
1. 치환공법 : 연약층의 흙을 양질의 흙으로 교체하는 방법 2. 동결공법 : 지반에 파이프를 박고 액체질소나 프레온가스를 주입하여 지하수를 동결시켜 차단하는 방법 3. 선행재하공법(프리로딩) : 구조물에 상당하는 무게를 미리 연약지반 위에 일정 기간 방치하여 연약지반을 압밀시키는 것
33
지반개량공법 중 사질토 탈수공법
웰 포인트 공법
34
지반개량공법 중 점성토 탈수공법 4가지
페이퍼 드레인 팩 드레인 샌드 드레인 생석회 말뚝
35
웰 포인트 공법을 설명
파이프를 1~2m 간격으로 삽입 후 모래를 넣고 진공 다짐하여 탈수하는 공법
36
샌드 드레인 공법 설명
지반을 천공하여 모래를 넣고 하중을 가하여 점토질 지반을 압밀하는 공법
37
페이퍼 드레인 공법 설명
합성수지로 된 카드보드를 지반에 삽입하여 탈수하는 공법
38
생석회 말뚝 설명
지반 내에 생석회에 의한 말뚝을 설치하여 흙을 고결화시켜 연약지반의 강화를 도모하는 공법
39
기초구조물 부동침하 방지대책 4가지
1. 지하실 설치 : 온통기초 유효 2. 마찰말뚝을 사용하고 서로 다른 종류의 말뚝 혼용 금지 3. 기초 상호간을 연결 : 지중보 또는 지하연속벽 4. 언더피닝 공법 적용
40
상부구조물 부동침하 방지대책 3가지
1. 건물의 길이를 작게하고 강성을 높인다. 2. 인접 건물과의 거리를 멀게한다. 3. 건물의 경량화, 중량 분배
41
언더피닝 공법 시행 목적 3가지
1. 기존 건축물의 기초 보강 2. 새로운 기초 설치하여 기존 건축물 보호 3. 터파기 또는 지하구조물 축조시 인접건물 침하, 균열 등 피해 예방
42
언더피닝 공법 4가지
1. 이중널말뚝박기 2. 강재말뚝 3. 현장타설콘크리트말뚝 4. 약액주입
43
현장에 반입 철근 재료시험 종류 2가지
1. 인장강도 시험 2. 휨강도 시험
44
철근 인장강도 계산식, 단위
P/A = P/(πD²/4) [MPa, N/mm²]
45
응력-변형도 곡선 각 위치의 용어
A: 비례한계점 B: 탄성한계점 C: 상위항복점 D: 하위항복점 E: 변형도경화점 F: 극한강도점 G: 파괴점 H: 탄성영역 I: 소성영역 J: 변형도경화영역 K: 파괴영역
46
강재의 항복비 설명
강재가 항복에서 파단에 이르기까지 나타내는 기계적 성질의 지표로서, 인장강도에 대한 항복강도의 비
47
갈고리를 만들어야하는 철근 위치
1. 원형철근 2. 스터럽 3. 띠철근 4. 굴뚝 철근 5. 기둥 및 보의 돌출부 철근(지중보 제외)
48
철근 정착 위치 기둥 주근 ( ), 큰보 주근 ( ), 작은보 주근 ( ), 보 밑 기둥이 없을때/ 바닥철근 ( )
기초, 기둥, 큰보, 벽체
49
철근 이음 방법 3가지
1.겹침이음 2.용접이음 3.기계식 이음
50
철근 이음을 가스압접으로 할 수 없는 경우 3가지
1. 항복강도가 다를때 2. 직경 차이가 6mm를 초과할 때 3. 0℃ 이하에서 작업할 때
51
철근 간격 유지하는 목적 3가지
1. 소요강도 확보 2. 콘크리트 유동성 확보 3. 재료분리 방지
52
건축공사 표준시방서에서 규정하는 철근간격
굵은 골재 치수 4/3배, 25mm, 주철근 공칭직경 1.5배 중 최대값
53
건축구조기준 보의 철근 간격
굵은골재 최대치수 4/3배, 25mm, 주철근 1배 중 최대값
54
피복두께 정의
콘크리트 표면에서 가장 근접한 철근 표면까지의 거리
55
피복두께 유지 목적 4가지
1. 콘크리트 유동성 확보 2. 소요강도 확보 3. 내구성 확보 4. 내화성 확보
56
수중콘크리트 타설 시 피복두께
100mm
57
철근콘크리트의 철근 부식 방지 대책 4가지
1. 철근 표면에 아연도금 처리 2. 골재에 제염제 혼입 3. 콘크리트에 방청제 혼입 4. 에폭시 코팅 철근 사용
58
콘크리트 내부 철근을 부식시키는 요소 3가지
물, 공기, 염분
59
철근 선조립 공법 장점 3가지
1. 현장 노동력 절감 및 공기단축 2. 시공 정밀도 향상 3. 품질향상 및 품질관리 용이
60
이형철근 설명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을 높이기 위해 철근 표면에 리브 및 마디 등의 돌기가 있는 봉강
61
배력근 설명
하중을 분포시키거나 균열을 제어할 목적으로 주철근과 직각에 가까운 방향으로 배치한 보조철근
62
콘크리트에 이용되는 거푸집의 역할 3가지
1. 콘크리트 타설 시 형상과 치수 유지 2. 경화시 필요한 수분, 시멘트페이스트 누출방지 3. 경화될 때까지 외기영향을 최소화하여 콘크리트 품질 확보
63
거푸집이 갖추어야 할 구비 조건 5가지
1. 가공 용이 2. 치수 정확도 3. 외력에 대한 안정성 4. 수밀성 확보 5. 조립해체의 간편성
64
거푸집에서 시멘트페이스트가 누출시 현장조치 방법 2가지
1. 각목, 철판, 판자 등으로 막는다. 2. 급경성 재료로 누출부위를 막는다.
65
거푸집 고려해야하는 하중 1. 보, 슬래브 옆면 2. 벽, 기둥, 옆면
1. 생 콘크리트 중량, 작업하중, 충격하중 2. 생 콘크리트 중량, 생 콘크리트 측압
66
거푸집 측압에 영향을 주는 요소 4가지
1. 슬럼프값이 클수록 측압이 크다. 2. 벽두께가 두꺼울수록 측압이 크다. 3. 타설속도가 빠를수록 측압이 크다. 4. 습도가 높을수록 측압이 크다.
67
콘크리트 헤드 설명
타설된 콘크리트 윗면부터 최대 측압면까지의 거리
68
콘크리트 재령일
1. 2 2. 4 3. 5 4. 3 5. 6 6. 8
69
기초, 보옆, 기둥 및 벽의 거푸집널 존치기간은 콘크리트 압축강도가 ( )MPa 이상에 도달한 것이 확인될 때까지로 한다.
5
70
다층구조 경우 받침기둥의 존치기간은 슬래브 밑 및 보밑 모두 설계기준 강도의 ( )% 이상의 콘크리트 압축강도가 얻어진 것이 확인 될 때 까지이며, 계산결과에 관계없이 받침기둥을 해체 시 콘크리트 압축 강도는 ( )MPa 이상이어야 한다.
100, 14
71
거푸집 존치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4가지
1. 구조 부재의 종류 2.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 유무 3. 시멘트 종류 3. 평균기온
72
솟음 설명
보나 트러스 등이 정상적인 위치 또는 형상보다 위로 구부러져 올라간 상태
73
동바리 설명
거푸집의 일부로 소정의 치수나 형상의 콘크리트가 되도록 고정,지지하는 지주
74
벽체 전용 거푸집 4가지
1. 갱폼 2. 슬라이딩 폼 3. 슬립 폼 4. 클라이밍 폼
75
작업발판 일체형 거푸집 4가지
1. 갱폼 2. 슬라이딩 폼 3. 슬립 폼 4. 클라이밍 폼
76
갱폼의 장단점 2가지
1. 장점 - 작업 사이클이 단순하여 빠른 조립속도로 공기단축 - 전용횟수가 많고 고층건물에 이용시 원가절감 2. 단점 - 제작장소 및 해체후 보관장소 필요 - 초기투자비용 재래식보다 높음
77
슬라이딩 폼 설명
거푸집을 연속으로 이동시키면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 이음이 없는 균일 시공이 가능한 거푸집으로, 단면형상의 변화가 없는 구조물에 사용
78
와플폼 설명
무량판 구조를 2방향 장선 바닥판 구조가 가능하도록 된 특수 상자 모양의 기성재 거푸집
79
터널폼 설명
한 구획 전체의 벽면과 바닥을 동시에 타설할 수 있는 ㄱ형, ㄷ형의 거푸집
80
슬립폼 설명
거푸집을 연속으로 이동시키면서 콘크리트를 타설하므로 시공 이음이 없는 균일 시공이 가능한 거푸집으로 단면형상의 변화가 있는 구조물에 사용
81
트래블링 폼 설명
대형 시스템화 거푸집으로 한 구간 콘크리트 타설 후 수평이동이 가능하여 터널이나 지하철공사에 적용한다.
82
플라잉 폼 설명
바닥슬래브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대형거푸집으로 거푸집널,멍에,장선,서포트를 일체화로 제작하여 수평,수직으로 이동이 가능한 거푸집
83
플라잉 폼 장점 3가지
1. 전용횟수가 (30~40회)로 많아 경제적 2. 가설발판 설치가 불필요하여 공기단축 3. 서포트 수량 감소
84
알루미늄 거푸집을 일반 합판 거푸집과 비교하여 골조품질과 해체작업시 발생될 수있는 장점
1. 골조품질 : 골조의 수직.수평 정밀도가 우수하고 면처리 작업이 감소된다. 2. 해체작업 : 안정성이 향상되고 소음이 감소한다.
85
무지주공법의 수평지지보에 대한 설명 및 종류 2가지
1. 설명 : 지주 없이 수평지지보를 걸쳐 거푸집을 지지 2. 종류 : 보우빔(길이조절 불가능), 페코빔(길이조절 가능)
86
데크플레이트 설명
구조용 강판을 절곡하여 만든 슬래브 하부 거푸집으로 콘크리트 타설 후 마감재로 사용
87
스페이서(Spacer) 용도
철근의 피복두께 유지를 위해 벽,바닥 철근에 대어주는 간격재
88
세퍼레이터 용도
벽 거푸집이 오므라드는 것을 방지하고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격리재
89
와이어 클립퍼 용도
거푸집 긴장철선을 콘크리트 경화 후 절단하는 절단기
90
인서트 용도
콘크리트에 달대와 같은 설치물을 고정하기 위해 매입하는 철물
91
폼타이 용도
거푸집 간격을 유지하며 벌어지는 것을 막는 긴장재
92
칼럼밴드 용도
기둥 거푸집의 고정 및 측압 버팀용으로 주로 합판 거푸집에서사용
93
박리제 용도
거푸집의 탈형과 청소를 용이하게 만들기 위해 거푸집 표면에 미리 바르는 것
94
RC건축물 철근 조립순서 ① 기둥철근 ② 기초철근 ③ 보철근 ④ 바닥철근 ⑤ 벽철근
2-1-5-3-4
95
구조부위별 거푸집 조립 작업순서 ① 보받이 내력벽 ② 외벽 ③ 기둥 ④ 큰 보 ⑤ 바닥 ⑥ 작은 보
3-1-4-6-5-2
96
철근콘크리트 구조에서 기초 철근 조립 순서 ① 직교철근 배근 ② 거푸집 위치 먹줄치기 ③ 대각선 철근 배근 ④ 철근간격 표시 ⑤ 기둥 주근 설치 ⑥ 스페이서 설치
2-4-1-3-6-5